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2개
-
성인간호학실습 A+ 직장암 간호과정(문헌고찰+, 진단적 검사+, 간호과정 3개+)2025.01.241. 장 폐색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몸통중심으로 갈비뼈 전체가 아프다고 호소하였고, 얼굴을 찌푸리고 배를 감싸쥐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통증 사정 시 NRS 5점을 호소하였다.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고, 통증의 양상과 위치, 빈도, 지속시간을 사정하였다. 처방에 따라 morphine을 IV 투여하고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주의깊게 관찰하였다. 대상자가 전날 밤 급성통증으로 인해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했음을 기록하고, 수면에 방해가 될만한 소음 및 환경들을 제거하였다. 대상자에게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비...2025.01.24
-
현직 간호사의 PICC 관련 자료2025.01.16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정맥에 삽입되어 중심정맥까지 도달하는 카테터로, 주로 전완의 척측피정맥, 요측피정맥, 상완정맥 등을 통해 삽입됩니다. PICC의 종류로는 single rumen(3Fr), double rumen(4Fr), triple rumen(5~6Fr) 등이 있습니다. PICC의 목적은 장기적인 수액 투여, 수혈, TPN, 승압제 투여 등이며, 중심정맥관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사용 기간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삽입 후에는 혈전 막힘, 감...2025.01.16
-
중심정맥관 관리(C-line,Chemo port,히크만 카테터)2025.01.161. 중심정맥관 적응증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한다. 2. 중심정맥관 위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면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3....2025.01.16
-
SICU 외과계중환자실 실습일지 성찰보고서2025.01.13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팔의 대정맥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한다. 보통 중환자에게 많이 적용되며, Peripheral line을 잡기 어려운 환자, 다시 말해서 말초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한다.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게 되면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2025.01.13
-
중심정맥관 종류와 관리2025.01.241. 중심정맥관의 정의와 적응증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경정맥이나 쇄골하 정맥으로 관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중심정맥관은 체액 균형 유지, 장기간 약물 투여,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특징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식 카테터와 터널식 카테터가 있으며, 각각 단기간과 장기간 사용 목적으로 구분된다. 비터널식 카테터에는 CVC, PICC, Hemo-cath가 있고, 터널식 카테터에는 Hickman, Perm-cath, Ch...2025.01.24
-
감염관리 사례2025.04.28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정의는 2일 이상 초과하여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 감염발생일 또는 그 전날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CIC, bladder irrigation, cystoscopy, condom drainage 등은 모두 제외하고 유치도뇨관만 포함한다. 소변배양에서 2종류 이하의 균이 자라나야 하며, 무균적으로 채취한 소변 검체를 사용해야 한다. 2.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의 정의는 2일을 초과하여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 감염 발생일 또는 전일에...2025.04.28
-
카테터 종류와 관리 방법2025.01.081. 케모포트 케모포트는 항암제와 같은 약물 주입, 수혈, 체혈을 위해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연결부위를 가진 포트와 카테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모포트의 장점은 말초혈관을 사용할 수 없거나 정맥주사 혈관을 찾기 어려운 경우, 고농도 영양제 주입 시 유용하며 외관상 잘 드러나지 않고 관리만 잘하면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케모포트 삽입 시 준비사항과 과정, 삽입 후 관리 방법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L-tube L-tube는 끝이 둥글고 양쪽으로 구멍이 있는 관으로, 비강을 통해 위에 도달하여 약물...2025.01.08
-
[성인간호학] PTBD 경피경간담도배액술 간호, 중심정맥관 특성2025.01.051.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서 담관의 폐색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담도가 폐쇄되어 담즙이 저류되는 경우, 황달, 화농성 담도염, 담낭염, 패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시술을 통해 저류된 담즙을 체외로 배액시켜 담도의 압력을 낮출 수 있습니다. 피하를 통해 가느다란 배액관을 담도까지 삽입하여 담즙을 체외로 배출하거나 담석 제거, 협착 부위 확장을 위한 경로를 확보합니다. 이를 통해 황달과 ...2025.01.05
-
중심정맥관(CHMO PORT)리포트2025.01.04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하며, 장기간의 정맥주입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의 종류에는 비터널 카테터, 터널 카테터, 말초주입 중심정맥 카테터, 이식형 포트(chemoport) 등이 있습니다. 중심정맥관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약물 투여, TPN 등의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 측정, 혈액 채혈, 다량의 수액이나 ...2025.01.04
-
중심정맥관의 이해2025.01.061. 중심정맥관의 정의 중심정맥관(중심정맥카테터)은 손이나 발 등의 작은 말초 정맥이 아닌 몸통에서 심장으로 연결되는 큰 정맥인 쇄골 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2.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중심정맥관은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내경정맥은 상대정맥으로의 주행거리가 짧고 곧아 성공률이 높아 선호되는 부위이며, 쇄골하정맥은 감염 발생률이 낮고 환자의 편의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에 유리하지만 시술 중 기흉, 혈흉 발생 가능성이 있다. 대퇴정맥은 다른 경로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사...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