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정치료시 간호, sedation care
본 내용은
"
진정치료시 간호, sedation car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31
문서 내 토픽
-
1. 진정(sedation)진정(sedation)은 약물에 의해 의식수준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검사, 시술 및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GABA 활성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지만, 활성정도가 지나치면 호흡, 심박동 억제가 일어나 사망위험이 있을 수 있다.
-
2. 진정의 단계진정의 단계는 각성, 최소진정, 중등도진정, 깊은진정, 전신마취로 구분된다. 각 단계에 따라 목적, 반응, 호흡, 심혈관계 상태가 다르다.
-
3. 진정의 목적진정은 영상 검사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통증을 수반하는 시술을 위해서는 진통 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4. 진정치료의 적용 범위진정치료는 수면내시경, 뇌파검사, 영상검사 등 각종 의학적 검사 및 시술을 위해 소아, 성인 환자에게 적용되며, 침습적 시술은 제외된다.
-
5. 진정 치료의 대상 환자 분류진정 치료의 대상 환자는 ASA 신체등급에 따라 ClassⅠ~ClassⅥ로 분류되며, 전신질환의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응급수술의 경우 ClassⅠ~ClassⅥ에 추가로 분류된다.
-
6. 진정 전 평가 사항진정 전 평가 사항에는 ASA 신체등급, 기도평가, 진정 실패 경험, 알레르기 질환 또는 아나필락시스 반응 경험, 금식 시간, 투약 중인 약물, 검사 또는 시술의 복잡성과 소요 시간, 환자의 자세 등이 포함된다.
-
7. 진정 중 환자 간호진정 중 환자 간호에는 모니터링, 기도유지를 위한 기구 및 장비 사용, 진정 약물 투여 등이 포함된다. 안전한 진정을 위한 평가도구로는 진정점수(RSS, MOAA/S), 소아의 통증점수(FLACC, Oucher, VAS) 등이 사용된다.
-
8. 진정 중 합병증 및 대처진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호흡계, 심혈관계 문제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처로 산소공급 증가, 기도유지, 인공호흡, 인공기도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
9. 진정 후 환자 관리진정 후 회복관리는 진정 회복실이나 적절한 장비가 갖춰진 곳에서 활력징후를 15분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퇴실기준(Aldrete score 9점 이상)을 만족하면 모니터링을 종료한다.
-
10. 진정 후 회복상태 평가진정 후 회복상태는 반사능력, 호흡, 순환, 의식상태, 피부색깔 등을 평가하는 회복점수(Modified Aldrete Score)로 확인한다. 퇴실기준은 9점 이상이며, 9점 이하여도 호흡, 순환, 산소포화도가 모두 2점 이상이면 의사 판단하에 퇴실을 결정할 수 있다.
-
1. 진정(sedation)진정(sedation)은 환자의 불안감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을 투여하여 의식 수준을 낮추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의료 절차를 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진정은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며, 의료진의 숙련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진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진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생체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진정의 단계진정의 단계는 크게 최소 진정, 중등도 진정, 깊은 진정으로 구분됩니다. 최소 진정은 환자가 언어적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상태이며, 중등도 진정은 언어적 자극에는 반응하지만 통증 자극에는 반응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깊은 진정은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을 유지하지만 통증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각 단계의 진정 수준은 환자의 상태와 의료 절차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며, 진정 수준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과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
3. 진정의 목적진정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불안감과 통증을 완화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의료 절차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협조도를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진정은 환자의 생리적 반응을 억제하여 의료 절차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진정의 목적은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며, 의료진의 숙련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진정 수준이 선택되어야 합니다.
