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액 종류, 성분함량,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
본 내용은
"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액 종류, 성분함량,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30
문서 내 토픽
  • 1. 수액 약자약자용어의미
    Dextrose는 포도당, Saline은 염분, Normal은 일반적인, Water는 증류수, Natrium(sodium)은 나트륨(소듐), Kalium(potassium)은 칼륨(포타슘), Hartman은 염분, 염화칼륨, 염화칼슘, 락트산 나트륨을 의미한다.
  • 2. 5% DS (5% Dextrose & sodium Chloride inj.)
    5% DS 500ml에는 dextrose 25g(50mg/mL)과 sodium chloride 4.5g(9mg/mL)이 포함되어 있고, 5% DS 1L에는 dextrose 50g(50mg/mL)과 sodium chloride 9g(9mg/mL)이 포함되어 있다.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전해질 보급과 에너지 보급에 사용된다. 보통 성인 1일 500~1,000mL를 2~3회 나누어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시간당 250~500mL(분당 60~120방울)이다. 영·유아의 경우 시간당 15~80ml(분당 4~15방울), 고령자의 경우 시간당 250mL(분당 60방울)로 한다. 포도당 함유제제를 정맥주사하는 환자는 치아민(비타민B1) 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치아민 결핍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3. HS (HARTMANN'S sol, 하트만 용액)
    HS 500ml에는 calcium chloride 0.1g(0.2mg/ml), potassium chloride 0.15g(0.3mg/ml), sodium chloride 3g(6mg/ml), sodium lactate solution 50% 3.1g(3.1mg/ml)이 포함되어 있고, HS 1L에는 calcium chloride 0.2g(0.2mg/ml), potassium chloride 0.3g(0.3mg/ml), sodium chloride 6g(6mg/ml), sodium lactate solution 50% 6.2g(3.1mg/ml)이 포함되어 있다. 하트만 용액은 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을 가진 수액으로서 탈수 및 수술시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용으로 사용된다. 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시간당 300~500mL(분당 75~120방울)로 한다.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혈과 동시 사용, 세프트리악손과 동시 사용은 금기이다.
  • 4. HD (하트만-디 액 5% Dextrose and Hartmann's Sol)
    HD 500ml에는 calcium chloride 0.1g(0.2mg/ml), dextrose 25g(50mg/ml), potassium chloride 0.15g(0.3mg/ml), sodium chloride 3g(6mg/ml), sodium lactate solution 50% 3.1g(3.1mg/ml)이 포함되어 있고, HD 1L에는 calcium chloride 0.2g(0.2mg/ml), dextrose 50g(50mg/ml), potassium chloride 0.3g(0.3mg/ml), sodium chloride 6g(6mg/ml), sodium lactate solution 50% 6.2g(3.1mg/ml)이 포함되어 있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과 대사성 산증의 보정, 에너지 보급에 사용된다. 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써 1시간에 체중 kg당 0.5g 이하로 한다. 포도당 함유제제를 정맥 주사하는 환자는 치아민(비타민B1) 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치아민 결핍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정맥 칼슘 함유 제제와 세프트리악손을 동시에 투여하면 세프트리악손-칼슘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 5. SD = 1:2/1:3/1:4 Sodium Chloride & Dextrose Inj.
    1:4 SD 500ml에는 dextrose 20g(40mg/ml)과 sodium chloride 0.9g(1.8mg/ml)이 포함되어 있다.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과 에너지 보급에 사용된다. 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시간당 300~500mL(분당 75~120방울)이고 소아의 경우 시간당 50~100mL로 한다. 특히 신생이, 미숙아에는 급속주입(시간당 100ml 이상)하지 않는다. 포도당 함유제제를 정맥 주사하는 환자는 치아민(비타민B1) 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치아민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 6. 0.45% NS = 0.45% Normal Saline Inj.
    0.45% NS 1,000mL 중 염화나트륨 4.5g(0.45%)이 포함되어 있다.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과 주사제의 용해 희석에 사용된다. 염화나트륨으로서 보통 20~1,000mL를 피하, 정맥, 점적 정맥주사 또는 직장에 주입한다.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7. 5% DW = DEXTROSE Inj. 5%
    5% DW 1,000mL 중 포도당 50.0g이 포함되어 있다. 칼로리 보급, 수분보급, 고칼륨혈증 개선에 사용된다. 저장성 탈수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혈당 환자, 산증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 고삼투압성 혼수 환자, 내당불내증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8. 5% DW 0.45% NS =5% DEXTROSE AND HALF SALINE Inj.
