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하는 것을 행하는가? 행하는 것을 원하는가? (Tun wir, was wir wollen? Wollen wir, was wir tu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7.03
32P 미리보기
원하는 것을 행하는가? 행하는 것을 원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3호 / 253 ~ 284페이지
    · 저자명 : 권수현

    초록

    자유의지와 결정론의 대립은 철학의 오랜 논쟁거리였다. 철학은 이 소모적인 대립을 해소하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다. 최근 신경생리학자와 인지과학자들이 제기한 새로운 결정론적 도전은 새로운 논쟁을 유발시켰다. 이들은 신경생리학적 실험결과를 배경으로 자기의식과 같은 정신작용을 뇌의 생리적 작용에 따르는 부수현상으로 치부하면서, 인간이 창조의 정점에 위치한다고 믿었던 신화에서 깨어났듯이 자유의지의 신화에서 깨어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결정론의 주장은 매혹적일 수 있지만 그 논증에는 여전히 문제가 따른다. 신경생리학적 실험결과에 대해 비결정론적 해석을 내릴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주의적 결정론에는 자기 객관화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자유의지는 실체적 개념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도 반증할 수도 없는 반성적 차원의 개념이다. 정신적 과정의 집합체인 자유의지를 경험적으로 부정하려는 시도는 인과과정과 해석과정을 한데 뒤섞어 버리는 범주의 오류에서 비롯한다.
    논문은 리벳의 신경생리학적 실험에 대한 결정론적 주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비판을 다룬다. 이를 통해 자유의지론과 결정론의 소모적인 대립을 해소할 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ie Konfrontation zwischen den Vertreter freien Willens und den des Determinismus gehört zu einem der umstrittenen philosophischen Probleme. In der philosophischen Geschichte gab es verschiedene Versuche, die verzehrende Konfrontation aufzulösen, aber sie brachten bis heute wenige Erträge. Kürzlich entfacht eine deterministische Herausforderung seitens einiger Neurophysiologer und Hirnforscher erneut die Kontroverse über das Thema. In Hintergrund von Resultaten neorophysiologischer Experimente halten diese Neurophysiologer und Hirnforscher geistige Funktionen wie Selbstbewusstsein für die Epiphänomen physiologischer Vorgänge und verlangen, uns von dem Mythos freien Willens zu befreien, wie wir uns einst von dem Schöpfungsmythos befreit haben, nach dem wir in der Höhepunkt der Schöpfung gestanden hätten.
    Solche deterministische Behauptung, wie verlockend sie auch klingen mag, ist nicht haltbar. Denn zunächst ist es durchaus möglich, die Resultate der neurophysiologischen Experimente non-deterministisch zu deuten. Dazu noch enthält der naturalistische Determinismus das Problem der Selbstobjektiverung. Nicht zuletzt ist der Begriff freien Willens kein substantiver, sondern derjeniger, der auf Erfahrungsebene weder begründet noch widerlegt. werden kann. Er ist vielmehr ein auf Reflexionsebene ausgebildeter und auf Komplexe geistiger Vorgänge bezogener Begriff. Dennoch unternimmt man, freien Wille empiristischerweise zu verneinen, dann begeht er einen Kategorienfehler.
    In dem vorliegenden Aufsatz wird die deterministische Behauptung, die sich in bezug auf das neurophysiologische Experiment Libets neulich formiert, vorgestellt und sie kritisch unter die Lupe genommen. Dadurch wird ein Ansatz zur Möglichkeit erwägt, den Gegensatz zwischen freiem Wille und Determinismus zu entschärf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