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MLA 크림 도포가 소아암환자의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 바늘삽입 시 통증인지와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문서 내 토픽
-
1. EMLA 크림EMLA 크림은 lidocaine과 prilocaine이 주성분인 국소마취제로, 주사바늘 삽입 시 또는 표재성 외과적 처치 시 피부의 표면을 마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EMLA 크림 적용 후 침습적 처치를 시행한 아동의 반응을 보여주는 동영상이 제공되었다.
-
2. 중심정맥카테터중심정맥카테터는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항암제 투여, 수혈 등에 사용된다. 단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포트(케모포트)가 있으며,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해 국소마취 하에 시술된다.
-
3. 통증 측정 도구얼굴표정척도, 시각적상사척도, 행동관찰체크리스트 등이 아동의 통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변화를 통해 생리적 통증반응을 측정하였다.
-
4. 후버바늘후버바늘은 중심정맥주사를 용이하게 하는 바늘로, 나비모양의 고정 핀이 있다.
-
5. 소아암환자의 통증 관리소아암환자의 치료과정에서 겪게 되는 침습적 처치로 인한 통증은 아동과 보호자에게 불안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EMLA 크림 적용과 같은 통증 중재 방법이 중요하다.
-
1. EMLA 크림EMLA 크림은 국소 마취제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주사 전 피부에 도포하여 통증을 줄일 수 있어 소아 환자나 주사 시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하지만 도포 시간이 길고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EMLA 크림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동의를 구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
2. 중심정맥카테터중심정맥카테터는 중요한 정맥 접근로를 제공하지만 감염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의료진은 삽입 전 철저한 무균술을 준수하고, 삽입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에게 중심정맥카테터의 목적과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중심정맥카테터 관리에는 의료진과 환자의 노력이 모두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3. 통증 측정 도구통증 측정 도구는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연령, 인지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통증 측정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통증을 평가하고 기록하여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환자 또한 통증 측정 도구 사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통증을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4. 후버바늘후버바늘은 정맥 천자 시 사용되는 안전 주사기로, 주사 후 바늘이 자동으로 덮여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이는 혈액 매개 감염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후버바늘은 일반 주사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사용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은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후버바늘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의료진에게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에게도 후버바늘 사용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
5. 소아암환자의 통증 관리소아암환자의 통증 관리는 매우 중요하지만 복잡한 과정입니다. 의료진은 소아 환자의 발달 단계, 인지 능력, 의사소통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통증 사정 도구와 중재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협조를 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통증 관리에는 약물 요법뿐만 아니라 비약물적 중재 방법도 함께 활용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아암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동간호학 논문조사 보고서 "EMLA크림 도포가 소아암환자의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 바늘삽입 시 통증인지와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