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유지관리(Central line management)
본 내용은
"
중심정맥관 유지관리(Central line managemen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 및 분류
    중심정맥관이란 수액, 약물, 수혈,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상대정맥 혹은 우심방 입구에 삽입 사용하며, 사용 목적과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에는 단기간 or 장기간의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투여, 말초 정맥염 발생 위험성 감소, 만성중환자에서 장기간 TPN이 필요한 경우, 말초혈관에 접근이 불가능 하거나 잦은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 중환자에서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관찰하는 경우 등이 있다. 사용기간에 따른 분류로는 단기(1-3주), 중기(6개월 전후), 장기(6개월 이상)로 나뉘며, 용도에 따른 분류로는 주입용(터널식, 비터널식), 투석용(터널식, 비터널식), 매립형 포트 등이 있다.
  • 2.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는 내경정맥을 통해 삽입 후 카테터의 나머지 부분을 피하에 터널처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술실 또는 혈관조영실에서 시술한다. 적용 기간은 최소 1개월 이상이며, 주로 항암화학요법, 총정맥영양법, 장기정맥항생제, 말초혈관줄기세포의 채집 또는 이식 등에 사용된다. 소아의 경우 Broviac 4.2&6.6 Fr(single lumen), Hickman 7&10Fr (Double, Triple lumen)을, 성인의 경우 Hickman 9.6~12.5Fr (single ~ Triple lumen)을 사용한다. 삽입 부위에는 Dacron cuff가 있어 피하에 고정되어 감염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 3.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는 말초혈관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응급상황, 단기입원 환자에게 사용된다. 주로 Shock, bleeding 상황에서 수액 및 혈액의 대량 주입, 단기사용 시 항암치료나 정맥항생제투입, TPN 영양 등에 사용된다. 적용 기간은 1~3주(권고: 2주이내)이며, 소아는 4~5.5 Fr, 성인은 6~8 Fr 크기의 1~3개의 lumen(보통 2lumen 이상)을 사용한다. 삽입 부위는 우측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등이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 4.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동정맥루가 성숙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는 환자, 혈장교환술이나 투석요법이 필요한 신장이식 환자, 복막염 치료로 인하여 단기간 복막투석을 중단한 복막투석요법 환자, 신장이식 전 단기간의 투석요법이 필요한 환자, 응급 혈액투석이 필요한 환자 등에게 사용된다. 투석시 혈액의 재순환 방지를 위해 임시 동맥관, 임시 정맥관에 비해 길이가 짧다.
  • 5.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피하 매몰부 및 dacron cuff가 없어 3주 미만의 단기 사용이 가능하다. 주로 AKI로 중환자실에서 CRRT가 필요한 경우나 환자가 혈관조영실로 이동할 컨디션이 안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 6. 매립형 포트
    매립형 포트는 장기간의 비연속적인 항암치료, 말초혈관의 접근이 나쁜 암환자, 신체상 예민한 사춘기 청소년 및 자가간호가 어려운 환자 등에게 6개월 이상~수년간 사용된다. 감염률이 터널식 또는 비터널식 중심정맥관에 비해 낮고, 사용하지 않을 때 별도의 소독이 불필요하며 샤워할 때도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Huber needle이 빠지는 경우가 있어 약액이 새기도 하고, Huber needle 삽입 시 통증이 있으며 소아에서 성장으로 인해 피부사이가 두꺼워져 Huber needle disloc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 7.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은 항생제 치료, Chemotherapy, TPN 등을 위해 지속적인 정맥확보가 필요하나 어려운 경우 사용된다. 주로 사용하지 않는 팔의 Basilic vein을 천자해 삽입하며, 기흉, 혈흉의 낮은 위험성, 삽입 후 폐 합병증 확인을 위한 chest X-ray 없이 바로 사용 가능, 다른 중심정맥관보다 시술이 편하고 비용 저렴, 말초정맥 삽입 횟수 감소로 환자 편의성 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 8. 중심정맥관 Dressing
    중심정맥관을 통한 감염관리를 위해 무균적으로 올바르게 Dressing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삽입부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필름드레싱은 7일, 메딕스 및 거즈 드레싱은 2일 주기로 시행한다. 물이나 땀에 젖거나, 출혈 또는 염증, 감염징후 발생 시 매일 또는 필요시마다 교환한다. 드레싱이 피부에 밀착되지 않고 카테터 삽입부위까지 들뜨는 경우 즉시 소독한다.
