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생태학과 교육공학 : 생태학적 교육공학의 정초마련을 위한 시론적 탐색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3
36P 미리보기
지식생태학과 교육공학 : 생태학적 교육공학의 정초마련을 위한 시론적 탐색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1권 / 1호
    · 저자명 : 유영만

    목차

    I. 생태학적 문제의식의 출발과 패러다임의 전환: 생태학적 반란(反亂)에 대한 생태학적 반성(反省)의 시작
    II. 지식 생태학의 생태학적 지식순환원리
    IV. 생태학적 교육공학의 학문적 의의와 발전방향
    참 고 문 헌

    초록

    자연과 더불어서 함께 살았던 인간은 자연을 대상과 객체로서 인식하고 주체에서 분리․독립시켜 지배와 무한개발의 대상으로 보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자연은 남용되고 파괴되어 왔다. 주어진 자연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굴하고 개발해서 활용하기 위해서 인간은 보다 정교한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이러한 과학기술 덕분에 문명은 놀라운 발전을 거듭해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의 잔재와 흔적, 또는 후유증은 인간사에 보기 어려운 미증유의 후유증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반란과 위기에 대한 생태학적 대안마련이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 환경운동을 넘어서서 범국가적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기계론적 패러다임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촉구하고 현재 많은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도입․활용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지식경영의 근본적인 문제점과 한계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지식생태학의 문제의식과 학문적 등장배경을 간략히 논의한다. 지속가능한 지식생태계의 지식순환원리를 도출하기 위해 우선 생태계의 성장 및 발전과 직결되는 원리를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해 차용한 다음 4가지 핵심적인 생태학적 지식순환원리, 즉 자기조직적 갱생의 원리와 ‘즐거운’ 학습, 상호의존성의 원리와 ‘건강한’ 지식, 불일불이의 원리와 ‘보람찬’ 성과, 잡종강세의 법칙과 ‘행복한’ 일터와 같은 원리를 개발한다. 이를 기반으로 지식 생태학의 학문적 탐구영역과 과제를 ‘즐거운’ 학습, ‘건강한’ 지식, ‘보람찬’ 성과, ‘행복한’ 일터라는 후레임워크를 근간으로 통합, 개념적 지식생태계 모형을 제시한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서 생태계의 자가발전적 운용원리를 도출, 지식의 창조, 공유, 활용, 소비와 소멸과 같은 선순환적 메커니즘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밝혀보는데 궁극적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식생태학적 문제의식과 연구영역 및 과제가 생태학적 교육공학을 정초하는 과정에서 어떤 학문적 의의가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영어초록

    The nature has been dominated and destroyed over the past decade while human being hasrecognized the nature as an independent object which can be separated from the subject who has been living with the nature. It is no doubt that human being has made an every effort todevelop and make an efficient use of the nature for making progress using advanced technology. However, the unpleasant consequences and remaining vestiges resulting from the nature destroyed by human being are absolutely unexampled in the history of this century. A ecological alternative against ecological crisis has been explored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s as well as the academic perspectives beyond environmental movement. As one of the efforts to escape from the dilemma,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knowledge ecology are introduced in line with paradigm shift from mechanical to ecological, followed by critical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and problems with knowledge management from the ecological ways of thinking. The main field of study and research topics of knowledge ecology as harmony with the conceptual model for integrating 'delightful' learning, ‘healthy’ knowledge, 'meaningful' performance, and ‘happy’ workplace are discussed. Through this research, the major constructs of ecological systems are investigated by an exploratory document research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sustainability for knowledge ecosystems. Four key principles of knowledge flow such as self-organizing knowledge and delightful learning, interdependence and healthy knowledge,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one to two and 'meaningful' performance, hybrid, the law for crossing two breeds and ‘happy’ workplace are provided for further research on how to make bridge between knowledge and ecology. In the long ru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ain operating principles of and mechanism for ecological systems and apply those to knowledge recycling process. Finally, the disciplinary significance of ecological educational technology is discuss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field of knowledge ecology with its own research area and scope.Key words : Ecology, Knowledge Ecology, ‘Delightful’ Learning, ‘Healthy’ Knowledge, ‘Meaningful’ Performance, ‘Happy’ Workplace, Ecological Educational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