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광장이란?
테마광장은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수 거래가 일어나는 자료를 모아 그룹화하여 제공하는 페이지입니다.
간호학,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등 본인에게 꼭 맞는 자료를 쉽게 찾아 보세요!
-
-
2022 전문인재 기술장학금 - 지원동기, 학업,진로계획과 기여방법, 사회공헌실적 및 방법
-
지원동기, 학업·진로 계획과 기여방법 사회공헌 활동 실적 및 계획 전문기술인재장학금 학업계획서 1. 지원 동기 (0.5장 이내) 아픔과 절망이 가득한 곳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간호사라는 직업이 환자와 가장 가깝고 의사와 더불어 가장 필요한 존재라고 느꼈고 아픔과 절망이 가득한 곳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마음을 먹었습니다. 어린 시절에 저희 아버지께서는 집안 사정이 어렵거나 아픈 사람들을 위해 무료로 치료를 해 주셨습니다. 아픈 사람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받고 그에 보람을 느끼며, 모든 이에게 최선을 다하시는 아버지를 어릴 적부터 보고 자란 저는 ‘아, 나도 우리 아버지처럼 의료분야에 남을 도와주는 삶을 살고 싶다.’라는 작은 꿈을 키워 나가게 되었습니다. 의료인 중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기 좋아하는 저의 성격과 가장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던 중 우연히 간호사와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보게 되었습니다. 쉴 틈 없이 뛰고 화장실 한번 가기 힘든 응급상황 속에서 많은 환자를 살리고 간호하는 모습은 정말 존경스러웠습니다. 또한, 나로 인해서 다른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된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고, 간호사라는 직업이 환자와 가장 가까우며 의사와 더불어 환자에게 가장 필요한 존재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의료분야에서 남을 도와줄 수 있을 필요한 존재가 되고 싶었던 저는 간호사라는 직업에 매료되었습니다. 환자 한명 한명을 진심으로 간호하며 더 나아가서는 코로나 19사태와 같은 전 세계적 비상사태에서 먼저 나서서 의료봉사를 하여 사람들을 도와주고 간호해주고 싶습니다. 아픔과 절망이 가득한 취약계층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간호학과에 지원하였으며 현재 전문능력을 보유하기 위해 열심히 전공과목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2. 학업·진로 계획과 기여방법(1.5장 이내) 어떠한 상황에서든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재다능한 간호사가 될 것입니다. 병원에서만 뿐 아니라 언제 어디든지 환자를 발견하면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과 꾸준한 전공공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를 학업, 간호 관련 자격증, 언어, 컴퓨터 능력의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미래의 간호인으로서 필요한 능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학업 전공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1학년 때는 교내 튜토링 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려운 전공과목을 선배님과 교수님께 질의응답을 하면서 성적을 향상 시켰습니다. 2학년 때는 전공수업을 녹음해서, 매일 밤 10시까지 자습실에 남아 그것을 들으며 부족한 부분을 채웠습니다. 3학년 때는 국가고시 과목을 여러 번 읽고, 백지에 적어가며 복습하며 부족한 부분이 없도록 꼼꼼히 공부하였습니다. 4학년 때는 교내 스터디 프로그램을 통해서 친구들과 국가고시 준비중입니다. 장학금을 받게 되면 국시대비 문제집 및 요약집을 구매하여 합격할 수 있도록 할것입니다. 이 밖에도 교내 특강 등을 통해서 자신을 개발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매일 노력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간호학과와 관련 자격증을 준비 중입니다. 1, 2학년 때는 전공지식이 부족하여 자격증 취득이 어려웠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내 심폐소생술 동아리에 가입하여 일반인 심화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응급상황을 공부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3학년때 BLS (응급상황, 심폐 정지를 일으킨 사람에게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에 관련된 자격증)를 취득하였고 4학년때 의료인 과정으로 조금더 심화된 KALS를 취득하였습니다. 장학금을 받게 되면 일반인 강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여 사회에 보탬이 되고 싶습니다. 세 번째로 언어, 병원에 외국인 환자가 왔을 때 원활한 소통을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를 제때에 받을 수 있도록 영어 실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토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학년 때 여름방학 때 기본적인 영어공부를 하며 매일 30분씩 단어공부를 하여 교내 모의 토익시험을 쳤습니다.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을 받았고 점수를 올리기 위해서 2학년 겨울방학 때는 토익 700점 이상을 목표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국내에서 토익시험을 치지 못하였고 4학년 여름방학 때 800점을 받을 수 있도록 공부 중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원활한 차트 정리와 파일 작업을 통해서 환자에게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컴퓨터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1학년 방학때는 교내 프로그램을 통하여 MOS 워드, 엑셀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4학년 때는 컴퓨터 활용 2급을 준비하여 필기에 합격하였고 실기시험을 준비 중입니다. 