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 순환기계 질환 및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 순환기계 질환 및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5
문서 내 토픽
-
1. 심전도 검사심전도 검사는 체표면에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정상 심전도의 특징은 심박수 60-100bpm, 규칙적인 리듬, P파 높이 2.5mm 미만, P파 폭 0.21초 미만, PR 간격 0.12-0.20초, QRS 복합체 0.10-0.12초, ST 분절은 TP 분절 또는 PR 분절과 일치, T파 높이는 표준 유도에서 5mm 이하, 흉부 유도에서 10mm 이하입니다.
-
2. 비침습적 혈압 측정비침습적 혈압 측정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앙와위 자세에서 적절한 크기의 혈압 커프를 상완에 감아야 하며, 움직이거나 의식적으로 힘을 주는 경우 정확하지 않습니다. 또한 팔의 말초동맥 폐쇄 질환, 동정맥루 사용, 유방절제술 시행 부위, 골절 부위에서는 혈압을 측정하지 않습니다.
-
3. 맥박 측정맥박 측정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측을 비교하여 맥박의 속도, 리듬, 강도, 대칭성을 확인해야 하며, 엄지손가락은 측정자의 맥박으로 잘못 측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고 보통 검지와 중지를 이용합니다. 경동맥은 뇌로 가는 혈류 차단으로 실신 가능성이 있으므로 양측을 동시에 누르지 않습니다.
-
4. 부정맥 치료부정맥 치료에는 약물요법과 비약물적 요법이 있습니다. 약물요법으로는 Class I (나트륨통로차단제), Class II (베타차단제), Class III (칼륨통로차단제), Class IV (칼슘통로차단제) 등이 있습니다. 비약물적 요법으로는 인공심장박동조율기, 전기충격, 부정맥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5. 관상동맥 중재술관상동맥 중재술에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풍선 확장술, PTCA)과 관상동맥 우회술(CABG)이 있습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은 비수술적 요법으로 협착된 관상동맥을 확장하며, 관상동맥 우회술은 개흉하여 막힌 관상동맥에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적 요법입니다.
-
6. 관상동맥질환 간호관상동맥질환 환자 간호에는 급성 통증 관리(Nitroglycerin 투여), 불안 관리(부드러운 태도), 지식 부족 관리(Nitroglycerin 소지) 등이 포함됩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혈소판제, 질산염제제, 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응고제 등이 사용됩니다.
-
1. 심전도 검사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심장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심장 리듬 이상, 심근 손상, 허혈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 검사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어 심장 건강 관리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며,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숙련된 의료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2. 비침습적 혈압 측정비침습적 혈압 측정은 혈압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팔에 커프를 감아 압력을 가하여 혈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침습적인 동맥 천자 없이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비침습적 혈압 측정은 편리하고 안전하지만, 측정 방법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혈압 측정을 위해서는 적절한 장비 사용과 측정 방법 숙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혈압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침습적 혈압 측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3. 맥박 측정맥박 측정은 심장 활동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맥박은 손목, 목, 서혜부 등 다양한 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맥박의 강도, 규칙성, 빈도 등을 통해 심장 건강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맥박 측정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어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측정 부위, 측정 시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맥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한 맥박 측정 결과는 다른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
4. 부정맥 치료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부정맥 치료는 환자의 증상, 부정맥 유형, 심장 기능 등을 고려하여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부정맥 치료의 목표는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생존율 향상입니다. 최근에는 부정맥 진단 및 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부정맥 치료에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있어,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합니다.
