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02
30P 미리보기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6권 / 1호
    · 저자명 : 홍봉선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사회복지와 교육복지의 관계
    Ⅲ. 교육복지가 요구되는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환경
    Ⅳ. 선진국의 교육복지 적용사례
    Ⅴ.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실태와 문제점
    Ⅵ. 교육복지의 미래: 향후 기본방향과 과제
    Ⅶ. 결 론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와 교육복지와의 관계를 정립한 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파
    악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교육을 사회
    적 평등장치로 인식하고 인적자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행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
    가가 배치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교육복지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관련법이 미비하고 행․재정적 지원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련 조직간의 연계, 협력이 부족하고 복지, 교육, 문화가 연계된 통
    합적, 전문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는 교육복지체제의 구
    축을 위한 국가의 기능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하며 권리, 투자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법의 제정 및 행, 재정적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복지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되
    교육취약계층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그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의 기회에서부터 교육의 과정, 결
    과까지의 평등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복지, 노동이 연계된 다차원적 접근과 관련
    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평생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welfare which is a part of social welfare and to offer its future directions and things
    to do. First of all,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part of social welfare in
    developed countries for a long time and it has been used the same as school
    educational welfare. These days Korea is confronted with increasing needs of
    educational welfare caused by emphasis of manpower, appearance of new poor class
    after IMF, handing down poverty to their children, absence of public education and
    educational fever, stress of life long learning and extending needs of students' social
    welfare service.
    In advanced countries compared to Korea, people perceive education as an equal
    opportunity. To reach this thesi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king in terms of
    manpower development such as reform of related laws, financial and official support,
    offering of parental skills and protecting children for the disadvantaged, dispatching
    school social workers and overall life improvement. The subjects and age of
    educational welfare are also diverse ranging from poor families and pre school
    children to general public and adults.
    On the other hand, Korea lacks related laws and financial support that are
    supposed to enforce educational welfare systematically. Also integrated and
    professional services are not often avaliable due to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Therefore, government's role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defined clearly in the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For this, it is needed to establish
    related laws and build a concrete financial and executive interrelationship. Also every
    person should be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utting priorities on the
    disadvantaged.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achieve things mentioned above.
    Multi-dimensional approach intertwined with education, welfare and labour,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between related agencies, reinforcement of life
    long learning, extension of free education including infants and toddlers, and offering
    financial support to the poor are a few among these efforts. Finally,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improvement school facilities are
    strongly recommended to get to the right track of educational welfa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