컴퓨터 활용 2급을 취득 후에는 MOS 마스터가 되기 위해 여름방학 때까지 MOS 파워포인트와 액세스를 공부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능력을 향상해서 어떠한 상황에서든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능력 있는 간호사가 되고 싶습니다.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사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환자의 고통을 세심하게 어루만지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3. 사회공헌 활동 실적 및 계획(1장 이내) 응급상황에 대처 가능한 다양한 경험을 쌓은 헌신하는 간호사가 되겠습니다! 진정한 간호를 하기 위해 의료인은 환자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소통을 하여 환자를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책임감 및 리더십 함양을 하고자 학생회와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하였습니다. 첫 번째로 교수님과 학생들의 소통 다리가 되기 위해 학생회 임원이 되었습니다. 1학년 때 과대를 하면서 동기, 선후배들과 친목을 다졌고 반 학우들을 이끌어 나가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 경험을 살려 2학년 때는 부학회장에 출마하였고 간호학과 학생들의 의견을 정리 수렴하여 교수님들께 전하고 공지사항을 알려주는 소통의 다리가 되었습니다. 학업, 자격증을 준비하기 어렵고 밤을 새우면서 행사준비를 하여 개인의 시간은 부족하였습니다. 하지만 주위 사람들의 따스한 말 한마디 “고맙다.” “역시 학생회 덕분에 학교생활 하기 편하다.” 늘 들을 때마다 뿌듯함을 느꼈고,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회 활동을 통해서 사람들과 원활하게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고 희생정신과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로 위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하는 응급처치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교육하는 동아리 활동을 하였습니다. 전문의료인 자격증 BLS, KALS를 취득한 선배들에게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교육을 받고 전용 마네킹 애니에 실습하였습니다. 일반인 심화 과정을 수료한 후에는 동아리를 통하여 학교 교직원들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여 교내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어린이집, 초등학교, 중학교 등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위급상황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심폐소생술 교육을 하였습니다. 많은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수성못 페스티벌, 동성로 축제에서 부스를 열어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였습니다. 정기적으로 봉사 활동을 하면서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고, 능숙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이란 뭔지 알려주면서 쉽게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방법을 배우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장애 청소년들의 자립을 지원해주고 함께 활동하는 동아리 활동을 하였습니다. 매주 주말마다 센터에 방문하여 장애 청소년들과 함께 그림 그리기 활동지, 수학 교육 학습지 등을 하고 바리스타 교육, 승마, 댄스, 클라이밍 활동 시 보조자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1년간 봉사하던 센터에서 근로장학생으로 일하게 되었을 때는 인지 치료교실 (PPT를 활용한 퀴즈 맞히기) 프로그램을 계획, 진행하여 장애 청소년들의 단어 연상력 및 언어발달을 증진하고 참여 교육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및 즐거움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장애 청소년들과 문화예술체험 시 에티켓 준수를 통해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긍정적인 사회적 시선 변화를 도모하였으며 장애인에 대한 접근성을 증대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 긍정적인 대인관계 유지능력이 향상되었고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응급상황 대치능력 향상,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시선 변화를 위해서 노력하였으며 학생회 활동을 통해서 자신감 및 책임감에 갖게 되었습니다. 대학 졸업 후 전문성을 가진 간호사로서 장애인 센터에 지속해서 방문하여 봉사하면서 발작, 호흡곤란 등 응급상황에 차분히 대처할 것입니다. 센터 직원들과 장애인 부모, 지역사회주민들에게 장애인에 대해서 알려주고, 응급상황 처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여 빠른 대처로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끊임없이 공부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여 진정한 간호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많은 경험을 통해 변화하여 사회에 이바지하는 간호사가 될 것입니다. ★ 이 내용을 사용해서 2년동안 전문기술인재 장학금을 수여받았으며 간추린 내용으로 푸른등대, hy장학금 등 여러 장학재단에서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최대한 구체적으로 본인의 꿈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좋습니다. 제목을 정한 후 두괄식으로 작성, 첫째, 둘?, 셋째를 적어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타|
