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PN(Acute Pyelonephritis)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진단3개 과정1개)
본 내용은
"
A+ APN(Acute Pyelonephritis)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진단3개 과정1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5
문서 내 토픽
  • 1.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국내 보고로는 1년에 인구 10,000명 당 35.7명의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이 중 여자는 9.96명, 남자는 1.18명이 입원치료를 받는 흔한 질환이다. 특히 여성은 해부학적인 요인으로 인해 20∼35%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신우신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만큼 질병의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
  • 2. 신우신염의 정의
    신우신염(pyelonephritis)은 신우과 콩팥잔을 포함하는 상부 요로감염이다.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숙주의 저항력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원발성 질환이지만 다른 곳의 감염과정이 파급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3. 신우신염의 병태생리
    신우신염은 흔히 하부요로에서 시작되며 콩팥으로 상행감염이 된다. 급성 신우신염은 신농양, 신주위 농양, 기종성 신우신염(emphysematous pyelonephritis), 만성 신우신염을 수반한다. 급성 신우신염은 경과가 짧지만, 감염의 재발이 빈번하여 20% 정도는 치료 후 2주 이내에 재발한다. 만성 신우신염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급성기에 충분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성 신우신염은 콩팥잔의 기형과 피질에 상흔이 나타나고 콩팥단위(신원, nephron)는 상흔조직으로 대체되며 콩팥단위의 감소로 콩팥이 위축된다. 감염은 균혈증(bacteremia)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13%가 말기 콩팥질환이 되기도 한다.
  • 4. 신우신염의 원인
    방광이 주된 감염원이다. 급성 신우신염은 요도의 세균오염이나 도뇨 혹은 방광경 검사가 원인이 된다. 만성 신우신염은 요역류나 만성적인 폐색이 있을 때 발생하며 급성 감염이 재발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우(신장의 배출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이 상행성으로 진행되어 신우까지 이르게 됩니다. 신우신염은 급성 및 만성으로 나뉘며,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요통, 배뇨통 등이 나타납니다. 신우신염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수분 섭취, 요로 감염 예방 등의 관리를 통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우신염이 의심되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2. 신우신염의 정의
    신우신염은 신우(신장의 배출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이 상행성으로 진행되어 신우까지 이르게 됩니다. 신우신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급성 신우신염은 갑작스러운 발열, 오한, 요통, 배뇨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만성 신우신염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신우신염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수분 섭취, 요로 감염 예방 등의 관리를 통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신우신염의 병태생리
    신우신염의 병태생리는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이 상행성으로 진행되어 신우까지 이르게 되면 신우에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세균이 신우 내부로 침투하여 증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신우의 점막이 손상되고 염증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염증 반응은 신우의 부종, 충혈, 농양 형성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우 내부의 세균 증식은 신장 기능 저하와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우신염의 병태생리는 세균 감염에 의한 신우의 염증 반응과 이로 인한 합병증 발생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4. 신우신염의 원인
    신우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감염입니다. 대장균(E. coli)을 비롯한 다양한 세균이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을 일으키고, 이것이 상행성으로 진행되어 신우까지 이르게 됩니다. 이 외에도 요로결석, 요로폐쇄, 당뇨병, 임신, 면역저하 상태 등이 신우신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카테터 삽입, 요로 수술, 방사선 치료 등의 의료 행위도 신우신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우신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요로감염 예방, 수분 섭취 증진, 당뇨병 관리, 면역력 증진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 행위 시 무균 술기 준수가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