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6개
-
중심정맥관 유지관리(Central line management)2025.05.101.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 및 분류 중심정맥관이란 수액, 약물, 수혈,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상대정맥 혹은 우심방 입구에 삽입 사용하며, 사용 목적과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에는 단기간 or 장기간의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투여, 말초 정맥염 발생 위험성 감소, 만성중환자에서 장기간 TPN이 필요한 경우, 말초혈관에 접근이 불가능 하거나 잦은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 중환자에서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관찰하는 경우 등이 있다. 사용기간에 따른 분류로는 단기(1-3주), 중기(6개월 전후),...2025.05.10
-
우측 반간절제술&laparoscopic nephrectomy 수술과정 실습일지2025.05.151. 우측 반간절제술 복강경하 간엽절제술 후 우측 반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과정은 전신마취 후 lithotomy position에서 시작하여 좌반측와위 자세로 준비하였다. 배꼽 아래와 우측 늑골연, 전방액와선 등에 투관침을 삽입하여 수술 포트를 확보하였다. 담낭절제술 후 간을 거상하여 하대정맥과 간정맥을 확인하고 박리하였다. 간문부를 박리하여 우측 글리슨지를 결찰 및 절제하였다. 간실질 절단 시 출혈 방지를 위해 프링글 기법을 사용하였고, CUSA와 Ligasure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간을 절제하였다. 절제된 우측...2025.05.15
-
중심정맥관 종류, 병동컨퍼런스용 PICC catheter, Chemoport, Perm catheter2025.05.101. 중심정맥관의 목적 및 종류 중심정맥관은 말초정맥염 발생 위험성 감소,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투여, 만성중환자에서 장기간 TPN이 필요한 경우, 말초혈관에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잦은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 중심정맥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자 상태 평가 필요 시, 응급 투석 등 특별한 치료를 위해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의 종류로는 non tunneled infusion catheter, non tunneled dialysis catheter, tunneled infusion catheter, tunneled ...2025.05.10
-
중심정맥관(CHMO PORT)리포트2025.01.04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하며, 장기간의 정맥주입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의 종류에는 비터널 카테터, 터널 카테터, 말초주입 중심정맥 카테터, 이식형 포트(chemoport) 등이 있습니다. 중심정맥관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약물 투여, TPN 등의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 측정, 혈액 채혈, 다량의 수액이나 ...2025.01.04
-
성인간호학실습 실습일지 성찰일지 혈액종양병동, 내과병동, 임상실습일지2025.01.171. 폐질환 간호 COPD 환자의 산소포화도 관찰 및 관리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산소포화도가 중요한 지표이며, 보조 호흡근 사용, 호흡수, 흉곽 팽창 등을 확인하여 환자를 관리해야 합니다. 2. 림프종 환자의 퇴원간호 림프종 환자의 케모포트 관리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케모포트 삽입 및 제거는 의사가 하며, 간호사는 소독과 드레싱 등 관리를 돕습니다. 청결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3. 패혈성 쇼크 환자 간호 패혈성 쇼크 환자의 증상과 간호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저혈압 관리, 수액 공급, 항생제 투여 등이 중요하며, 다장기부전 ...2025.01.17
-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이해2025.01.211. CVC 정의 CVC(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는 큰 중심정맥인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으로 삽입되어 끝(tip)이 상대정맥, 하대정맥 또는 우심방 내에 거치하도록 하는 인체 내 삽입도구이다. 2. CVC 적응증 CVC는 다량의 수액 투여가 필요한 경우, 고농축 수액 및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는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 투석 또는 혈장교환술, 심박동조율기, 폐동맥관 삽입이 필요한 경우, 중심정맥압 감시가 필요한 경우, 응급 상황에서 말초혈관에 정맥관을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 채혈이 지속되는...2025.01.21
-
성인간호실습 담낭절제술 수술방법 및 절차2025.01.171. 담낭절제술 담낭절제술은 담낭과 담석을 동시에 제거하는 수술 방법으로, 복강경 수술이 주로 사용된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합병증이 적고 담관 손상이 적으며 수술 후 통증이 적다. 또한 입원 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수술 후 24시간 이내 퇴원이 가능하며 1-3주 이내 일상 활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 2. 담낭염 담낭염은 담석이 담낭관을 막아 담즙이 정체되어 발생한다. 담즙이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담낭벽을 자극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담낭벽의 부적절한 순환, 부종, 팽만 및 허혈 상태가 초래된다. 그...2025.01.17
-
EMLA 크림 도포가 소아암환자의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 바늘삽입 시 통증인지와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2025.05.061. EMLA 크림 EMLA 크림은 lidocaine과 prilocaine이 주성분인 국소마취제로, 주사바늘 삽입 시 또는 표재성 외과적 처치 시 피부의 표면을 마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EMLA 크림 적용 후 침습적 처치를 시행한 아동의 반응을 보여주는 동영상이 제공되었다. 2. 중심정맥카테터 중심정맥카테터는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항암제 투여, 수혈 등에 사용된다. 단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포트(케모포트)가 있으며,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해 국소마취 하에 시술된다. 3. 통증 측정 도...2025.05.06
-
중심정맥관 삽입환자 간호2025.11.141. 중심정맥관의 정의 및 종류 중심정맥관(CVC)은 상대정맥으로 연결되는 쇄골하정맥, 경정맥, 척측피정맥 등에 삽입하는 카테터입니다. 임상에서는 히크만 카테터로 불리며 PVC, 테프론,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됩니다. 종류는 비터널형(수일~수주 사용), PICC(말초주입 중심정맥관, 장기간 사용), 터널형(감염 위험 적음), 이식형 포트(미관상 좋음, 일상활동 가능)로 구분됩니다. 2. 중심정맥관의 목적 및 적응증 중심정맥관은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 투여, TPN 등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CVP) 측정, 혈액 채...2025.11.14
-
중심정맥관 관리(C-line,Chemo port,히크만 카테터)2025.01.161. 중심정맥관 적응증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한다. 2. 중심정맥관 위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면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3....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