2022.04.16|
4페이지| 4,000원|
조회(4,923)
-
미리보기
-
-
간호학과 자기소개서 및 학업계획서 우수예문
-
간호학과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목차 1. 지원 동기 2. 학업계획 및 졸업 후 희망 진로 지원동기 저의 희망은 건강관리와 간호정책에 대한 저의 지식을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의 행정정책에 참여하여 제가 생각하고 있던 정책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또한 다양한 정책을 꾸준히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할머니는 시골에 혼자 살고 계십니다. 저는 주말마다 안부 전화를 드리는데, 제가 감기에 걸리거나 아플 때 아버지께서 데려오십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독거노인 의료 정책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저는 "패치 아담스"라는 영화를 보고 매우 감명을 받았고 저의 막연한 생각을 굳힐 수 있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간호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간호학과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학업계획 및 졸업 후 희망 진로 간호학과에 입학한 후에는 우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것입니다. 그리고 기초를 다져 전공을 잘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외국어 공부도 열심히 할 것입니다. 2학년부터는 다른 공부도 열심히 할 것이지만, 전공에 집중할 것입니다. 특히 지역 간호와 노인 건강 간호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첫걸음으로 건강관리와 간호정책을 계속 공부할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보완적인 포인트와 더 나은 방향을 찾기 위해 실생활과 관련된 건강 정책을 조사하고 수집할 것입니다. 그리고 3학년 때부터 더 많은 실습을 하기 위해 간호 지식을 충분히 습득할 것입니다. 그 후, 저는 실습과 이론을 잘 배우면서 많은 경험을 쌓을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건강관리와 간호정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논문을 쓸 것입니다. 졸업 후에는 보건복지부에서 일하면서 경험을 쌓고 대학원에 진학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전문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간호 정책을 연구하여 실현 가능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되면 저의 간호경험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어린이를 정기적으로 돌보기 위해 마을사무소에 의료진을 배치하면 방문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위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 생각을 더 다듬고 더 나은 정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간호학과에 집중하여 제 꿈을 이룰 것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제가 배운 간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봉사활동을 할 것입니다.
-
학교|
2022.04.05|
2페이지| 2,000원|
조회(5,487)
-
미리보기
-
-
간호 대학원 자기소개서 및 학업계획서입니다. 3곳 모두 합격했어요.
-
[OO대학교 OO대학원] 학 업 계 획 서(Study Plan) 과정 Program ■ 석사(Master’s) □ 박사(Doctoral) □ 통합(Integrated Master’s & Doctoral) 학과 Department 간호학과 전공 Major 간호학전공 성명 Name 생년월일 Date of Birth 수험번호 Application Number 외국어 성적 (Foreign Language Test Score) * 자기 소개 및 진학 후의 학업에 대한 계획(본대학원 진학 동기 및 학업 계획, 관심 분야 및 학업 목표, 미래의 연구 계획 등)을 체계적으로 요약하여 작성하십시오. Please explain Self-Introduction and your plan for study in Ajou University as specific as you can. You can include your academic interests and motivation, the curriculum you expect to follow in achieving your goals, and research plan etc. * 박사과정은 연구계획을 반드시 포함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1. 자기소개(Self-Introduction) < 도전과 책임감을 겸비한 간호사 > OOOO년 OO병원에 입사하여 외과 병동 간호사로서 맡은 바 프리셉터 역할 및 간호 학술 연구부서 대표 연구자를 수행했습니다. 더 나아가 전체적인 병동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는 주임 간호 역할도 주어졌습니다. 스스로 주체성을 띄며 간호 전문 영역의 이론과 실무를 같이 공부하였습니다. ‘ 정확하기’ 배워나가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일정량이 끝난 뒤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다시 한번 점검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가졌습니다. 이는 대학원 진학이라는 결심으로 이어졌습니다. 성장배경을 돌아보았을 때, 요양 봉사를 삶의 일부로 삼고 있는 부모님 밑에서 자라며 저도 노인을 위한 일일 배식 봉사, 김장 봉사 등 다양한 봉사활동에 참여했습니다. 부모님 가르침 아래 자연스럽게 봉사와 사랑을 실천하며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최고의 직업이라 생각하고 간호사의 길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간호사로서 그리고 한명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점점 책임감도 늘어나면서 제 강점인 ‘목표를 향한 도전정신 및 책임감’ 은 특히 환자들의 회복을 책임지는 간호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질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공감, 소통 능력으로 환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도전 정신과 책임감을 발판 삼아 간호 대학원에 진학하여 간호 실무지식 능력을 발전시키고 근거기반의 간호 이론을 분석, 규명하여 간호 실무에 적용해나갈 것입니다. 2. 