  • 9. 중심정맥관 유지를 위한 희석액 관류
    중심정맥관 폐색 예방을 위해 1:100 헤파린 희석액 또는 생리식염수 관류를 시행한다. 헤파린 희석액 준비 시 헤파린 5,000 IU 5cc와 멸균 생리식염수 50ml 중 5cc를 제거한 45cc를 혼합하여 100 IU/ml 농도로 만든다. 삽입용량은 Lumen 당 4cc이며, Chemo port 사용 종료 시 또는 사용하지 않는 동안 4~6주 간격으로 시행한다.
  • 10. 중심정맥관 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 관류
    중심정맥관 폐색 예방을 위해 생리식염수 관류를 시행한다. 중심정맥관 사용 후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생리식염수로 관류하여 관내 혈액을 제거하고 관내강을 유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 및 분류
    중심정맥관 삽입의 주요 목적은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맥 접근로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중심정맥관은 삽입 부위와 목적에 따라 터널식 중심정맥관, 비터널식 중심정맥관,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매립형 포트 등으로 분류됩니다. 각 유형은 삽입 방법, 유지 관리, 합병증 예방 등에서 차이가 있어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한 중심정맥관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터널식 주입용 카테터는 피부 아래로 터널을 만들어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터널 구간이 피부와 피하조직을 통과하므로 감염 위험이 낮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주로 장기 정맥 영양 공급, 항암 화학요법, 혈액 투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터널식 카테터는 삽입 및 관리가 복잡하지만 감염 예방과 안정성 면에서 장점이 있어 적절한 적응증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3.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
    비터널식 주입용 카테터는 피부를 직접 천자하여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터널식 카테터에 비해 삽입이 간단하지만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주로 단기 정맥 영양 공급, 수액 투여, 혈액 채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비터널식 카테터는 삽입과 관리가 용이하지만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습니다.
  • 4.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혈액 투석을 위해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피부 아래로 터널을 만들어 삽입하므로 감염 위험이 낮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주로 급성 신부전 환자나 만성 신부전 환자의 장기 혈액 투석에 사용됩니다.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삽입과 관리가 복잡하지만 감염 예방과 안정성 면에서 장점이 있어 혈액 투석 환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5.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피부를 직접 천자하여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터널식 카테터에 비해 삽입이 간단하지만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주로 급성 신부전 환자의 단기 혈액 투석에 사용됩니다.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는 삽입과 관리가 용이하지만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기 혈액 투석이 필요한 경우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습니다.
  • 6. 매립형 포트
    매립형 포트는 피부 아래에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필요할 때마다 피부를 천자하여 약물 투여나 수액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피부 아래에 매립되어 있어 감염 위험이 낮고 활동성이 높은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주로 장기 항암 화학요법, 만성 통증 관리, 장기 정맥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매립형 포트는 삽입과 관리가 복잡하지만 감염 예방과 활동성 면에서 장점이 있어 적절한 적응증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7.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은 팔의 말초 정맥을 통해 삽입되어 중심 정맥까지 도달하는 중심정맥관입니다. 삽입이 비교적 간단하고 감염 위험이 낮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단기 정맥 영양 공급, 항암 화학요법, 수액 투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PICC는 삽입과 관리가 용이하지만 혈전 형성, 정맥 염증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8. 중심정맥관 Dressing
    중심정맥관 드레싱은 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무균적 기법으로 드레싱을 교환하고 투명 드레싱을 사용하여 삽입 부위를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드레싱 교환 시기와 방법, 드레싱 재료 선택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합니다. 중심정맥관 감염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므로 철저한 드레싱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9. 중심정맥관 유지를 위한 희석액 관류
    중심정맥관 내부를 정기적으로 희석액으로 관류하는 것은 혈전 형성 예방과 카테터 개통성 유지를 위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헤파린 희석액이나 생리식염수가 사용되며, 관류 방법과 주기, 용량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합니다. 중심정맥관 관류는 감염 예방과 카테터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되므로 환자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히 시행되어야 합니다.
  • 10. 중심정맥관 유지를 위한 생리식염수 관류
    중심정맥관 내부를 생리식염수로 관류하는 것은 혈전 예방과 카테터 개통성 유지를 위해 중요합니다. 생리식염수 관류는 헤파린 관류에 비해 출혈 위험이 낮고 비용 효과적이며,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관류 방법과 주기, 용량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필요하며, 환자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히 시행되어야 합니다. 중심정맥관 관리에 있어 생리식염수 관류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