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실력주의에 대한 환상이 만들어낸 한국 사회의 불편한 현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저자는 소득 격차 심화, 세대 및 계층 간 갈등 심화, 사교육에 대한... 승자독식’의 실력주의에 긴밀히 닿아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 사회 문제의 뿌리가 실력주의에 닿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더욱 완벽한 실력주의를...
한국 사회의 불편한 현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저자는 소득 격차 심화, 세대 및 계층 간 갈등 심화, 사교육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공교육의 파행 등과 같은 사회, 교육 문제들의 뿌리가 ‘무한경쟁 승자독식’의 실력주의에 긴밀히 닿아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 사회 문제의 뿌리가 실력주의에 닿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더욱 완벽한 실력주의를 만들고자 하기 때문에 문제가 더욱 악화된다는 것.
[실력주의사회는 공정한가?]
실력주의사회 : 개인의 실력에 따라 사회적 재화를 배분하는 사회
‘관념적 실력주의’ : 소득격차 심화, 갈등심화, 교육전쟁 심화, 공교육 파행 등 제반 사회적ㆍ교육적 문제가 실력주의 사회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아서 생긴 결과라고 생각, 보다 완벽한 실력주의 사회 구현을 위해 노력하는 관점
“실력주의 지탱의 근간이 기회(출발)와 과정의 공정성이므로 현실 속에서 많은 차별을 받은 사람들에게 ‘결과의 차별’을 통해서라도 충분히 보상을 해줘야 한다”는 주장
- 실력주의사회 구현을 위해 실력주의(실력에 따른 배분)를 깨야 한다는 모순
- 이러한 모순적인 주장이 나오는 이유 : 실력주의가 좋은 사회라는 ‘신화’에 갇힘
현실의 실력주의는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실력을 쌓은 자가 결과를 독식하는 체제
‘기회와 과정이 균등하다’라는 신화를 사람들에게 세뇌하는데 일정부분 성공한 상태
‘현실적 실력주의’ : 현 교육 및 우리 사회 제반 문제의 원인이 상당 부분 실력주의에 닿아있다고 주장하는 관점
-실력주의 사회는 공정하지 않다. 대한민국은 실력주의 사회이다.
-빈부격차 심화, 학벌사회 등은 모두 ‘실력주의의 그림자’이다.
-우리사회는 교육 및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실력주의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다 완벽한 실력주의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문제는 더욱 심화됨.
[실력주의 사회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신화(근거 없는 잘못된 믿음)]
1. 실력주의 사회는 공정하고 바람직한 사회이다
2. 우리 사회는 실력주의 사회가 아니다.
3. 학벌을 타파하면 실력주의 사회가 구현될 것이다.
4. 실력주의 사회가 구현되면 학교교육이 정상화되고, 실력을 갖춘 사람들의 계층이동이 원활해져 보다 공평한 세상이 되고, 사교육 문제가 해결되고 과도한 경쟁이 완화되며, 궁극적으로 인성교육이 꽃을 피워 바람직한 세계시민이 길러질 것이다.
매주 한번씩 들르는 도서관. 새로나온 책들을 소개하는 ‘신간 책장’에서 우연히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제목이 재밌기도 하고, 과연 책에서 의미하는 ‘실력’은 뭘까? 하며 궁금한 마음에 책을 빌려오게 되었습니다. 책을 읽는 내내 공감되는 부분이 너무 많았는데, 저자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는 ‘금수저’와 ‘흙수저’란 단어가 유행처럼 퍼졌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서로 다른 환경을 가지다 보니 시작 자체가 불공정하다는 의미인데, 이젠 개천에서 용이 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사회 구조라고 진단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사회 구조속에서 과연 실력만 키우면 되는 것일까요? 사실 저는 실력주의 사회가 공정하다고 여기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처음부터 ‘과연 실력주의 사회는 공정한가?’ 라는 다소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