-
5. 관상동맥 중재술관상동맥 중재술은 관상동맥 협착 또는 폐쇄를 치료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 술식은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 내부로 접근하여 풍선 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함으로써 혈류를 회복시킵니다. 관상동맥 중재술은 비교적 침습적이지만, 개심술에 비해 위험도가 낮고 회복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으로 시술 방법이 더욱 발전하고 있으며,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어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6. 관상동맥질환 간호관상동맥질환 간호는 심장 질환 환자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 관리,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재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환자를 돌봅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질병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여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최근에는 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어, 중재술 시행, 원격 모니터링 등 전문적인 의료 행위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관상동맥질환 간호는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심혈관계 간호 요약정리1. 순환기계 순환기계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들이 지속적으로 혈액을 공급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혈액은 우리 몸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도록 하며,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혈액은 혈관을 통해서 흐르게 되며, 혈관은 탄력성이 있는 관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구성된다. 심장과 혈관을 통칭하여 순환기 계통이라고 한다....2025.05.15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내과계 중환자실 사전학습1.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는 A-line, CVP, PAP/PCWP monitoring 등이 있다. A-line은 동맥관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혈압 감시, 동맥혈 가스 분석과 각종 검사를 위한 채혈을 하는 데 사용된다. CVP는 중심정맥압을 측정하여 순환혈류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PAP/PC...2025.01.13 · 의학/약학
-
심근경색증(MI)와 관련된 논문 연구(연구의 필요성부터 연구결과까지 A+)1.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은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말한다.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인해 순환기계 질병인 심근경색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남성과 ...2025.05.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순환계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III 9장에서는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심장은 좌측 3-6 늑골 사이 종격동 내에 있는 근육기관으로 크기는 12cm, 무게는 300g입니다. 심장은 심외막, 심근, 심내막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낭과 심낭강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심장에는 ...2025.05.02 · 의학/약학
-
폐부종-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 폐부종 폐부종(Pulmonary Edema)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폐의 간질조직이나 폐포 공간 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이다. 이러한 폐울혈은 폐포와 기도를 침범하게 되는 과정에서 가스교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 결과 저산소증을 일으키며, 심한 호흡곤란을 초래한다. 폐부종의 가장 큰 원인은 고혈압성심질환, 판막성심질환, 죽경화성심질환 ...2025.01.20 · 의학/약학
-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폐렴(Pneumonia)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5페이지 자료입니다.1. 폐렴(Pneumonia) RS 바이러스 감염증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유발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을 말합니다. RS 바이러스는 우리말로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이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습니다. 이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되면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이 이루어집니다. 성인의 경우 가벼운 감기로 나타...2025.01.21 · 의학/약학
-
[퀄리티 보장] 성인간호학 실습 A+ 받은 순환기계 문헌고찰 16p - 심장의 기능구조 및 순환기계 원리, 주요 질환의 병태생리 및 진단검사와 간호 16페이지
1. 심장의 구조와 기능1) Heart300g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성인의 주먹만한 크기이다. 심장의 위치는 세로칸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횡격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침섬이 앞을 향하고 있다.심장은 좌우 사이막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여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 정도 하루에 약 7000L의 혈액을 분출한다.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잇는데 심장막과 심장막 사이에는 심낭액이 있다.2) Artrium ...2022.06.24· 16페이지 -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순환기계) [질환/검사,수술명/환자간호/약물] 6페이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순환기계-질환/검사·수술명/환자간호/약물1. 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 관상동맥이 병변으로 인해 내강이 협착되고 심근에 허혈이 생겨서 일으키는 질환이고 최대 운동부하시 비로소 심전도에 ST, T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에서부터 협심증, 심근경색에 이르는 것 다양, 병변은 주로 동맥 경화증이고 특히 죽상경화가 수반하면 혈전이 형성되어 관폐색의 위험이 증가함? Heart failure :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2021.05.18· 6페이지 -
[성인간호학] 순환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1) 정리 15페이지
[순환기계 건강문제와 간호]1. 순환기계 건강사정2. 심부전3. 관상동맥질환-----------------4. 부정맥5. 심장근육병6. 염증성 심장질환7. 후천성 판막질환8. 심장수술[순환기계 건강사정]1. 순환기계 증상흉통[순환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 성인간호학- 심장질환, 폐질환, 위장질환 감별진단 필요 ⇒ PQRST 사정(ex) 협심증 vs 위궤양 : burning (타는듯한 통증)심낭염 vs 기흉 : sudden (갑작스러운 통증)- 대부분 심장 질환은 턱, 목, 등으로 통증 방사 (+)호흡곤란- 대상자가 어떤 체위에서 호...2021.12.06· 15페이지 -
성인간호학 순환계 15페이지
성인간호학 III 9 장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9 장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1. 정상구조와 생리적 기능 1) structure of the heart ( 심장의 구조 ) 좌측 3-6 늑골 사이 종격동내에 있는 근육기관 크기 12Cm, 무게 300g 2) Cardiac layer epicardium ( 심외막 ) : 심장의 외측을 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장막 myocardium ( 심근 ) : 심장의 중간층 ,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특수한 횡문근으로 이루어짐 . 심장수축으로 혈액을 전신에 박출해 내는 좌심실벽은 우심실에 비하여 3...2023.03.02· 15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A+ 순환기계 중환자 간호(정상 심전도, 순환계 질병별 간호중재, NIBP, ABP 등) 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순환기계 중환자 간호1. 순환기계1)구성요소와 하위기관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이루어진다.하위 기관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2)구조심장: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근육이 수축한다. 심장은 펌프 또는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혈관: 펌프인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을 전달하는 고무관으로, 짐을 실은 자동차가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도로 역할을 하는...2022.03.28·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