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생산계획 및 통제: 마스터 스케줄과 수요관리
본 내용은
"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생산계획 및 통제 8주차 강의내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0
문서 내 토픽
  • 1. Planning Bill of Materials (PBM)와 Two-Level Master Schedule
    ATO 환경에서 마스터 스케줄을 개발할 때 수요예측은 최종제품이 아닌 옵션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Planning Bill of Materials(슈퍼 빌)는 이를 위해 개발되며, 과거 판매율을 기반으로 각 옵션의 비율을 설정한다. Two-level master schedule은 상위 레벨에서 최종제품의 예측값으로 공통부품에 대한 MS를 수립하고, 하위 레벨에서 모든 옵션 레벨에 대해 MS를 수립한다. 이를 통해 고객 주문 시 각 옵션의 재고 현황을 파악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 2. Mix Hedge와 Market Hedge 전략
    Mix hedge는 최종제품 수요에는 변화가 없으나 옵션 선택에 변화가 있을 때 대비하는 전략으로, 예상 추가 수요량을 percentage over planning을 통해 반영하여 안전재고를 유지한다. Market hedge는 최종제품 자체의 수요 증가에 대비하는 전략으로, 옵션이 아닌 공통부품(common part)에 대해 안전재고를 확보한다. 두 전략은 서로 다른 수요 변동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방식이다.
  • 3. 마스터 스케줄 개발 시 고려사항
    MS 개발자는 S&OP와 같은 제약 요소를 파악해야 하며, MPS 값은 생산 완료된 제품 수량을 반영해야 한다. Lot Size는 총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설정하고, 안전재고는 수량 또는 비율로 수립할 수 있다. Firm Planned Order를 고려하여 컴퓨터 변경 범위를 설정하고, what-if 시나리오를 통해 모든 경우의 수를 검토해야 한다. MS는 고객 주문과의 접점이자 생산 지시의 출발선으로 작용한다.
  • 4. 수요관리(Demand Management)의 역할과 중요성
    수요관리는 고객 주문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통제하는 것이다. 예측, 의사소통, 영향력, 우선순위 설정과 할당능력이 수요관리의 중요 측면이다. 마케팅과 영업이 제조부문보다 유연성이 크므로 사전대처 가능한 부분에 대해 수요 통제를 요청할 수 있다. MTS, ATO, MTO 환경에 따라 고객의 영향력 정도가 달라지며, 고객 선호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고객 소통역량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Planning Bill of Materials (PBM)와 Two-Level Master Schedule
    PBM과 Two-Level Master Schedule은 복잡한 제조 환경에서 생산 계획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PBM은 제품 구성을 단순화하여 수요 예측과 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하며, Two-Level Master Schedule은 상위 수준의 전략적 계획과 하위 수준의 세부 생산 계획을 연계시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히 다양한 제품 변형이 많은 산업에서 재고 최적화와 납기 준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만 정확한 PBM 구성과 수준별 계획의 동기화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조직 전체의 데이터 정확성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2. Mix Hedge와 Market Hedge 전략
    Mix Hedge와 Market Hedge는 수요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상보적인 전략입니다. Mix Hedge는 제품 믹스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유연성 있는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반면, Market Hedge는 전체 시장 수요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재고를 유지합니다. 두 전략을 적절히 조합하면 과잉 재고를 최소화하면서도 고객 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전략의 비용-편익을 정확히 분석하고 기업의 시장 특성과 경쟁 환경에 맞게 조정해야 효과적입니다.
  • 3. 마스터 스케줄 개발 시 고려사항
    마스터 스케줄 개발은 생산 계획의 기초이므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수요 예측의 정확성, 생산 능력의 현실적 평가, 원자재 공급 안정성, 납기 요구사항, 재고 정책 등이 모두 반영되어야 합니다. 또한 마스터 스케줄은 정적이 아닌 동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시장 변화와 내부 제약 조건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춰야 합니다. 효과적인 마스터 스케줄은 영업, 생산, 구매 등 여러 부서 간의 협력과 합의를 통해서만 수립될 수 있습니다.
  • 4. 수요관리(Demand Management)의 역할과 중요성
    수요관리는 단순한 수요 예측을 넘어 수요를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조절하는 전략적 기능입니다. 정확한 수요 정보는 공급망 전체의 효율성을 결정하며, 수요 변동성을 줄이는 것은 재고 비용과 생산 비효율을 감소시킵니다. 수요관리를 통해 고객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현실적인 수요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과잉 생산이나 부족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업과 운영 부서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수요-공급 균형을 맞추는 것이 기업의 수익성과 고객 만족도 향상에 직결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