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생산계획 및 통제: 마스터 스케줄 관리2025.11.141. 마스터 스케줄(Master Schedule, MS) 마스터 스케줄은 짧은 기간에 대해 상세하게 계획하며 고객의 주문을 반영하는 특징이 있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누적 소요시간(cumulative lead time)보다 마스터 스케줄 계획기간을 같거나 길게 두어야 한다. S&OP 기간이 마스터스케줄보다 길고, 마스터스케줄이 누적 소요시간보다 길어야 한다. 마스터 스케줄은 S&OP를 분해하며, 고객의 실제 주문수량을 수요예측에 직접 반영하는 유일한 기법이다. 2. 타임펜스(Time Fence) 관리 타임펜스는 마스터스케줄 관...2025.11.14
-
생산계획 및 통제: 마스터 스케줄과 수요관리2025.11.141. Planning Bill of Materials (PBM)와 Two-Level Master Schedule ATO 환경에서 마스터 스케줄을 개발할 때 수요예측은 최종제품이 아닌 옵션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Planning Bill of Materials(슈퍼 빌)는 이를 위해 개발되며, 과거 판매율을 기반으로 각 옵션의 비율을 설정한다. Two-level master schedule은 상위 레벨에서 최종제품의 예측값으로 공통부품에 대한 MS를 수립하고, 하위 레벨에서 모든 옵션 레벨에 대해 MS를 수립한다. 이를 통해 고객 주문...2025.11.14
-
생산계획 및 통제: 마스터스케줄과 ATP 논리2025.11.141. 마스터스케줄(Master Schedule, MS) 마스터스케줄은 고객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다르게 개발·관리된다. MTS(재고생산)에서는 완제품 수준에서, ATO(주문조립)에서는 옵션 수준에서, MTO/ETO(주문생산)에서는 원자재 수준에서 수립된다. 각 환경에서 최종 제품의 종류와 원자재의 종류 비율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마스터스케줄의 수립 범위와 방식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자전거의 경우 28가지 옵션과 1가지 공통조립체 총 29가지에 대해서만 마스터스케줄을 개발하면 12,960개의 조합을 모두 계획할 필요가 없다. 2....2025.11.14
-
판매 및 운영계획(S&OP)과 마스터 스케줄2025.11.141. 판매 및 운영계획(S&OP)의 정성적 요인 S&OP는 금전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간적 요소(고용, 해고, 초과근무), 고객 요소(가격 변화, 프로모션의 장기적 영향), 수요예측 오류 대비(버퍼 재고, 버퍼 용량), 외부 환경 요소(노동조합, 법적 규제, 경쟁력, 자연재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되는 계획이다. 금전적 측면만 고려하면 실패 확률이 높아진다. 2. 수요예측의 중요 쟁점 수요예측의 상세화 수준은 시간/일/주/월 단위 선택에 따라 판도가 달라지며, 대부분 월 단위 이상으로 진행된다. 계획 기간은 자원 확보에 필요한 ...2025.11.14
-
[명지대 ERP개론] SD모듈 CASESTUDY, CHALLENGE2025.05.131. 고객 마스터 데이터 생성 새로운 고객 The Bike Zone의 마스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고객 정보, 배송 정보, 청구 정보 등을 입력하여 고객 마스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생성하였다. 2. 연락 담당자 마스터 데이터 생성 The Bike Zone과 계약 시 소통하는 연락 담당자의 마스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름, 언어, 국적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연락 담당자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생성하였다. 3. 연락 담당자를 고객 마스터에 등록 생성된 연락 담당자 데이터를 고객 마스터 데이터에 비즈니스 파트너로 등록하는 과...2025.05.13
-
물류관리3공통 빈칸에 적절한 단어추가하여 문장완성 A사는 핵심 공급자로 부품B구입한다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기업사례소개하시오002025.01.261. ERP 시스템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은 생산, 재무, 유통 등 제반 경영 기능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업의 통합정보시스템입니다.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며, 기업이 프로세스 표준화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는 제품 생산일정과 부품/반제품의 소요량 및 조달기간 등을 고려하여 언제, 얼마만큼의 부품/반제품을 주문 ...2025.01.26
-
생산계획 및 통제: MRP와 생산능력관리2025.11.141. 자재소요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MRP는 제품의 BOM(Bill of Materials) 구조를 기반으로 주별 자재 보충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입니다. MRP 기록은 총요구량(Gross Requirements), 예정수령(Scheduled Receipts), 예상재고(Projected Available), 순요구량(Net Requirements), 계획발주(Planned Order Releases)의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부모제품의 계획발주량에 리드타임을 반영하여 하위부품의 ...2025.11.14
-
생산계획 및 통제: 재고관리와 자재소요계획2025.11.141. ABC 재고관리법 ABC 재고관리법은 연간 화폐사용량(Annual dollar usage)에 따라 재고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A 품목(상위 20%)은 전체 투자의 약 70%를 차지하며 가장 엄격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B 품목(20~50%)은 중간 수준의 관리를, C 품목(50% 이하)은 느슨한 관리를 받습니다. 비싼 품목일수록 정확한 재고관리가 필수적이며, 저가 품목이라도 긴 리드타임이나 높은 품절 손실비용이 있으면 A 수준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실물재고 조사 방법 실물재고 조사는 완전 조사(wall-to-wa...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