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초 정맥 카테터 삽입에 따른 정맥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
본 내용은
"
A+++ 보장) 정맥염 저널리뷰/ phlebitis 저널리뷰/ 성인간호학 저널리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7
문서 내 토픽
-
1. 정맥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정맥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천자 날짜, 사용된 드레싱, 절차를 수행하는 전문가, PVC 변경 날짜, 천자 위치, 천자 시도 횟수, 사용 중인 정맥 주사 약물, 드레싱 변경 및 다음 검진 등의 기록 유지 2) PVC의 간헐적 세척 및 잠금을 위해 양압 기법을 수행하여 약물 투여 전후에 생리식염수 사용 3) PVC를 통한 혈액 샘플 채취 시 희석된 헤파린 사용 4) 성인의 경우 상지 부위에 카테터 삽입, 하지에 삽입된 카테터는 가능한 한 빨리 상지 부위로 교체
-
2. 정맥염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정맥염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홍반,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온찜질과 냉찜질 병행 적용 2) 0.9% NaCl 적용으로 항염증 반응 자극 및 통증, 발적, 부기 및 부종 완화 3) 섭씨 2-8도의 온도로 Burow 용액 적용 4) 8시간마다 금잔화 연고 도포
-
1. 정맥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정맥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는 매우 중요합니다. 정맥염은 정맥 내 혈전 형성으로 인한 염증 반응으로,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호사는 정맥염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중재를 수행해야 합니다. 첫째, 정맥 주사 시 무균 기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정맥 주사 부위를 소독하고 멸균된 주사기와 주사액을 사용해야 하며, 주사 부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감염 징후를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정맥 주사 부위의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부위를 변경해야 합니다. 정맥 주사 부위가 장기간 고정되면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정맥 주사 부위의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피부 발적, 부종, 통증 등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드레싱을 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넷째, 환자의 활동 수준을 고려하여 정맥 주사 부위의 거동을 제한해야 합니다. 과도한 움직임은 정맥염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간호 중재를 통해 정맥염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정맥염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정맥염 치료를 위한 간호 중재는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첫째, 정맥염 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온찜질, 냉찜질 등의 물리적 요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정맥염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드레싱 관리가 필요합니다. 드레싱 교환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하고, 드레싱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감염 징후가 있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셋째, 정맥염 치료를 위한 약물 요법을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항생제, 항응고제,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을 처방에 따라 정확히 투여하고, 부작용 발
-
수액 종류와 부작용 (N/S, 하트만, 포도당), 중심정맥관 및 말초정맥관 레포트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팔, 다리, 목에서 몸통으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굵은 정맥을 뜻한다. 한 번 삽입하면 제거하기 전까지 피부를 찌르는 고통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심정맥관은 손이나 발등의 말초정맥으로 투여되어서는 안되는 약물(항암제, 고농도 영양제 등)을 장기간 사용해야할 때, 퇴원 후 집에서 계속 수액치료나 항생제 치료가 필...2025.05.08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2025.01.10 · 의학/약학
-
22년 청주성모 응급실 간경화 실습일지, 분담과제, 케이스, 윤리보고서, 사전학습1. 간경화증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상처와 염증에 의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딱딱한 '섬유화' 조직으로 변함으로써 정상 구조가 뒤틀리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이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간경변증의 원인으로는 만성 B형...2025.05.10 · 의학/약학