진학 후의 학업에 대한 계획(본대학원 진학 동기 및 학업 계획, 관심 분야 및 학업 목표 등, 미래의 연구 계획 등) 4년 동안 중등도 높은 외과 병동에서 근무 하다보니 고령의 만성질환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었고 환자에 대한 진단, 검사를 해석하고, 치료계획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설명을 보태는 간호사의 업무 영역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해가 거듭될수록 경력이 쌓이고 실무 능력은 많이 향상되나 학부에서 배운 지식만으로는 간호를 제공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빠르게 변화하는 의학. 간호계의 흐름에 따라 최신 지견을 알고 싶어졌습니다. 늘 해오던 손으로 익숙한, 치료에 집중하는 간호 행위 뿐 만이 아닌 근거를 기반으로 한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 대학원 진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외과 병동에서 흔히 일어나는 ‘수술 후 노인 환자의 가족을 위한 섬망 예방’ 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습니다.수술 후 노인 환자의 섬망은 발생률이 높고 발생 후 예후가 좋지 않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수술 전, 후 가족에게 섬망 예방 교육을 제공하고 중재에 참여하도록 하여 섬망 예방 효과 및 섬망 지식 향상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섬망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증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섬망 환자와 비섬망 환자로 그룹을 구분하고 두 그룹사이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내고 싶습니다. 본 연구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더 나아가 섬망 환자의 섬망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도 계발하고 싶습니다. 종합적으로 임상에서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가 무엇인지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사로 OO대학교 간호 대학원 석사 과정을 통해 발전하겠습니다. ※ 페이지가 부족한 경우 별지를 이용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If you need more pages, you can attach additionally.
-
학교|
2022.03.23|
2페이지| 2,000원|
조회(6,106)
-
미리보기
-
-
이화여대 간호학과 편입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
자기소개서 1.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기술하시오. (1,000자 이내) 전적 대학교에서 간호학에 대해 공부하며, 전공과목과 연관된 자료를 찾아보며 지식의 폭을 넓히고자 노력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에서 역학과 간호 실무 적용에 대해 배우며 코로나 19와 같은 감염병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과거의 전염병 대부분이 동물과 관계된 전염병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왜 동물과 관계되어 확산하는지를 알고 싶어졌습니다. 전염병이 인간이 환경을 더욱 파괴하고 개발하며 동물과의 접촉이 증가하며 퍼진 것을 알고, 앞으로 자연으로의 영역확장을 통해 통한 동물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점점 더 진화된 전염병이 유행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현재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를 독립적인 사건이 아닌 과거부터 예견된 사건이었음을 인지하고,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대응책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이를 통해 대응책을 주도적으로 설계하여 감염대책에 이바지하는 간호사로서 성장해야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이런 노력을 통해 더욱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가질 수 있었으며,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4학기 동안 교내 성적장학금을 포함한 3회의 교외 장학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전공과목인 ‘간호역사’ 시간에 우리나라 근대병원 중 한 곳을 선정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제가 있었습니다. 근대시대를 조사하던 중 당대 여성들이 억압과 차별로 기본적인 의료행위도 받지 못하는 등, 인권이 보장되지 않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당대의 여성 인권에 대해 알리고 이에 대해 더욱 생각해보기를 촉구해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료기관인 ‘보구여관’을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타국에서 와서 여성 전문병원을 설립하고, 여성 교육과 의료사업을 위해 힘쓴 미국 선교사와 의사의 나눔과 봉사 정신이 깊이 와닿았습니다. 또한, 여성의 계몽과 지위 향상을 위해 앞장서며 여성 의료에 헌신한 박에스더의 소명의식에 깊이 감명을 받았습니다. 이를 계기로 전문적인 의료지식을 가지고 전 세계에서 인권을 보장받고 있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의학지식을 교육하고, 의술을 전파하는 간호사가 돼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2. 