    5% DW 0.45% NS 1,000mL 중 포도당 50g, 염화나트륨 4.5g이 포함되어 있다.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전해질 보급과 에너지 보급에 사용된다. 보통 성인 1일 500~1,000mL 2~3회 나누어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시간당 250~500mL(분당 60~120방울)이고, 영·유아의 경우 시간당 15~60mL(분당 4~15방울), 고령자의 경우 시간당 250mL(분당 60방울)로 한다. 포도당 함유제제를 정맥 주사하는 환자는 치아민(비타민 B1) 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치아민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 9. Plasma Sol. A Inj.
    Plasma Sol. A Inj. 500mL에는 potassium chloride 0.185g, magnesium chloride 0.15g, sodium acetate hydrate 1.84g, sodium chloride 2.63g, sodium gluconate 2.51g이 포함되어 있고, Plasma Sol. A Inj. 1L에는 potassium chloride 0.37g, magnesium chloride 0.3g, sodium acetate hydrate 3.68g, sodium chloride 5.26g, sodium gluconate 5.02g이 포함되어 있다.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과 대사성 산증의 보정에 사용된다. 보통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시간당 200mL로 한다.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10. 5% 알부민 Greencross Human Serum Albumin Inj. 5%, 20% 알부민 Greencross Human Serum Albumin Inj. 20%
    5% 알부민은 사람혈청알부민 5g/100mL, 20% 알부민은 사람혈청알부민 20g/100mL가 포함되어 있다. 알부민의 상실(화상, 신증후군 등) 및 알부민 합성저하(간경변증 등)에 의한 저알부민혈증, 출혈성 쇼크에 사용된다. 5% 알부민은 1일 사람혈청알부민으로서 25g(5%로서 500mL)을, 20% 알부민은 1일 사람혈청알부민으로서 25~75g에 해당하는 양(20%로서 125~375mL)을 분당 2~4mL의 속도로 천천히 정맥 또는 점적 정맥 주사한다. 심장애 환자, 순환혈장량이 과다한 환자, 용혈성·실혈성 빈혈환자, 면역부전 환자, 면역결핍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 11. 15%, 20%, 25% 만니톨 주사액
    15% 만니톨은 D-mannitol 15g/100mL, 20% 만니톨은 D-mannitol 20g/100mL, 25% 만니톨은 D-mannitol 25g/100mL가 포함되어 있다. 수술중, 수술후, 외상후의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약물중독시의 배설촉진, 두개내압 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안내압 강하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성인에게 D-만니톨로서 보통 1회 체중 ㎏당 1∼3 g을 15%, 20%액으로 점적 정맥 주사하며, 투여속도는 100 mL/3∼10분으로 한다. 급성 두개내 혈종·뇌출혈이 있는 환자,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 탈수환자,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의 환자, 폐부종·폐울혈 환자, 대사성 부종 환자, 무뇨 환자,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의 과민반응 환자, 긴장성, 과다 긴장성 환자, 시험주입 이후 지속되는 핍뇨증/무뇨증 환자, 중증 혈량저하증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5% DS (5% Dextrose & sodium Chloride inj.)
    5% DS는 5% 포도당 용액에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수액으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환자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수액은 탄수화물과 전해질을 공급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과도한 투여 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 2. 주제4: HD (하트만-디 액 5% Dextrose and Hartmann's Sol)
    HD(하트만-디 액)은 5% 포도당 용액과 하트만 용액이 혼합된 수액입니다. 이 수액은 탄수화물과 전해질을 동시에 공급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수술 후 회복, 탈수 치료,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투여 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 3. 주제6: 0.45% NS = 0.45% Normal Saline Inj.
    0.45% NS(0.45% Normal Saline Injection)는 생리식염수의 농도가 0.45%인 수액입니다. 이 수액은 탈수 치료, 수술 후 회복,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 등에서 사용됩니다. 0.45% NS는 생리식염수에 비해 삼투압이 낮아 세포 내 수분 유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과도한 투여 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 4. 주제8: 5% DW 0.45% NS =5% DEXTROSE AND HALF SALINE Inj.
    5% DW 0.45% NS(5% Dextrose and 0.45% Normal Saline Injection)는 5% 포도당 용액과 0.45% 생리식염수가 혼합된 수액입니다. 이 수액은 탄수화물과 전해질을 동시에 공급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수술 후 회복, 탈수 치료,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투여 시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 5. 주제10: 5% 알부민 Greencross Human Serum Albumin Inj. 5%, 20% 알부민 Greencross Human Serum Albumin Inj. 20%
    5% 알부민과 20%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 용액으로, 주로 저단백혈증 환자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수액은 혈장 단백질을 공급하여 삼투압을 유지하고 조직 부종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나 수술 전후 환자에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알부민은 20% 알부민에 비해 삼투압이 낮아 투여 용량이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투여 시 순환 과부하, 전해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