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8개
-
응급실 성찰일지2025.01.161. 응급실 실습 응급실 실습 기간 동안 주요 관찰 사항 및 수행 내용을 기록하였습니다. 첫날 수간호사 선생님의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병동 구조를 파악하였습니다. 이후 매일 활력징후 체크, 환자 모니터링, 약물 투여, 응급 처치 등을 수행하며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CPR 실시, 수액 주입, 환자 이송 등의 경험을 하였고, 응급실 특성과 약물, 검사 등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2. 응급실 환자 관리 응급실에서 다양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을 접하며 환자 상태 모니터링, 활력징후 체크, 약물 투여, 응급 처치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저...2025.01.16
-
심근경색(MI, Myocardiac infarction)의 병태생리와 치료2025.01.121. 심근경색의 원인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은 심장동맥질환으로, 동맥내벽에 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죽경화가 주요 원인이다. 혈관내피세포 손상, 지질대사 이상,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 섭취 과다 등이 죽경화 진행을 촉진한다. 죽경화가 진행되면 심장동맥이 좁아져 심근의 산소요구 증가와 혈류 감소로 허혈이 발생한다. 2.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심근경색은 심장동맥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근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색이나 괴사가 발생하는 것이다. 급성심장동맥증후군(ACS)에는 불안정형협심증,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NSTE...2025.01.12
-
경막하, 요추, 뇌실외 배액관 비교 및 간호2025.11.151. 경막하 배액관(SDD) 간호 경막하 배액관은 수술 후 침상안정을 유지하며 주치의 확인 후 자연배액을 시행합니다. 배액은 초기에 혈성이며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고 장액성으로 변합니다.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체위변경 시 배액관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배액량 감소 시 뇌 CT 촬영으로 출혈량을 확인한 후 제거하며, 제거 후 1-2일 내 퇴원합니다. 2. 배액관 관리 및 모니터링 배액관 관리 시 수술 부위 삼출액과 뇌척수액 양상을 확인하고, 배액량과 배액양상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정상 배액은 혈성에서 장액...2025.11.15
-
급성 심근경색증 사례 및 간호과정2025.04.281. 급성 심근경색증의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쇄로 인해 손상부위 심근에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심근에 비가역적 괴사가 유발되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일종이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2. 급성 심근경색증의 위험요인 주요 위험요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이며,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2025.04.28
-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2025.01.11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가슴이 쥐어짜듯이 아프다고 호소하며 NRS 통증사정 결과 7점으로 측정되어 위와 같은 진단을 내렸다. 이에 단기목표는 '3일 이내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와 장기목표는 '퇴원시까지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로 세웠다. 이를 위해 수시로, 4시간마다 EKG를 통해 v/s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으로 NRS 통증 척도를 사정하였다. 또한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도와주고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3일 이내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로 돌아오면서 유...2025.01.11
-
골반염증성질환(PID) 케이스 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51. 골반염증성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자궁내경관에 번식하는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가 자궁내막, 난소, 복막 등에 침범하여 골반강 내 전반적인 염증이 생긴 상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주요 원인균은 Neisseria gonorrhoeae와 Chlamydia trachomatis. 성 전파성 감염과 비전파성 감염으로 전파되며, 증상은 골반통, 자궁경부 운동성 압통, 부속기 압통, 고열 등이 있다.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 수액, 진통제 투여 및 침상안정을 시행한다. 2. IUD(자궁내장치...2025.11.15
-
경막하출혈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2025.11.131. 경막하출혈(SDH)의 정의 및 임상증상 경막하출혈은 두개골 내 경막 아래 공간에 혈액이 고이는 질환으로, 환자는 두통과 어지러움을 주요 증상으로 호소하였다. 본 사례의 환자는 우측 전교통동맥 paraclinoid 부위의 미파열 뇌동맥류에 대해 코일 색전술을 시행받았으며, 수술 후 의식혼돈, 정신혼란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2.25, CRP 2.34로 상승된 염증지표를 보였고, 뇌기능 보호를 위해 세라빈씨주 등의 약물이 투여되었다. 2. 경막하출혈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 본 사례에서 도출된 주요 ...2025.11.13
-
아동 급성 세기관지염의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사례2025.11.111.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급성 세기관지염은 상기도감염 후 발생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으로, 주로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발생한다. RSV가 50-80%를 차지하며, 세기관지 상피의 염증으로 인한 점막하층 부종이 특징이다. 기침, 호흡곤란, 천명음이 주증상이며, 어린 영아에서는 무호흡 발작과 호흡성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적극적 치료로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을 통해 자연 경과를 보인다. 2.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진단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2025.11.11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61. 급성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 급성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우와 신배의 염증이다. 주로 E. coli에 의해 발병되며, 요도와 방광을 통해 역행성으로 감염된다. 옆구리 통증, 오한, 발열, 요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백혈구 증가, 소변에서 세균 검출, 농뇨, 빈뇨 등의 임상 소견을 보인다.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이상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특히 여름철 7월과 8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다. 항생제 7~14일 투약으로 치료하며, 투약 후 1주일 뒤 소변배양검사로 균 제거 확인...2025.11.16
-
급성 심근경색 mi 문헌고찰2025.01.161.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 주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2. 병태생리 1)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이상 지속적으로 막히게 되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 시작. 2)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