학업 이외의 자신이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성취 경험을 기술하시오. (1,000자 이내) 2019년 겨울 〈나의 노력의 기억〉 간호학도로서 한 생명을 살리는 데 도움을 드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편찮으셨던 할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할머니 댁으로 가던 중에 고속도로 휴게소에 들렸었습니다. 화장실을 들어가는데 사람들이 모여있고, 열려있는 화장실 문 앞에 할머니 한 분이 쓰러져 계셨습니다. 남편분으로 보이는 할아버지 분은 할머니의 가슴 부분을 계속 두드리고 계셨습니다. 위급해 보이는 상황 속에서 아무도 나서지 못하고 있었지만, 인간의 생명을 살리는 간호학을 공부하는 학생간호사로서 응급조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저도 모르게 앞으로 나섰었습니다. 의식과 숨소리가 없고 맥박이 잡히지 않아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고등학교 3년 동안 RCY 단원으로 활동하며 응급조치 교육을 받았었고, 대학교에서 심폐소생술의 구체적인 과정을 학습하였기 때문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침착하게 조치를 하였습니다. 사람이 나로 인하여 잘못되면 어쩌지라는 불안감이 있었지만, 사람을 살려야 한다는 소명감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얼마 정도가 지나자 휴게소 직원분이 오셔 인계를 해드렸고 5분 정도가 더 지나자 구급차가 도착하여 무사히 병원으로 이송되시는 것까지 보았습니다. 눈앞이 캄캄해질 정도로 매우 떨리고 급했었던 상황 속에서 휴게소에 비치되었던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하지 못했다는 아쉬움과 학생간호사로서의 완전한 의료행위를 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 부족함을 느꼈지만, 한 사람의 생명을 구했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쓰러진 사람이 숨을 쉬지 않는 걸 발견한다면 막상 나서서 응급조치하지 못하리라 생각했지만, 직접 나서서 용기 있게 행동했던 것이 나이팅게일 선서문을 외며 노력해온 결과의 산물이라는 것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일 이후, 어떤 간호사가 되어야 할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학생간호사로서의 부족함을 메우고 언제 어디서나 인간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전력을 다하는 간호사가 되어야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원동기 및 학업계획서 1. 본교 편입학 해당 학과(학부)에 지원한 동기와 해당 전공 분야를 위해 노력한 본인만의 경험을 작성하시오. (1,000자 이내) 코로나 장기화에 더불어 변이바이러스가 생겨나는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에서 노력하시는 간호사분들의 헌신에, 저 또한 더욱 많은 환자에게 봉사할 수 있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키우게 되었습니다. 특히, ‘COVID-19: Korean nurses’ experiences and ongoing tasks for the pandemic’s second wave’를 읽고, 집단 감염 문제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글로벌 리더로서 성장하겠다는 다짐을 하였습니다. 전적 대학교에서는 간호학과의 일반적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국제 간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폭이 좁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점차 세계화되고 있는 간호에 발맞춰 국제 간호교육을 선도하고, 이에 대한 배움의 기회가 더 많은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건강간호학과로의 편입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글로벌건강간호학과에 개설되어있는 국제 간호와 연관된 전공과목을 통해 국제 건강과 의료시스템에 대해 더욱 심화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의 좋은 실습 환경과 훌륭한 교수님의 지도하에 간호사의 꿈을 키워나간다면 글로벌 간호사 리더라는 저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적 대학교에서 간호학을 전공하며, 수업 이외의 지식 또한 얻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특히, ‘간호정보학’과 ‘기초통계학’을 수강하며 걷잡을 수 없이 퍼지는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계와 빅데이터를 통해 해결할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과거 콜레라 확산억제에 통계를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지역별 확진자 현황과 동선 추적 등 코로나 19 억제에 많은 통계와 데이터가 활용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셜미디어 사이트와 의료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감염병 발생 전, 유의미한 통계상의 변화를 주목하여 사전에 대응한다면, 데이터를 통해 감염병 예측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더 연구한 후 효율적인 감염방지책을 설계하여 의료계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어졌습니다. 2. 본교 편입학 후 학습 목표와 학업계획, 졸업 후 진로 계획에 대하여 작성하시오. (1,000자 이내) 코로나 시대에 변화한 의료환경에 맞추어 실무능력과 더불어 글로벌 리더십을 가진 간호사가 되기 위해 국내와 국외를 넘나들며 간호 학생으로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간호학문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해왔습니다. 