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골절 환자의 중환자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중환자 실습 A+] 교수님 극찬 다발성 골절(multiple fracture) 간호과정 2개(출혈, 낙상 위험) + 가능한 간호진단 근거 포함 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2
문서 내 토픽
-
1. 외상성 출혈 관리간 열상 및 다발성 골절로 인한 혈흉과 활동성 출혈 환자의 간호. 개복술 후 JP drain과 흉강 배액관(CTD)을 통한 배액 관리, 혈액검사(RBC, Hb, HCT) 모니터링, FFP 및 적혈구 농축액 수혈, 지혈제(Tranexamic acid) 투여 등을 포함한 출혈 예방 및 관리 중재. 배액양 감소 및 혈액 수치 정상화를 통한 출혈 위험성 감소를 목표로 함.
-
2. 낙상 위험 관리의식저하 및 진정제 투여로 인한 심한 움직임과 관련된 낙상 위험 환자의 간호. Morse fall scale을 이용한 낙상 위험도 사정(75점, 고위험군), 신체억제대 적용, 침상난간 유지, back care 시 안전 관리, 진정제 적절한 용량 투여 등의 중재. 환자의 안전을 위한 다층적 낙상 예방 전략 수립 및 실행.
-
3. 중환자 진정 및 의식 평가중환자실 환자의 의식 수준 평가를 위한 RASS(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및 GCS(Glasgow Coma Scale) 사용. Remifentanil, Precedex, Haloperidol 등 진정제의 지속적 사용 및 용량 조절. 과도한 진정으로 인한 혈압 저하 시 용량 감량 등 환자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진정 관리.
-
4. 수술 후 활력징후 및 전해질 관리다발성 골절 수술 후 혈압, 맥박, 호흡수 등 활력징후의 지속적 모니터링. 출혈로 인한 순환혈량 감소 시 혈압 저하 및 빈맥 보상 기전 관찰. 전해질 불균형(저나트륨혈증, 저칼슘혈증) 관리 및 수액 보충(NS, Plasmalyte). I/O balance 모니터링을 통한 체액 균형 유지.
-
1. 외상성 출혈 관리외상성 출혈 관리는 응급의료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신속한 지혈과 적절한 수액 소생술이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좌우합니다. 현장에서의 초기 대응, 압박 붕대 적용, 지혈대 사용 등의 기본 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병원 도착 후에는 수혈 프로토콜과 수술적 개입의 타이밍이 결정적입니다. 특히 대량 출혈 환자의 경우 조직 관류 회복과 응고 장애 교정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체계적인 훈련과 프로토콜 준수가 환자 예후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
2. 낙상 위험 관리낙상은 입원 환자의 주요 합병증이며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합니다. 환자의 나이, 약물 복용, 인지 기능, 이동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위험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환경 개선, 적절한 보조기구 제공, 정기적인 모니터링, 보호자 교육 등 다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신경계 질환자의 경우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예방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중환자 진정 및 의식 평가중환자의 진정 관리는 환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진정은 합병증을 증가시킵니다. 표준화된 의식 평가 도구(GCS, RASS 등)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진정제 선택, 용량 조절, 정기적인 깨우기 시도 등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진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숙련도와 프로토콜 준수가 환자의 회복 기간 단축과 합병증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4. 수술 후 활력징후 및 전해질 관리수술 후 활력징후와 전해질 관리는 환자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혈액 검사를 통한 전해질 불균형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수술 중 수액 손실, 출혈, 조직 손상으로 인한 전해질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이상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와 신속한 교정이 필수적입니다.
