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e study]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말기콩팥병
본 내용은
"
[case study]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말기콩팥병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19
문서 내 토픽
-
1. End Stage Renal Disease (ESRD)ESRD는 ARF가 치료되지 않거나 CKD가 진행되어 GFR이 15%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ESRD 환자는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PD, HD, KT 등의 신대체 요법을 받아야 한다. ESRD의 주요 원인은 DM, HTN, glomerulitis, 유전성 낭성 질환 등이며, 요독 증상, 빈혈 증상, 부종, 고혈압,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영상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투석, 신장이식 등이 있다. 치료되지 않은 ESRD는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투석 시 저혈압, 근육경련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이식 신장의 거부반응,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CKD 환자의 renal function 보존이 중요하며, 혈압 조절, 저염식이, renal toxicity가 있는 약물 피하기 등이 필요하다.
-
2. 감염의 위험성대상자는 ESRD 환자로 perm catheter를 통해 HD를 받고 있어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되어 있다. 감염의 증상으로는 빠른 맥박, 빠른 호흡, 불안, 혼돈 등이 있으며, 국소 부위에서는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대상자의 경우 WBC와 CRP 수치 상승으로 감염의 위험성이 확인되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침습적 처치 부위의 무균적 드레싱, 손위생 교육 등이 필요하다.
-
3. 출혈의 위험성대상자는 ESRD로 인한 조혈 기능 저하와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사용으로 출혈의 위험성이 증가되어 있다. 출혈의 증상으로는 비출혈, 구강 점막출혈, 피부 반점 출혈 등이 있으며, 중요 장기 출혈 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상자의 경우 RBC, Hb, Hct, platelet 수치 저하가 확인되었고, aspirin과 pandict를 복용 중이다. 출혈 예방을 위해 응고 검사 모니터링, 항응고제 중단, 점막 건조 예방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1. End Stage Renal Disease (ESRD)End Stage Renal Disease (ESRD)는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신장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 상태를 의미합니다. ESRD 환자들은 심각한 건강 문제와 삶의 질 저하를 겪게 됩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체내 노폐물 및 수분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부종, 고혈압, 빈혈, 골 및 대사 이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석 과정에서 감염, 출혈,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SRD 환자들은 평생 투석이나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하며, 이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이 매우 큽니다. 따라서 ESRD 예방을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와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감염의 위험성감염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지만,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는 더욱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 환자, 암 환자, 장기 이식 환자 등은 면역 기능이 약화되어 있어 감염에 취약합니다. 이들은 감염 발생 시 빠르게 악화되어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군 환자들은 철저한 감염 예방 관리가 필요합니다. 손 위생, 마스크 착용, 예방접종 등의 기본적인 감염 관리 수칙을 준수하고, 감염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진료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의료진과 보호자들의 감염 관리 교육과 협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 예방과 관리를 통해 고위험군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3. 출혈의 위험성출혈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지만, 특히 혈액 응고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 환자, 간질환 환자, 혈액암 환자 등은 출혈 위험이 높습니다. 이들은 출혈 발생 시 지혈이 어렵고 출혈이 지속되어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군 환자들은 출혈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출혈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항응고제 복용 관리, 정기적인 혈액 검사, 출혈 증상 모니터링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출혈 발생 시 신속한 지혈 처치와 전문 의료진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출혈 예방과 관리를 통해 고위험군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노인간호학 ESRD 말기신장병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1개 25페이지
ESRD(End stage renal disease)Case Study학과간호학과교 수 명학 번성 명제출일자23.09.14담당교수확 인Ⅰ.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Ⅱ.본론1. 문헌고찰 32.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1) 일반사항 92) 과거력93) 의식상태 104) 인지기능 105) 신체기능 116) 배설기능 137) 낙상사정 138) 영양평가 139) 욕창위험성 평가 1310) 적용중인 재활 및 특수프로그램 153. 진단적 검사 및 약물치료와 경과 154. 간호과정 20Ⅲ.결론1. 요약 242. 느낌점 24Ⅳ.참고문헌Ⅰ...2024.10.27· 25페이지 -
신장질환 케이스 , ( 간호진단 3개 폐에 과도한 체액축적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빈혈과 관련된 피로, 복합적요인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A+받은 자료입니다. 41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최종보고서(사례연구보고서)* 간호과정 사례보고서(Case study) 양식(1) 간호력(Nursing History)? 이 름(Name) : 이** 성(Sex) : 남? 나 이(Age) : 83세? 입원일시(Date of Admission) : 2022. 04. 06? 진단명(Medical Diagnosis) :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장 질환)Hypotension (저혈압)Pleural effusion (흉수)? 결혼 여부 : 기혼? 교육 정도 : 대학교? 과 거 력 : 백내장 수술뇌출혈...2024.03.28· 41페이지 -
ESRD 말기신질환 케이스 37페이지
목 차1. 대상자 상황 및 문헌고찰2. Case study1) 일반적 사항2) 과거력3) 활동과 휴식4) 산소욕구5) 영양과 배설욕구6) 안전과 안정욕구7) 활력징후 변화8) I/O check9) 낙상 위험도 사정10) 욕창 위험도 사정 (Braden scale)11) 대상자 흐름도12) 진단검사 소견13) 약물3. 간호과정4. 참고문헌1. 대상자 상황 및 문헌고찰대상자 상황2023년 10월 10일 ESRD 진단받은 후 복막투석 진행하던 환자로 심한 우울감으로 투석 거부하며 지내다2024년 06월 08일 mental change 주...2025.02.28· 37페이지 -
A+!! 성인간호학 ESRD[말기신부전] CASESTUDY 자료입니다! 20페이지
ESRD(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신부전)casestudy담당교수님제출일학년/반학번이름목 차Ⅰ.사례 보고서1. 간호 정보 조사지1) 일반정보2) 건강과 관련된 정보3) 진단검사4) 임상검사5) 투여약물2. 간호과정1) 간호문제2) 간호진단3) 간호과정Ⅱ. 참고문헌I. 사례보고서간호 정보조사지1) 일반정보BIRTH DATE : 1938 년 10월 06일SEX : FAGE : 84세입원일 : 2022 년 11 월 10 일 오후 4 시진단명 : Venous Hypertension of AVF(Arterio-veno...2025.02.13· 20페이지 -
CKD케이스스터디 30페이지
◁목 차▷1.서론1.1 사례연구의 목적1.2 문헌고찰2.본론2.1 대상자 자료수집2.2 간호과정3.결론3.1 평가 및 실습소감3.2 참고문헌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서론Ⅰ.사례연구의 목적생활습관의 변화와 수명 연장으로 만성 신부전 환자 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에는 2000년도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만성신질환은 신장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신대체요법에 의지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질환으로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 신대체 요법의 많은 발전으로 인하여 말기 신...2021.06.10· 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