우선, 입학 후 ‘Introduct of Global Health’와 ‘Global Health Care Systems’ 등 전공과목을 수강하며 국제 건강 문제에 대한 전공지식들을 습득할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글로벌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국제 교류프로그램과 해외 봉사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여 다른 나라의 간호 시스템에 대해 배우고 싶습니다.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것 외에도 국제적인 지식을 기르기 위해 간호학부 동아리의 ‘GLEE’에서 활동하며 국내 및 해외 이슈들에 대해 토론하며 전 세계의 폭넓은 지식을 함양할 것입니다. 4학년 때는 국가고시 시험을 위해 시험과목 전공들을 전체적으로 다시금 점검하여 국가고시에 합격하여 어엿한 간호사로서 간호사 면허를 취득할 것입니다. 졸업 후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변화한 의료현장을 직접 체감하여, 변화한 의료상황에서 간호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해볼 수 있도록 대학병원에서 실무경험을 쌓을 것입니다. 이후에는 간호학에 대해 더욱 깊이 탐구하고, 변화한 시대의 간호에 대해 연구하여 국제적 지도자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쌓기 위해 대학원 진학을 통해 간호학 석사과정을 해나갈 것입니다, 되도록 많은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 전문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WHO, ICN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입사하여 전 세계의 간호 질을 높이고, 유익한 건강정책을 세워 세계인의 건강을 향상하는 간호 지도자가 될 것입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건강간호학과에 진학하여 이와 과정을 수행한 후, 인류와 사회에 공헌하고 나눔과 인술을 펼쳐 이화여자대학교를 빛낼 수 있는 간호사가 되겠습니다.
-
학교|
2022.03.04|
2페이지| 3,500원|
조회(6,239)
-
미리보기
-
-
간호학과 교직이수 자기소개서(학업계획서)
-
교직과정 이수 예정자 선발 지원서 교직과정 이수 예정자 선발 지원서 학번 : 성명 : 1. 지원동기 [가장 가까운 의료인, 보건교사] 고등학교 1학년 때, 기숙사에서 지내면서 갑작스러운 고열과 인후통으로 크게 앓은 적이 있습니다. 늦은 저녁 시간이었으며 기숙사와 집은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데리러 와 줄 가족들이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보건선생님께서 이러한 상황을 들으시고 흔쾌히 저를 병원에 데려다 주셨습니다. 기숙사 생활이 처음이었고 가족들과 떨어져 지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심적으로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보건선생님께서 아픈 기간동안 치료와 더불어 정신적으로도 많이 지지도 해주셔서 마음이 안정되고 몸도 금세 회복된 경험이 있습니다. 그 이후로도 모든 학생들을 밤낮 관계없이 아플 때면 상황에 맞게 처치해주시는 보건 선생님을 보며 존경심이 들었고 저 역시도 그러한 보건 교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학교에 올라와 다양한 진로를 앞에 두고 고민하던 중,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건선생님께 도움을 받았던 경험들이 떠올랐습니다. 궁극적으로 아픈 학생을 치료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돌봐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의료인’으로서 보건교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키우게 되어 지원했습니다. 2. 자신의 성격(인성, 성품) [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선다] 저는 평소 ‘칠전팔기’라는 사자성어를 좌우명으로 삼고 있습니다. 실패를 거듭하여도 굴하지 않고 다시 일어선다는 말처럼, 어렵거나 힘든 일이 다가와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고등학교 때 공통 과목 외에 과학을 배우지 않아 ‘미생물과 감염 관리’라는 과목을 공부할 때 이해하기 힘든 것이 있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업 시작하기 전에 그 날 배울 분량을 미리 한 번 공부했고 수업이 끝나고 나서도 체계적으로 복습했습니다. 또한, 시험 기간에는 친구들과 함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범위를 지정해 서로 다른 단원을 가르쳤고 시험 예상 문제를 만들어 내며 상호보완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과학을 배우지 않아 두려워했던 저는 미생물과 감염관리라는 과목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실패를 거듭해도 굴하지 않고 다시 열심히 노력하면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러한 경험 덕분에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 일이나 포기하고 싶은 일이 생겨도 끈기를 가지고 최선을 다 하자는 의지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진심, 신뢰, 그리고 협동] 다른 지역으로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좋은 교우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먼저 인사하고 다가가니 상대방 역시 마음을 열고 친해질 수 있었습니다. 친해지고 나서도 진심과 신뢰를 바탕으로 배려하고 소통하니 점점 더 넓고 깊은 관계로 발전해나갈 수 있었습니다. 학교생활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을 편하고 훨씬 더 쉽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조별과제를 진행하며 활발한 의견 교류를 통해 더 좋은 결과를 이끌 수 있다는 것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협동의 긍정적인 효과와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4. 