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판력의 작용과 범위의 관계 (Inte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 and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6.08
29P 미리보기
기판력의 작용과 범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7권 / 3호 / 311 ~ 339페이지
    · 저자명 : 김상영

    초록

    기판력의 개념이나 정의 속에 이미 기판력의 작용과 범위가 명시되어 있거나 내재되어 있으므로, 기판력이 미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판력의 작용을 도외시한 채 기판력의 범위의 어느 하나만 고찰하여서는 안 되고, 먼저 기판력의 작용국면의 3가지 유형(동일․선결․모순)이라는 판단도구를 통해 기판력이 작용하는지(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이와 달리 변론을 종결한 뒤의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의 작용과 관련하여 종래 기판력의 작용과 거의 무관하게 이루어진 계쟁물의 승계인 등에 대한 기판력 확장 문제에 관한 논의에 대하여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따라서 우선 기판력의 작용국면에서의 3가지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살펴본 후, 그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면 원칙적으로 나아가 살펴볼 것도 없이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만약 그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면 다음으로 기판력의 범위와 관련하여 문제되는 것이 없는지를 고찰한 후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해석하면 기판력의 작용(국면)과 범위에 대하여 혼동을 하거나 기판력의 작용(국면)과 범위의 논리적 선후관계에 대하여 다소 혼선을 빚고 있는 경우에 올바른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해석과 부합되게 기판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변론종결 후에 계쟁물을 승계한 자라 하더라도 그에게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판시한 대판 2013다53939는 종래의 혼란스러운 판례들을 시정한 것으로서 정당한 판결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대판 2013다53939는 “소송물이 동일하거나 선결문제 또는 모순관계에 의하여 기판력이 미치는 객관적 범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라고 판시하고 있는데, 기판력의 작용이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에 포섭되는 것처럼 표현하고 있는 점은 다소 부적절하고 모호한 점이 있다고 본다. 비록 소송물을 기준으로 하여 기판력의 작용국면을 3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지만, 기판력의 작용(국면)과 기판력의 범위는 준별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shall have the effect of res judicata in so far as the matters contained in the text thereof are concerned according to the article 216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① of the Civil Procedure Act in Korea. And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shall be binding on the parties, successors subsequent to a closure of pleadings, or persons possessing the object of claims on their behalf according to the article 218 (Su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①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concept of Res Judicata already connotes the function and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e effect of Res Judicata by way of the judgment tool that is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which is divided into the relations of sameness, contradictory apposites or a previous question between the objects of a lawsuit and second lawsuit instead of taking into account only one of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with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neglected. And I think that to consider the effect of Res Judicata by way of the judgment tool that is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is prior to the consideration of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This interpretation will put an end to some confusion that lawyers, law school students and others suffer because of the chaos derived from the uncertainty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 and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But Korean Supreme Court prcedents mostly have focused on the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and sometimes have mentioned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separately. Korean Supreme Court prcedents also have mentioned the Su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especially in regard to successors subsequent to a closure of pleadings with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neglected.
    Rec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 rendered the judgment that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shall not be binding on the successor subsequent to a closure of pleadings if there is no one of relations of sameness, contradictory apposites or a previous question between the objects of a lawsuit and second lawsuit.
    This prcedent is evaluated as the proper adjudication correcting past confusing precedents.
    However, this precedent has some defects that the Korean Supreme Court used the expression with a subtle nuance still confusing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and the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and still focused on the Objective Extent of Res Judicata.
    Although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n the basis of the objects of lawsuits, we must discriminate three types of the function of Res Judicata from the limited ranges of Res Judicata to avoid conf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