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삽입환자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A+ 중심정맥관 삽입환자 간호 발표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6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관의 정의 및 종류중심정맥관(CVC)은 상대정맥으로 연결되는 쇄골하정맥, 경정맥, 척측피정맥 등에 삽입하는 카테터입니다. 임상에서는 히크만 카테터로 불리며 PVC, 테프론,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됩니다. 종류는 비터널형(수일~수주 사용), PICC(말초주입 중심정맥관, 장기간 사용), 터널형(감염 위험 적음), 이식형 포트(미관상 좋음, 일상활동 가능)로 구분됩니다.
-
2. 중심정맥관의 목적 및 적응증중심정맥관은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 투여, TPN 등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CVP) 측정, 혈액 채혈, 다량의 수액이나 혈액 동시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장기간의 정맥 내 항생제 투여, 비경구영양, 화학요법, 지속적 진통제 투여, 혈액제제 투여 등에 적용됩니다.
-
3. 중심정맥관 합병증 및 관리주요 합병증으로는 정맥염(카테터로 인한 기계적 손상), 패혈증(무균술 결여), 공기색전(공기 주입), 혈류 감염(감염성혈전정맥염, 심내막염, 골수염) 등이 있습니다. 정맥염 시 즉시 주입 정지 및 따뜻한 습포 적용, 패혈증 시 삽입부위 매일 관찰 및 감염증상 보고, 공기색전 시 좌측 트렌델렌버그 체위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중심정맥관 간호 및 유지관리드레싱 교환은 투명 드레싱 7일마다, 멸균 거즈드레싱 2일마다 시행하며 멸균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카테터 캡은 3~7일마다 교환하고, 관류는 끝이 열린 카테터는 헤파린 희석용액으로, 끝이 막힌 카테터는 생리식염수 후 헤파린으로 시행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술, 모자, 마스크, 멸균 가운과 장갑 착용이 필수입니다.
-
1. 중심정맥관의 정의 및 종류중심정맥관은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인 의료기구로, 대정맥이나 우심방에 직접 접근하여 약물 투여, 영양 공급, 혈액 채취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중심정맥관이 임상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데, 경피적 삽입 중심정맥관(PICC), 터널형 카테터, 포트 등이 있습니다. 각 종류는 삽입 위치, 유지 기간, 목적에 따라 선택되며, 의료진의 정확한 이해와 선택이 환자 안전에 직결됩니다. 특히 삽입 위치와 카테터 재질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 관리의 기초가 되므로, 의료 교육에서 충분히 강조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입니다.
-
2. 중심정맥관의 목적 및 적응증중심정맥관의 목적은 매우 다양하며, 중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 생명을 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역학적 모니터링, 장기간의 정맥 영양 공급, 자극적인 약물의 안전한 투여, 혈액 투석 등이 주요 목적입니다. 적응증은 환자의 임상 상태, 예상 치료 기간, 말초정맥 접근의 어려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 암 환자, 신부전 환자 등에서 중심정맥관의 적절한 사용은 치료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의료진의 정확한 판단과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중심정맥관 합병증 및 관리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은 감염, 혈전, 카테터 폐색, 천공 등 다양하며, 이들은 환자의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LABSI)은 환자의 입원 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를 증가시키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합병증 관리는 조기 발견, 신속한 대응, 그리고 체계적인 치료로 이루어지며, 의료진의 높은 경각심과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필수적입니다. 합병증 발생 시 카테터 제거 여부를 포함한 신중한 임상 판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감시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
4. 중심정맥관 간호 및 유지관리중심정맥관의 간호 및 유지관리는 합병증 예방의 핵심이며, 의료진의 전문성과 책임감이 직접적으로 환자 안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무균 기법의 철저한 준수, 정기적인 드레싱 교환, 카테터 개방성 유지, 감염 징후 모니터링 등이 기본적인 간호 활동입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의료진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으로 일관된 관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표준화된 간호 프로토콜과 정기적인 감시, 그리고 팀 기반의 접근 방식이 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대학병원 출신 간호사가 작성한 정맥주입요법(Intravenous infusion)1. 정맥주입요법의 일반적 관리 정맥주입요법의 일반적 관리에는 정맥 주입 전 사정, 정맥주입기구 선정, 정맥관 삽입부위 소독, 정맥주입기구의 개방성 유지, 정맥주입기구의 교환과 제거 등이 포함됩니다. 정맥주입요법과 관련된 환자의 요구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사정이 필요합니다. 2. 말초 정맥관 관리 말초정맥관 관리에는 삽입부위 선정, 삽...2025.05.03 · 의학/약학
-