교내/교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현황 (동아리 활동, 국내외 봉사활동, 기타 활동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 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최대한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우고 싶어 다양한 교내/교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첫째, 교내 활동으로는 산악동아리 ‘하이파이브’ 기장을 맡고 있습니다. 매달 익산 내에 있는 산을 등반하며 체력을 기르고, 동아리 활동을 수월히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을 맡고 있습니다. 둘째, ‘한국생명사랑재단’과 ‘KODA(한국장기조직기증원)’의 서포터즈로서 생명나눔 홍보 봉사와 올바른 장기 기증 정보를 알리는 봉사, 지역 봉사 센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 봉사, 병원 봉사 등 현재까지 116시간의 봉사를 수행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생명나눔 홍보 봉사 중, 지역사회에서의 기부 소식, 조직 및 장기 기증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SNS를 통해 전달했습니다. 이를 통해 생명나눔 문화 확산의 중요성과 생명 나눔의 가치를 다시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타활동으로는 ‘영어회화 프로그램’과 ‘대학 수업 공유 프로그램’을 수강했습니다. 회화 프로그램을 통해 영어로 말하는 실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학점 교류 프로그램 과목으로 인체의 신비, 의학용어, 기초의학을 공부했습니다. 이 과목들을 공부하면서 부족했던 부분은 보충할 수 있었고 의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5. 선발 후의 계획(학업수행, 보건교사 준비 계획 등) - 학업수행 학업 수행을 시작할 때 적절한 동기부여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끝까지 좋은 결과를 이뤄낼 수 있도록 꾸준히 자기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최종 목표인 보건교사가 되기 위해 시간의 효율성을 따져 공부하기 보다는 사소한 부분이라도 놓치지 않고 꼼꼼히 공부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1학년 때와 달리 2학년이 되면 전공과목 비중이 높아지고 교직이수 과목이 추가되니 공부하는 시간 역시 더욱 늘릴 것입니다. 또한 보건교사가 되고 싶었던 초심을 잊지 않고 적극적으로 교직 수업에 참여할 것입니다. 더불어 보건 교사가 되기 전, 간호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전공과목 역시 소홀히 하지 않고 심도 있게 공부할 것입니다. (이어서) - 보건교사 준비 계획 작년 말, 학교보건법 시행령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학교에 보건교사를 2인 이상 배치하는 것으로 개정된 것을 매체로 접했습니다. 그렇기에 더욱 더 학교에 필요한 전문적인 의료인이 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첫째,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간호학과 교직과목 모두 탄탄하게 공부할 것입니다. 특히 교육학은 논술형 문제이니 교육학 이론에 근거해 제 자신의 색깔을 녹여낼 수 있도록 논술문을 일정 시간 꾸준히 작성할 것입니다. 둘째, 보건교사의 필수적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과거에 준비한 적이 있습니다. 이때의 경험을 이용해 방학 기간 동안 꾸준히 공부해 3급 이상을 취득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셋째, 보건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 봉사를 일정 시간 이상 채워야 하기 때문에 학기 중에는 한 달에 두세 번 이상 지역 아동센터에서 봉사할 것이며, 방학 중에는 일주일에 한 두 번씩 방문해 봉사를 할 예정입니다. 단지 자격증을 취득할 목적이 아닌 진심으로 아이들을 돕고 어떤 식으로 아이들을 대해야 할지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며 봉사할 것입니다. 넷째, 보건교사는 학교 내에서 응급 상황이나 실전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과 전문적으로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저는 임상에서 적어도 3년 이상 일할 것입니다. 6. 기타(장·단점, 취미, 특기, 특이사항 등) 자신의 생각에 대해 판단하는 능력인 메타인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활 속에서 제 자신이 얼마만큼 할 수 있는지, 어떤 것을 모르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며 부족한 점을 발견할 시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에 대해 생각합니다. 1학년 2학기 때 해부학을 공부하면서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에 집중하여 시간을 투자하고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끊임없이 생각하다 흰 종이에 아는 대로 쓰는 공부법을 사용했습니다. 그 결과, 1학기 때 비슷한 계열인 의학용어를 공부했을 때보다 성적이 향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스스로에게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어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느껴지면 반드시 그 부분을 보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다 일기를 작성하며 어떤 점을 극복해야 하는지,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작성하고 제 자신을 괴롭혔던 것을 반성했습니다. 또한 누구나 완벽할 수는 없지만 최선을 다 한 것으로도 충분히 수고했다는 것을 깨달으며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2022 년 1월 17일 간호학과 교원양성위원회 귀하
-
학교|
2022.02.28|
3페이지| 2,500원|
조회(6,342)
-
미리보기
-
-
간호학과 졸업연구 논문 계획서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와 학업성취수준의 관계"
-
