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자본이익률 구성요소와 미래수익성 및 가치관련성 (Decomposed Return on Equity, Future Profitability, and Value Releva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4.10
26P 미리보기
자기자본이익률 구성요소와 미래수익성 및 가치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3권 / 5호 / 1329 ~ 1354페이지
    · 저자명 : 백원선, 조현우, 호용익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과 DuPont 방식에 따라 분해된 자기자본이익률 구성요소간의 관계 및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매출액이익률, 총자산회전율 및 부채비율의 곱이므로, 자기자본이익률과 그 구성요소에 자연대수를 취하면 양자간의 선형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Ohlson 모형으로부터 배당이 가산된 주가 대 기초자본 비율을 자기자본이익률의 함수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자기자본이익률의 구성요소가 미래수익성 또는 주가-기초자본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982년부터 2002년 사이에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 중 손실을 보고하지 않은 5,372개 기업-년으로 구성된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자기자본이익률을 세 구성요소로 분해했을 때 미래 자기자본이익률 또는 배당가산 주가-기초자본 비율에 대한 설명력이 최저 6%에서 최고 24%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미래 자기자본이익률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인 것은 매출액이익률인 반면에 주가-자본비율과 가장 큰 관련성을 보인 구성요소는 부채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별 분석에서도 대체로 지지되었다.
    선행연구는 ROE와 구성요소간의 비선형관계 때문에 개별구성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을 수행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 및 그 구성요소에 자연대수를 취하여 도출된 선형관계식에 기초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ROE와 개별구성요소간의 관계 및 개별구성요소의 역할을 더 직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decomposition of return on equity (defined as net income over beginning-of-the-year equity book value) into three components such as profitability, turnover, and leverage on future profitability and value relevance. To the extent that return on equity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profit margin (defined as net income over sales), asset turnover (defined as sales over beginning-of-the-year total assets) and leverage (defined as beginning-of-the-year total assets over beginning-of-the-year equity book value), logarithmic transformation of return on equity enables us to express return on equity as a linear sum of three components. This linear transformation helps us to examine more directly the relation between return on equity, its decomposed components, and price-to-book ratio.
    Empirical analysis is performed for non-banking firms (5,372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 end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over 1982-2002. Main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composed components of return on equity explain the cross-sectional variation in one-year ahead return on equity and/or cum-dividend price-to-book ratio significantly more than return on equity alone does, (2) profit margin is the most highly associated with one-year ahead return on equity while leverage is the most highly associated with cum-dividend price-to-book ratio, and (3) these results are also confirmed in the industry analysis.
    It is true that previous studies are not quite helpful in drawing direct inference about the role of individual components of return on equity in their relation to future profitability or value relevance mainly because it is har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ch component on future profitability or value relevance due to the multiplicative relation among the components of return on equity. However, the linear relation among the components of return on equity, that is derived by taking natural log of return on equity and its components,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return on equity and its components and their role in explaining future profitability and value relevance. Further, we might provide more useful tools of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to users when we focus on industry analysis in depth outlined in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