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
본 내용은
"
(A+)[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 기법에 대해 'focus on formS', 'focus on meaning'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1
문서 내 토픽
  • 1. 과제 중심 교수요목
    과제 중심 교수요목은 언어를 분절하여 제시하지 않고 덩어리로 제시하는 특징이 있다. 학습자가 수행하게 될 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언어를 습득하고 학습하는 과정에 목표를 두기 때문에 언어 사용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2. 형태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 교육의 장점은 그대로 취하면서 학습자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도 중시하게 된다. 이 기법은 의사소통 활동 중에 학습자를 의미 중심으로 교육하면서 동시에 형태에도 관심을 두도록 유도한다.
  • 3. 형태 중심 교수법(focus on formS)
    형태 중심 교수법은 언어 형태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을 학습하는데 대부분의 수업 시간을 할애하는 방법이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구두 청각식 교수법이 이에 해당한다.
  • 4. 의미 중심 교수법(focus on meaning)
    의미 중심 교수법은 단편적인 언어 형태에 대한 지식보다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맞게 의미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데 초점을 둔 방법이다. 총체적 언어 교수법, 의사소통적 접근법, 내용 중심 교수법 등이 이에 해당한다.
  • 5. 형태 초점 교수법의 구체적 적용 예
    형태 초점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도입 단계에서 암시적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주의를 목표 문법에 집중시키고, 문법의 의미를 제시하는 단계에서는 명시적 기법을 활용한다. 연습 단계와 활용 단계에서는 실제적인 과제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향상시킨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과제 중심 교수요목
    과제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수법입니다. 이 방식은 학습자들이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면서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과제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높이고,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문법 지식 습득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과제 중심 교수요목을 적용할 때는 문법 교육과의 균형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2. 형태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학습자들이 의미 전달에 집중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문법 형태에 주목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의미와 형태를 균형 있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법 지식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교사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균형 잡힌 교수법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형태 중심 교수법(focus on formS)
    형태 중심 교수법은 문법 규칙과 형태에 초점을 맞추는 교수법입니다. 이 방식은 체계적인 문법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며, 학습자들이 문법 규칙을 이해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형태 중심 교수법은 문법 지식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형태 중심 교수법을 적용할 때는 의미 중심 활동과의 균형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적절한 문법 교육이 필요할 것입니다.
  • 4. 의미 중심 교수법(focus on meaning)
    의미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수법입니다. 이 방식은 문법 규칙보다는 실제적인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며,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의미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높이고,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문법 지식 습득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의미 중심 교수법을 적용할 때는 문법 교육과의 균형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5. 형태 초점 교수법의 구체적 적용 예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문법 중심 교수법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입니다. 이 방식의 구체적인 적용 예로는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입력 홍보(input flood),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등이 있습니다. 입력 강화는 학습자들이 특정 문법 형태에 주목하도록 하는 방법이며, 입력 홍수는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문법 형태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오류 수정은 학습자들의 오류를 적절히 수정함으로써 문법 지식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적용 방식을 통해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법 지식을 균형 있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