-
4. 진정치료의 적용 범위진정치료는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외과 수술, 내시경 검사, 방사선 검사 등의 침습적인 의료 절차에서 환자의 불안감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 환자의 안정을 위해 진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정치료의 적용 범위는 의료 분야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며, 의료진의 숙련도와 환자 모니터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
5. 진정 치료의 대상 환자 분류진정 치료의 대상 환자는 크게 성인과 소아로 구분됩니다. 성인 환자의 경우 전신 마취가 필요한 수술이나 내시경 검사 등에서 진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아 환자의 경우 불안감과 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 진정 치료가 더욱 중요합니다. 소아 환자의 진정 치료 시에는 성인과 달리 약물 용량 및 투여 방법, 모니터링 등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기저 질환, 약물 알레르기 등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정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6. 진정 전 평가 사항진정 치료를 시행하기 전에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해야 합니다. 먼저 환자의 병력, 기저 질환, 약물 복용력 등을 확인하여 진정 치료에 따른 위험 요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심혈관 및 호흡기 기능, 기도 상태 등을 평가하여 진정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자의 불안감과 통증 수준을 파악하여 적절한 진정 수준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전 평가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진정 치료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7. 진정 중 환자 간호진정 중에는 환자의 생체 징후와 의식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특히 호흡, 순환, 의식 수준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진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를 들어 저혈압, 저산소증, 구토 등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 체위 변경, 구토물 흡인, 통증 관리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진정 중 환자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안녕을 최우선으로 하며, 의료진의 숙련도와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
8. 진정 중 합병증 및 대처진정 치료 중에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흡 억제, 저혈압, 저산소증, 구토, 알레르기 반응 등이 대표적인 합병증입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상태와 진정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합병증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기도 확보, 산소 공급, 약물 투여 등의 응급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합병증 발생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대처 능력은 환자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9. 진정 후 환자 관리진정 치료 후에는 환자의 회복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진정 약물의 잔여 효과로 인해 호흡 저하, 저혈압, 구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의식 수준, 활력 징후, 통증 정도 등을 평가하여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진정 후 환자는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관찰이 필요하며, 퇴원 시에는 보호자에게 주의 사항을 교육하여 안전한 귀가를 도와야 합니다. 진정 후 환자 관리는 합병증 예방과 환자의 안전한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10. 진정 후 회복상태 평가진정 치료 후 환자의 회복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의식 수준, 호흡, 순환 등의 생체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정상 범위로 회복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진정 약물의 잔여 효과로 인한 구토, 어지러움, 졸음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자의 통증 정도와 불편감을 평가하여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회복 상태 평가 결과에 따라 퇴원 시기를 결정하고, 퇴원 후 주의 사항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해야 합니다. 진정 후 회복 상태 평가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
[중환자 실습 A+] 교수님 극찬 다발성 골절(multiple fracture) 간호과정 2개(출혈, 낙상 위험) + 가능한 간호진단 근거 포함 O 9페이지
[A+]중환자간호학 실습 사례보고서- Mutiple fracture 간호과정 -과목명담당교수실습 병동학번성명제출일대상자 진단목록(가능한 간호진단)1. 외상으로 인한 간 열상 및 골절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CT 결과상 혈흉, 활동적인 출혈 양상의 간 열상으로 explor laparotomy 시행 후 JP drain 갖고 있으며, CTD로 혈흉 배액중임- Rt. tibio fibula OR/IF, Rt. humerus OR/IF- 혈액검사 수치참고치23:55(Adm)07:2311:3617:3823:4706:0216:18RBC▼2.98...2023.12.01· 9페이지 -
응급중환자실 실습_ 좌심부전으로 인한 폐부종 케이스스터디_가스교환장애 34페이지
성인 간호학 실습응급중환자실 실습- Left heart failure -좌심부전 케이스스터디A. 자료수집 양식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1) 현병력○ 과거력85세 여자 환자로 HTN(Hypertension, 고혈압), DM(당뇨), dementia(치매)으로 약물 복용하고 있으며, 담석절제술, 작년 23. 12. 22.에 좌측 고관절 고절로 local에서 고관절 수술한 이력있음. 또한 24.03.06에 좌측 손목골절로 현재까지 부목 적용 중임. 원래 일상생활 다 가능하신 분이지만 작년 12월 고관절 수술 이후에 집안...2024.06.29· 34페이지 -
HICU AMI 임상사례 구두보고서 4페이지
1) 대상자 정보(1) 개인력 및 건강력성별/나이M/66세키/체중170/67.8kg진단명AMI(acute myocardial infarction)주증상cardiac arrest과거력- 고혈압혈액형AB+- 수술경험 X / 음식, 항생제, 기타 allergy X- 입원동기고혈압 과거력이 있는 분으로 내원 당일 쓰러진 채 발견되어 타병원 내원.초기 EKG상 V.fib arrest -> shock 150, 150, 200 시행 후 ROSC, 다시 arrest 재발생 후 ROSC- PCAS (post cardiac arrest syndrom...2024.09.08· 4페이지 -
진정의정의, 진정의단계, 진정의자격 17페이지
진정교육 ( Sedation)정의 Sedation( 진정 ) 이란 의식수준을 낮추기 위하여 약물로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는 기법 목적 1. 안정과 평안을 유지 , 신체적 불편 , 통증 , 불안을 최소화 2. 부적절한 반응 or 갑작스런 움직임 통제 3. 소아 , 의사소통 어려운 성인에 신속하게 시술 행위 진정 정 의 목적진정단계 ( 진정 깊이의 연속성 ) general anesthesia 마취1. 최소진정 (minimal seation ) : 약물에 의해 유도되고 구두명령 에 정상적으로 반응 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 2. 중등도 진정...2022.04.10· 17페이지 -
뇌전증(epilepsy) 문헌고찰 및 SBAR 9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3)[ sbar 보고서 ]과제명: Epilepsy 대상자에 대한 SBAR성명:학번:실습지:제출일:성인간호학실습(3) 환자 상태 기록1. Past History- Iron deficiency anemia와 2008년 4월 본원 Epilepsy 진단받고 Epilepsy로 세브란스 병원 F/U&po. medi 중임- 2010년 seizure로 본원 입원 치료함- 내원 당일 mild fever 있다가 fever develop 되어 해열제 먹이고 Sat 떨어져 ER 통해 SICU로 입원함- 주증상 dyspnea 호소하고 응급실...2024.03.24·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