-
늑골 골절 (Multiple Rib Fracture)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case study1. 늑골 골절 늑골 골절은 낙상,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흉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흉부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늑골 골절의 주요 증상은 골절 부위의 심한 통증이며, 치료는 통증 완화가 중요하다. 간호 중재로는 통증 관리, 호흡 운동 격려, 활동 보조 등이 필요하다. 2. 다발성 늑골 골절 다발성 늑골 골절은 2개 이상의 늑골이 ...2025.05.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골절 MRF (multiple rib fracture) 케이스 스터디 (진단 5개, 과정 2개)1. 골절 골절(fracture)은 외부적 힘에 의해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염좌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골절의 치유과정은 혈종 형성, 세포증식, 가골형성, 골화, 골 재형성 단계를 거치며, 치료는 정복, 고정, 재활의 원칙에 따른다. 손목골절의 경우 도수정복 후 석고붕대 고...2025.01.16 · 의학/약학
-
가스교환장애, 급성통증, 사고과정 장애 간호과정1. 가스교환장애 대상자는 multiple rib Fx 진단을 받았으며, hemothorax로 인해 chest tube 삽관이 되어 있는 상태였다.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ABGA 검사 결과 respiratory alkalosis 소견을 보였다. 간호사는 4시간마다 호흡 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하였으며, ABGA 검사를 매일 시행하여 수치를 확인하였다. 편안한...2025.01.12 · 의학/약학
-
수술실실습(늑골 다발성 폐쇄골절 사례보고서)1. 늑골 다발성 폐쇄골절 환자는 5월 23일 욕실에서 넘어져 늑골의 다발골절이 발생하였습니다. 수술 전 검사 결과 WBC, RBC, Hct, MPV, PLT 등의 수치가 낮았고, T-bilirubin, Urine SG, Glucose 등의 수치가 높았지만 수술에 크게 문제되지 않았습니다. 수술은 전신마취로 우측위 자세로 진행되었고, 수술 후 환자 상태는 ...2025.05.04 · 의학/약학
-
다발성골수종(MM) 케이스스터디 A+1. 다발성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은 우리 몸에서 면역항체를 만드는 형질세포가 혈액암으로 변하여 주로 골수에서 증식하는 질환이다. 형질세포는 골수의 조혈모세포에서 유래되며, B림프구가 항원에 자극을 받아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를 골수종세포라고 부르며, 모든 암 중 1%, 혈액암 중 10%를 차지한다. 다발성 골수종의 암세포는 ...2025.01.18 · 의학/약학
-
다발성 외상 응급간호관리1. 다발성 외상의 정의 다발성 외상(polytrauma)은 Injury Severity Score (ISS)가 15점보다 크고, Abbreviated Injury Scale (AIS)이 최소 두 구역에서 3점 이상이면서 다섯 가지의 병적 상태 중 최소 한 가지 이상을 갖는 경우로 정의된다. 다섯 가지 병적 상태는 90 mmHg 이하의 수축기 혈압, 8점 ...2025.01.09 · 의학/약학
-
2021 외상중환자실 다발성 골절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3개, A+) 16페이지
외상 중환자실 다발성 골절 케이스 A+(Trauma intensive care unitMultiple fracture case)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2. 문헌고찰Ⅱ. 본론1. 간호사정2. 간호진단3. 간호과정Ⅲ. 결과Ⅳ.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외상 중환자실(TICU)에 많이 내원하는 환자는 정형외과(OS), 신경외과(NS), 흉부외과(CS)이다. 실습을 진행하면서 관찰하였을 때 NS와 CS가 대부분이었고 OS가 주진료과로 정해져 있는 대상자는 20명 중 1명뿐이었다. 외상 중환자실에서 주진료과를 정하는 기준...2021.04.06· 16페이지 -
A+) 외상중환자실 케이스_췌장손상, 다발성 골절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간호과정] 29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III 사례보고서진단명: Injury of pancrea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목차I. 서론1. 사례선정 이유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3. 자료수집II. 본론1. 대상자 검사결과2. 대상자 치료계획3. 대상자 약물치료4. 대상자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I. 서론1. 사례선정 이유오토바이 TA 수상하여 외상소생술을 통해 입원한 환자로 외상소생술에서의 응급처치과정부터 관찰해왔던 사례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환자는 췌장손상, 대퇴골의 개방성 분절골절, 무릎/경골의 골절, 경골/내측복사/...2025.01.01· 29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중환자실 TICU 골절 OR/IF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4개 37페이지
I. 일반정보이름 : OOO나이 : 65세성별 : M입원일 : 2022. 09. 21진단명 :Multiple rib fractureTraumatic hemopneumothorax without open wound into thoracic cavityFracture of mid-shaft clavicle Rt.Injury of liver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Fracture of ilium pelvis, Rt.Traumatic retroperitoneal bleeding수술명: Rib OR/IF, Rt...2022.12.09· 37페이지 -
다발성골절환자 사례 간호과정 A+보고서 11페이지
다발성골절 CASE STUDYⅠ. 문헌고찰(1) 골절의 정의 및 원인골절은 뼈들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골절, 척추골절 그리고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골전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다.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며,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전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것이다. 분쇄골절 중 분절성 골절은 한 개의 골에서 서로 연결되지 ...2022.06.24· 11페이지 -
중환자 케이스스터디, 현직 간호사가 만들었습니다(병원 들어가도 계속 만들어요 여러분, 퀄리티 보장, 외상외과 중환자실, 윗년차 간호사한테 3번 까임),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 12페이지
케이스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Ⅰ. 서론 및 문헌고찰상기 환자분의 경우 drunken 상태로 도로에 누워있다가 차에 부딪혀 내원하였다.주진단명은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이다. 심한 복통을 호소하여 시행한 검사 결과에서 chest CT 상에서 Rt.4,5th rib Fx와 무기폐 소견을 보였고 whole spine CT 상에서 SP fx ...2024.04.23· 1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