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사례
본 내용은
"
감염관리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문서 내 토픽
  • 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정의는 2일 이상 초과하여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 감염발생일 또는 그 전날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CIC, bladder irrigation, cystoscopy, condom drainage 등은 모두 제외하고 유치도뇨관만 포함한다. 소변배양에서 2종류 이하의 균이 자라나야 하며, 무균적으로 채취한 소변 검체를 사용해야 한다.
  • 2.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의 정의는 2일을 초과하여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 감염 발생일 또는 전일에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발열(>38℃), 치골상부 압통, 늑척추각 동통이나 압통, 빈뇨, 절박뇨, 배뇨곤란 중 1개 증상이 있어야 한다.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발열(>38℃, 65세 이하), 치골상부 압통, 늑척추각 동통이나 압통, 빈뇨, 절박뇨, 배뇨곤란 중 1개 증상이 있으면 요로감염으로 정의한다.
  • 3. 무증상 균혈증 요로감염
    무증상 균혈증 요로감염의 정의는 유치도뇨관 삽입여부와 관계없이 발열(>38℃), 치골상부 압통, 늑척추각 동통이나 압통, 빈뇨, 절박뇨, 배뇨곤란 증상이 없으나 소변배양에서 요로병원성 균이 분리된 경우를 말한다.
  • 4. 주사감염 예방
    주사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위생 수행, 일회용 장갑 사용, 일회용 장치 사용, 피부 소독, 사용한 장치 폐기, 바늘 사용 후 뚜껑 닫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 관리, 검체 튜브 고정, 주사침 자상 보고 및 PEP 시작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둘 이상의 환자에게 같은 장갑 사용, 장갑 세척, 주사기/바늘 재사용 등은 금지된다.
  • 5.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 관리를 위해서는 손 소독, 삽입 부위 소독, 내관이 한 개인 카테터 사용, 무균술 준수, 삽입 부위 관리, 수액 세트 교환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항균 또는 방독 처리된 중심정맥관 제품을 고려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유치도뇨관 사용은 요로감염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며, 이로 인해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치도뇨관 사용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에도 가능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무균적 삽입 기술, 적절한 관리, 감시 등 다양한 예방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을 줄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은 매우 흔한 감염 질환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으로는 배뇨통, 빈뇨, 요절박, 혈뇨 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요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 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균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 위험 요인 관리, 수분 섭취 증가, 방광 건강 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은 적절한 관리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무증상 균혈증 요로감염
    무증상 균혈증 요로감염은 증상이 없어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는 특히 고위험군 환자, 면역저하자, 고령자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정기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요로감염의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고,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증상 균혈증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리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주사감염 예방
    주사감염 예방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주사 투여 시 무균술 준수, 주사기 및 주사액 관리, 주사 부위 소독 등의 기본적인 감염 관리 원칙이 지켜져야 합니다. 또한 주사 투여 전후 손위생 수행, 주사 부위 관찰, 주사 관련 감염 발생 모니터링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주사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주사감염 예방을 위한 의료진의 인식 제고와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5.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 관리는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무균술 준수, 삽입 부위 관리, 정기적인 드레싱 교환 등의 기본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중심정맥관 사용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가능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