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9개
-
말기신장병 환자의 신부전 치료2025.01.171. 말기신장병 말기신장병(ESRD)은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 환자는 고혈압, 당뇨병, 말기신장병 등의 기저 질환이 있으며,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검사 결과 대사성 산증, 전해질 불균형, 빈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났습니다. 신부전 치료를 위해 혈액투석(HD)과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을 시행하였지만, 저혈압, 폐부종, 의식저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습니다. 2. 신부전 치료 말기신장병 환자의 신부전 치료를 위해 혈액투석(HD)과 지속적 신대체요법(CRR...2025.01.17
-
[case study]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말기콩팥병2025.01.161.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ESRD는 ARF가 치료되지 않거나 CKD가 진행되어 GFR이 15%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ESRD 환자는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PD, HD, KT 등의 신대체 요법을 받아야 한다. ESRD의 주요 원인은 DM, HTN, glomerulitis, 유전성 낭성 질환 등이며, 요독 증상, 빈혈 증상, 부종, 고혈압,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영상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투석, 신장이식 등이...2025.01.16
-
ASD 간호 내러티브 및 SOAPIE(낙상위험성)2025.05.16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 중격)의 결손('구멍')을 통해 혈류가 새는 기형을 의미합니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갑니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폐혈류량이 증가합니다. 결손 부위가 크고,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결손을 수술하지 않으면 폐동맥 압력이 높아지는 폐동맥 고혈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하면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비가역적으로 고정되는 아이젠멩거...2025.05.16
-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액 종류, 성분함량,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2025.05.141. 수액 약자약자용어의미 Dextrose는 포도당, Saline은 염분, Normal은 일반적인, Water는 증류수, Natrium(sodium)은 나트륨(소듐), Kalium(potassium)은 칼륨(포타슘), Hartman은 염분, 염화칼륨, 염화칼슘, 락트산 나트륨을 의미한다. 2. 5% DS (5% Dextrose & sodium Chloride inj.) 5% DS 500ml에는 dextrose 25g(50mg/mL)과 sodium chloride 4.5g(9mg/mL)이 포함되어 있고, 5% DS 1L에는 dextr...2025.05.14
-
중환자간호실습_사전학습_CRRT, ECHMO, ICP, ABGA_그림포함2025.01.281. CRRT(지속적 신기능대체요법) CRRT는 혈액 역동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산-염기 상태와 전해질 농도를 천천히 지속적으로 조정하며 요독소와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CRRT는 HD와 달리 지속적으로 적용되며, 이를 이용해 며칠에 걸쳐 다량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확산, 삼투, 대류의 원리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며 HD에 비해 수분과 전해질의 급격한 이동이 적어 저혈압의 발생위험이 낮습니다. 2. ECMO(체외막산소요법) ECMO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가스배출과 같은 폐의 기능을 도와주는 장치...2025.01.28
-
신부전 간호과정(간호과정2개, 간호진단2개(1.체액과다,2.감염의 위험성))2025.01.281. 콩팥의 수분배설 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대상자의 BUN, Creatinine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대상자의 키에 비해 체중이 증가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간호진단을 '콩팥의 수분배설 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로 내렸습니다. 단기목표는 일주일 이내에 Na/K 농도가 정상수치로 회복되는 것이며, 장기목표는 퇴원시까지 콩팥의 수분배출 기능이 회복되는 것입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I/O 측정, 혈청 전해질 수치 파악, 체중 측정, 저염식이 제공, 수분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편안한 자세 제공, ...2025.01.28
-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2025.01.171. 카테터 자가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진단#n 카테터 자가 제거로 인한 개방성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NANDA정의: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간호사정주관적 자료-"이거 빼줘"-"불편해"-"여기가 엄청 후끈거리잖아."객관적 자료-IV line 유지 중 (2024. 05. 24~)-2024. 06. 10 22:30 IV self remove-2024. 06. 11 11:50 HD catheter self remove-2024. 06. 11. 06:10 진단 검사 결과 높은 CRP,...2025.01.17
-
가정용 가전제품의 소비전력 비교2025.05.121. W급 에어프라이어 제품 비교 국내 제품인 리빙웰의 에어프라이어 AF506과 해외 제품인 필립스의 Premium 에어프라이어 XXL HD9630/95를 비교하였다. 두 제품 모두 200℃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1,000W 이상이지만, 필립스 제품이 2,200W로 리빙웰 제품의 1,500W보다 700W 더 높아 조리 속도가 더 빠르다. 필립스 제품은 자동 전원 차단, 온도 조절, 식기세척 기능 등이 있으며 에어 스톰 기술로 더 바삭한 조리가 가능하다. 2. kW급 에어컨 제품 비교 국내 제품인 LG전자의 휘센 F...2025.05.12
-
충수돌기염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선천성 거대결장 선천성 거대결장증(Hirschsprung disease [HD], congenital agunglionic megacolon)은 장 일부분이 부적절한 운동성으로 기계적인 폐쇄를 초래하는 선천성 기형이다. 모든 신생아 장폐색의 1/4정도에 해당된다. 이 질병은 영아 후기나 그 이후에는 진단되지 않는다. 발생빈도는 생존 신생아 5,000명 중 1명이고, 남아보다 여아보다 4배가 많으며 일부 가족적 소인이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 아동에게 RET 프로토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2. 급성 충수염 충수염은 충수...2025.05.07
-
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신장실 SBAR2025.01.201. 투석중 체온 상승 상황 투석실간호사 000입니다. 김00님 체온 38.1℃ 측정되어 연락드렸습니다. bLt. tibia op site infection 으로 Vanco 쓰고있는 환자분이신데 이틀전에 투석 할 때도 37.5℃ 측정되어 maxigesic 썼었습니다. a현재 BP는 150/70, PR는 72, RR는 20입니다. 투석 시작시 BT 37.8℃, 투석 30분째 BT 38.1℃ 측정되었습니다.BTM(body temperature monitor)상 37.5℃ 세팅되어 있습니다. 환자분은 열감, 발한 있으십니다.r발한으로 체...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