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신장실 SBAR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신장실 SBAR (5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0
문서 내 토픽
  • 1. 투석중 체온 상승 상황
    투석실간호사 000입니다. 김00님 체온 38.1℃ 측정되어 연락드렸습니다. bLt. tibia op site infection 으로 Vanco 쓰고있는 환자분이신데 이틀전에 투석 할 때도 37.5℃ 측정되어 maxigesic 썼었습니다. a현재 BP는 150/70, PR는 72, RR는 20입니다. 투석 시작시 BT 37.8℃, 투석 30분째 BT 38.1℃ 측정되었습니다.BTM(body temperature monitor)상 37.5℃ 세팅되어 있습니다. 환자분은 열감, 발한 있으십니다.r발한으로 체액손실이 우려되는데 UF(ultra filtration)를 조금 줄이는건 어떨까요? 해열제와 함께 수액처방 주실 것 있으실까요?
  • 2. 통증 호소 상황
    김00님 왼쪽 무릎아래 볼록 튀어나온 부분이 관찰되고 환자분이 통증 호소하셔서 연락드렸습니다. bLt. tibia fx로 24년 1월 op후 infection 의심되어 항생제 사용중인 분으로 무릎아래 튀어나온 부분이 오전에는 없었는데 오후에 보니 생겼다 하십니다. a왼쪽 무릎아래 튀어나온 부분은 외관상 딱딱하며 솟아있습니다. pain은 둔하게 있으며 발적은 없습니다. r진통제나 소염제 처방주실 것 있으실까요?
  • 3. 투석중 혈압상승 상황
    김00님 투석중 BP 151/56에 어지러움 호소하시며 혈압약 원하셔서 연락드렸습니다. b2013년 HTN 진단받고 cardura 4mg 1tab, Adalat oros 30mg 1tab PO 복용하시는 분으로 투석 날에는 혈압약 모두 hold 되어있습니다. 최근 투석시작 혈압 150/50 이시고 마칠 때 170/60까지 상승하십니다. a현재 V/S BP 151/56, PR59 이시고 금일 혈압약 복용 안하셨습니다. 환자분은 두통, 어지러움 호소하시고 투석날에도 혈압약 먹고싶다고 하십니다. 건체중 64.5kg, 오늘 pre wt 66.1kg라서 UF volum 1.6으로 맞춰 투석 진행중입니다. rUF 볼륨을 높이는건 어떨까요? BFR(blood flow rate)도 높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석날 복용할 수 있는 혈압약으로 처방주실 것 있을까요?
  • 4. 건체중 조절 원함
    환자분께서 건체중 조절 원하셔서 연락드렸습니다. b2015년 ckd 진단받고 HD 중인 분으로 건체중 63.5kg 로 맞춰져 있습니다. 최근 몇주간 post wt 64.5kg입니다. a환자분께서 63.5kg에 맞춰 투석하면 힘들고 어지럽다 하십니다. dyspnea 없고, 부종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r건체중 1kg 정도 올려서 64.5kg에 맞추는건 어떨까요?
  • 5. K+ 수치 상승
    김00님 Lab 검사상 칼륨 수치 6.4로 상승되어 있어 연락드렸습니다. b2015년 CKD 진단받고 HD 중인 분으로 지난주 Lab 검사상 투석전 칼륨 6.0이었고, 투석후 f/u Lab 결과 4.2로 내려왔었습니다. a현재 EKG 붙어서 모니터중이고 저린감각, 오심, 구토는 없습니다. 투석 시작시 BP는 156/69, PR 69입니다. r투석후에 f/u 할 Lab 처방주실 것 있으실까요?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투석중 체온 상승 상황
    투석 중 체온 상승은 심각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감염, 탈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온 상승이 지속되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체온 상승 시 환자의 활력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해열제 투여, 수액 공급, 감염 치료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중 체온 상승이 반복되는 경우 투석 방식이나 투석기 교체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2. 통증 호소 상황
    투석 중 통증 호소는 환자의 고통을 나타내는 중요한 징후입니다. 이는 혈관 천자 부위의 통증, 근육경련, 두통, 복통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통증 양상과 정도를 면밀히 파악하고, 진통제 투여, 자세 변경, 근육 마사지 등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근육경련의 경우 전해질 불균형 교정, 근육 강화 운동 등의 대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투석 중 통증 관리는 환자의 안녕과 치료 순응도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3. 투석중 혈압상승 상황
    투석 중 혈압 상승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과도한 수분 제거, 자율신경계 이상,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혈압 상승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수액 공급, 혈압강하제 투여, 투석 속도 조절 등의 대응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압 상승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수분 제거의 경우 건체중 조절, 투석 시간 조절 등의 대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투석 중 혈압 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4. 건체중 조절 원함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건체중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건체중은 환자의 영양 상태와 수분 균형을 반영하는 지표이며, 이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합병증 예방과 예후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환자가 건체중 조절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은 환자의 식이 섭취, 활동량, 투석 처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인화된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체중 측정, 영양 상담, 투석 처방 조정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동기 부여와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지원도 중요합니다. 건체중 관리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K+ 수치 상승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고칼륨혈증은 매우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고칼륨혈증은 심장 리듬 장애, 근육 마비, 사망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K+ 수치 상승 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식이 조절, 약물 조정, 투석 처방 변경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고칼륨혈증 예방을 위한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성신부전 환자의 K+ 수치 관리는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