중심정맥관 종류와 관리1. 중심정맥관의 정의와 적응증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경정맥이나 쇄골하 정맥으로 관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중심정맥관은 체액 균형 유지, 장기간 약물 투여,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특징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식 카테터와 터널식 카테터가 ...2025.01.24 · 의학/약학
-
중심정맥관의 이해1. 중심정맥관의 정의 중심정맥관(중심정맥카테터)은 손이나 발 등의 작은 말초 정맥이 아닌 몸통에서 심장으로 연결되는 큰 정맥인 쇄골 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2.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중심정맥관은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내경정맥은 상대정맥으로의 주행거리가 짧고 곧아 성공률이 높아 선호되는 부위...2025.01.06 · 의학/약학
-
악성 담관암종 환자의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1. 담관암 담관암은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는 담관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간내담관암과 간외담관암으로 나뉩니다. 주로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약간 더 많습니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만성적인 염증, 경화성담관염, 염증성대장질환, 담관낭종, 간디스토마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담석을 동반하는 경우도...2025.01.03 · 의학/약학
-
일혈 간호와 중심정맥관 관리 + 국시기출1. 일혈 간호 일혈이란 항암제가 조직 속으로 들어가 조직이 손상되거나 괴사되는 것을 말한다. 정맥주사요법의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이며, 증상으로는 통증, 작열감, 발적, 부종, 종창, 혈액 역류 안됨 등이 있다. 일혈 상태는 발포, 자극, 발적, 아나필락시스, 과민반응 등으로 분류된다. 예방법으로는 최근 정맥 천자 부위 피하기, 주사부위 관찰, 혈액 ...2025.01.16 · 의학/약학
-
식도암 질병보고서1. 식도암 식도암은 식도에 발생하는 암으로, 주로 편평상피암과 선암으로 구분됩니다. 편평상피암은 식도암의 95%를 차지하며, 식도 상부 1/3 이상 부위에서 발견됩니다. 선암은 최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만성 위식도 역류에 의한 바렛식도로 발생합니다. 식도암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흡연, 음주, 식습관, 영양결핍 등과 관련...2025.01.04 · 의학/약학
-
A+ 중심정맥관 Central line 삽입 환자 간호 피피티 14페이지
Central line insert 환자 관리01 중심 정맥관 ( Central line) 정의 02 PICC insert 환자 관리 03 Hemo-cath insert 환자 관리 04 Chemo-port insert 환자 관리 05 삽입술 관련 합병증1 중심 정맥관 (Central Venous line) 정의1 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 CVC) A D C B 신체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 경정맥 , 대퇴정맥 , 팔의 대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2022.09.04· 14페이지 -
[성인간호]중심정맥관 종류와 관리 9페이지
REPORT중심정맥관의 종류와 간호Ⅰ.서론선정이유중심정맥관은 다양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시술을 받고 있다. 중심정맥관을 갖고 있는 환자들도 흔히 볼 수 있는데 환자들 모두 중심정맥관의 위치, 종류 등의 차이점을 갖고 있었다. 그동안의 실습에서는 ‘말초정맥관이 아닌 중심정맥에 삽입하는 관’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만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쓰임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중심정맥관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그에 대한 간호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병원에서는 중심정맥관으로 인한 감염이 빈번하다고 한다. 중심정맥관의 ...2024.11.02· 9페이지 -
중심정맥관 관리 및 간호 30페이지
중심정맥관 관리 간호목차 중심 정맥관 종류 중심 정맥관 삽관 후 관리 중심 정맥관 합병증 관리1. 중심정맥관 종류 중심 정맥관이란 ? 대정맥으로 삽입한 카테터의 팁이 상대정맥 (superior vena cava) 또는 하대정맥 (inferior vena cava) 에 위치한 카테터중심 정맥관 종류 및 삽입 위치 ◎ internal jugular vein insertion ◎ subclavian vein insertion ◎ femoral vein catheter ◎ PICC 1. 중심정맥관 종류1. 중심정맥관 종류 Subclavia...2022.10.29· 30페이지 -
건강반응과 간호3 실습(TPN, 중심정맥관, 중심정맥압) 13페이지
건강반응과 간호Ⅲ 실습(TPN, 중심정맥관,중심정맥압)제출일2020년 00월 00일 0요일과목명건강반응과 간호Ⅲ교수명000 교수님실습기간2020. 00. 00~ 2020. 00. 00소속·학년간호학부 0학년학번/이름1. 완전비경구영양 1P2. 중심정맥관 5P3. 중심정맥압 8P4. 출처 11PⅠ.완전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완전 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전해질이 포함된 용액을 중심정맥을 통하여 주입하는 것이다.-...2020.12.23· 13페이지 -
CVP (중심정맥압) 측정 질병고찰 5페이지
1.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이란?중심정맥압은 우심방 혹은 신체를 돌고 귀환하는 모든 혈액이 지나가는 대정맥의 압력을 말한다. 중심정맥압 측정은 신체의 수분상태와 우심실 기능에 대한 정보, 우심실의 전부하 상태를 제공한다. 또한 중심정맥압은 순환과 관계가 깊어 혈액의 양과 증가된 혈액의 양을 견디는 심장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주기 때문에 수액요법을 위한 귀중한 지침이 된다. 정상치는 5-10cm/H₂0이다.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측정방법●준비∙준비물품: suture...2021.03.11·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