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9개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1.10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수치가 정상화되는 등 임상적으로 충분한 호전이 있으면서 카테터를 통해 나오는 액체의 양이 거의 없어지면 카테터를 제거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촬영(CT)...2025.01.10
-
승모판역류(심장질환)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 실습) A+ 자료 (2022년 자료) [간호진단 3개]2025.05.071. 시술로 인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대상자는 PCI 시술, C-line 및 A-line 적용, PICC 삽입 등 다양한 침습적 처치를 받았다. 이로 인해 감염 위험성이 높아졌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진통제 투여, 무균법 수행, 항생제 투여, WBC 수치 관찰, 대상자 교육 등을 통해 감염 예방 및 관리에 힘썼다. 2. 심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는 EF 40-44%로 심기능이 저하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심박출량 감소 증상을 보였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요법 실시, 심혈관계 약물 ...2025.05.07
-
아동간호진단 호흡기계 감염으로 인한 후두부종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부적절한 지혈과 관련된 쇼크 위험성2025.04.271. 급성 후두개염 6세 아동이 인후통, 연하곤란과 침흘림, 39℃의 고열로 응급실에 입원했다. 아동은 아파 보이고 피부는 홍조를 띠고 있으며, 안전 부절 못하고 앉아 있거나 자신의 팔에 기대고 싶어 했다. 아동의 어머니는 아이가 2~3일간 물이나 음식 중 어느 것도 먹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급성 후두개염의 증상으로 볼 수 있다. 급성 후두개염은 호흡곤란이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것은 기도개방이다.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준비하며, 이후에 SPO2와 lung sound를 듣고 호흡이 원활한지 확인한다...2025.04.27
-
췌장염 질병보고서 및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포함)2025.04.291.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은 위의 뒤쪽, 십이지장 근방에 위치한 소화기관으로 길이 15cm, 폭 5cm, 무게는 약 100g 정도의 길고 편평한 모양이며 머리(두부), 몸통(체부), 꼬리(미부) 3부분으로 나뉜다. 췌장은 췌장액(소화효소)을 분비하는 외분비기능과 랑게르한스섬을 통해 호르몬을 혈관 내로 분비하는 내분비기능을 수행한다. 2. 췌장염의 정의 췌장염은 췌장효소(주로 트립신)가 십이지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자가소화(autodigestion)를 유발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이로 인해 췌장 분비샘이 파...2025.04.29
-
[종합실습 A+] 병동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 약품 (실제 사진) + 병동 주요 시술 및 수술 검사2025.04.291. 병동 드레싱 카트 물품 및 소독 약품 양지병원 드레싱 카트에 포함된 물품 및 소독약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포셉, 가위, 멸균 탈지면, 소독제 등 드레싱 및 처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품과 소독약품이 카트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각 물품과 약품의 사용 목적 및 용도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2. 병동 주요 시술 및 수술 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시술 및 수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갑상선고주파시술, 요실금 수술, 편도절제술, 담낭절제수술, 치핵수술, 충수절제술, 사타구니 탈장수술, 하지정맥류 수술 등 다양한 시술과 수...2025.04.29
-
[A+인증O]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S STEMI 간호과정 및 PICO 근거기반간호중재 / 심장중환자실(CCU) 케이스2025.01.161.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예후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대상자는 STEMI로 PCI를 시행한 환자이다. 시술 시 100ml이상의 많은 조영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의 위험이 있다. 조용제 유발 신장병증은 급성 신부전의 원인 중 하나이고, PCI는 CT에 비해 조영제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PCI 시술 전·후의 수액요법이 CIN예방에 효과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CIN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해당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합병증...2025.01.16
-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관상동맥조영술, CAG2025.01.161. 관상동맥의 해부학 관상동맥은 대동맥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입니다. 좌측관상동맥(LCA)은 좌측주관상동맥(LM), 좌전하행동맥(LAD), 좌회선동맥(LCx)으로 구성되며, 우측관상동맥(RCA)도 있습니다. 대각선 가지(Diagonal branches, D)와 예각가지(Obtuse Marginal arteries, M)도 있습니다. 2. 관상동맥질환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의 경화로 인해 발생하며,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대표적입니다. 관상동맥이 50% 이상 좁아지면 유의한 협착, 70% 이상 좁아지면 심각...2025.01.16
-
수면 내시경 후 낙상 사고 사례 및 예방 대책2025.01.131. 수면 내시경 후 낙상 사고 72세 여성 환자가 수면 내시경 검사 후 회복실에서 의식 회복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침대에서 떨어져 경추 골절 등의 중상을 입은 사례입니다. 이 사고의 문제점으로는 환자의 의식 회복 상태 확인 부족, 의료진의 관찰 및 지도 부족, 내시경실 침대 배치 문제, 인력 부족, 낙상 예방 교육 부족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2. 수면 내시경 후 낙상 예방 대책 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제안된 대책으로는 수면 내시경 환자를 간호사실 인근에 배치, 의식 회복 교육 및 안내문 게시, 회복실 침대 높이 조절, 보호자...2025.01.13
-
진정치료시 간호, sedation care2025.01.291. 진정(sedation) 진정(sedation)은 약물에 의해 의식수준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검사, 시술 및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GABA 활성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지만, 활성정도가 지나치면 호흡, 심박동 억제가 일어나 사망위험이 있을 수 있다. 2. 진정의 단계 진정의 단계는 각성, 최소진정, 중등도진정, 깊은진정, 전신마취로 구분된다. 각 단계에 따라 목적, 반응, 호흡, 심혈관계 상태가 다르다. 3. 진정의 목적 진정은 영상 검사에...2025.01.29
-
chest pain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2025.01.291. 가슴통증(chest discomfort) 가슴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가슴 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을 말하며, 심장, 폐, 대동맥, 식도, 늑막, 흉곽, 소화기 등 다양한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슴통증의 양상, 발생 시간, 지속 시간, 호흡 및 식사에 따른 변화 등의 증상 양상은 원인 질환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심장으로 인한 흉통은 가슴중앙부에서 2-15분 정도 지속되며 운동 시나 육체적 활동, 과식, 흥분, 흡연, 한랭노출 등으로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호흡에 따라 통증이 심해지면 늑막 등 흉곽질환의 위험이 높고...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