-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간호진단 3개1.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은 치명적인 뇌졸중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고혈압에 의하여 축적된 소동맥의 혈관 병변과 관련되어 소동맥 및 세동맥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고혈압과 관련되어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는 상황에서 파열되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 혈종을 형성한다. 뇌내출혈은 초기에 오...2025.01.04 · 의학/약학
-
[수술간호] 심혈관계 수술 정리1. 심장수술의 역사 심장수술의 역사는 100여년으로 독일에서 Ludwig Rehn이 좌상으로 출혈이 심한 젊은 청년에게 우심실을 봉합함으로써 심장수술이 시작되었다. 미국에서 첫 심장수술이 1902년에 시작되었고, 심장의 좌상에의한 봉합수술이 시초였다. 1948년에 Charles Bailey가 판막절개도구를 사용하여 승모판 협착증 환자의 페쇄성 교련부 절개...2025.01.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 순환기계 질환 및 간호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체표면에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정상 심전도의 특징은 심박수 60-100bpm, 규칙적인 리듬, P파 높이 2.5mm 미만, P파 폭 0.21초 미만, PR 간격 0.12-0.20초, QRS 복합체 0.10-0.12초, ST 분절은 TP 분절 또는 PR 분절과 일치, T파 높이는 표준 유도에서 5mm 이...2025.05.08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혈역학모니터 보고서 8페이지
혈역학적 모니터< 목차 >Ⅰ. 서론 1Ⅱ. 본론 11. 침습적 혈역학 감시1) 혈역학 감시장치의 작동과 간호중재2) 정상 혈역학 지표①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② 동맥압(intraarterial blood pressure)③ 폐동맥압(pulmonary artery pressure, PA) 및 폐모세혈관쐐기압(PCWP)④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Ⅲ. 참고문헌 6Ⅰ. 서론혈역학 감시(hemodynamic monitoring)란 혈역학적 불안정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2023.02.03· 8페이지 -
정맥염 7페이지
* PLEBITIS1) 질병명 : Phebitis→ 정맥염은 정맥에 생기는 염증으로, 표재성 정맥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정맥염은 종종 혈전증과 함께 발생하며 혈전정맥염 또는 표재성 혈전정맥염이라고 한다. 심부정맥 혈전증과 달리 표재성 혈전정맥염으로 인해 혈전이 분해되어 조각조각 폐로 운반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삽입된 주사바늘과 접촉한 정맥의 내벽사이에 섬유소가 증식되어 주위에 섬유소 막을 형성하며 때로는 광범위하게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송경애 등,2008,p.494).*** 말초 정맥관(Peripheral Venou...2024.11.22· 7페이지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비교와 간호중재 9페이지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병태생리와 비교 서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신부전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1024pixel 만성 신부전(만성 콩팥병 말기)은 신장의 여과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감소하여 몸 속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요독증 증상(오심, 구토, 권태감, 신경계 이상 등)이 나타나고 전해질 불균형 (특히 고칼륨혈증)과 체액 과다 로 인한 부종, 고혈압, 폐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025.04.28· 9페이지 -
85.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PTCA) 11페이지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TCA)대학교/학과교 과 목담 당 교 수제 출 일제출자: 학년/반/학번이름1. 정의- 관상동맥 질환에 유용한 비수술적 요법- 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시술하는 것- 심도자를 이용하여 협착 및 폐쇄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재확장 시도- 주로 협심증으로 인한 흉통의 강도와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 개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2~3일 정도로 짧음- 성공률은 높고, 합병증의 위험은 크지 않음① 협심증의 기간이 짧고 단일 관상동맥 협착증② 다혈관질환③ 3개월 미만의 완전 혈관폐색④ 운...2024.12.21· 11페이지 -
SICU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KD(만성신부전) 간호과정 신장이식 간호과정(KT) 간호진단2개 39페이지
- 사례보고서-제출일학교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Ⅱ실습 병동SICU실습 기간학과간호학과학번이름사례보고서 양식Ⅰ. 대상자 사정일반적정보이름: 박OO 나이: 64세 성별: M활력징후BP : 124/80mmHg, PR : 75회/분, RR : 20회/분, BT : 36.2진단명CKD, stage 5(Chronic kidney disease)키/몸무게178.2 cm, 67 kg BMI : 21.1 정상입원경로□ 응급실 ? 수술실 □ 타병동 □타병원입원방법? 도보 □ 휠체어 □ stretcher □ 기타정보제공자/동반자□ 배우자 □ 자녀 ? 기타...2023.05.31· 3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