연구 계획서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와 학업성취수준의 관계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연구 문제) 3) 가설 4) 용어정리 5) 연구의 제한점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수집방법 및 연구 진행 절차 5) 자료 분석 방법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참고문헌 *연구 추진일정 및 소요 예산 *부록 : 연구 도구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국가통계포털(2017-2018)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대학생의 연령대인 만 19-24세 중에서 76.8%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밝혀졌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높은 비율로 아르바이트를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은 아르바이트를 통해서 학비를 내기도 하고, 경제적 위기에 대처하는 폭을 넓히기도 한다. 또한 아르바이트를 통해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도 한다. 아르바이트의 유동적인 일과 시간은 불안을 야기하기도 하며, 한정된 시간 속에서 대학생들은 ‘아르바이트’와 ‘학업 혹은 계획’ 사이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결국 불확실한 인생에 대한 불안으로 확대된다. 노동 부담으로 인해 아르바이트를 경험하는 대학생이 심리적인 압박을 받을 경우 육체적 피로를 가중시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은 물론 자기개발 시간이 부족함으로 인해 노동시장 진입에 불리한 조건을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대학생 아르바이트 경험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보다 총체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대학생 아르바이트를 미래를 준비하고 학업성취수준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목적(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수행과 학업성취수준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병행 여부를 파악한다. - 간호대학생의유무와 학업성적을 수집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인간의 복잡성 : 인간이 개개인이 생각하는 학업성취수준의 만족도가 다르고 이에 따라 독립변수의 영향에 대해 각자 느끼고 생각하는 관점이 다르다. ? 측정도구의 문제 : 교육기관이나 국가에서 사용하는 일반화된 측정도구가 아닌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낮다. ? 통제의 문제 : 아르바이트 병행유무를 제외하고 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모든 외적요인을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 표본의 문제 : 본 연구는 짧은 기간에 진행되기 때문에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지 못하고 공간적·시간적 제약을 고려해서 비확률 표집을 이용한다. 1학년의 경우 아직 학점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평균 학점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누락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가 간호학과 학생들을 완벽히 대표하지 못하며,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비약적인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2. 문헌고찰 (1) 간호대학생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요인 : 간호대학생의 경우에는 일반 대학생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 이외에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나타나지만 간호전문대학의 3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의 요인을 조사한 결과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시험이나 숙제, 과다한 학업 량과 같은 학업 관련 스트레스가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간호대학생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면 학업 성취도 저하 및 의욕 상실이 발생되어 간호사를 포기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 송영숙 : ’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 ‘) (2) 학습 몰입도가 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통해서 부딪치게 되는 학업 및 진로의 문제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학습몰입의 어려움은 자신감이나 삶의 질 저하,, 숙명여자대학교) (3) 아르바이트가 진로와 학업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승계(2007)의 연구에서는 노동경험은 졸업 후의 직업선택과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의 경력형성과 진로설계를 위한 충분한 사회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도 했다. 김기헌(2006)과 김예성(2007)의 연구에서는 아르바이트 여부가 학업성적과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했으며, 이는 백지숙(2006)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체 대학생활 중 51% 이상의 시간을 아르바이트에 할애한 학생은 학업적응, 정서적응, 그리고 대학소속감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내용과도 같았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대학생의 아르바이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사회에서 대학생 아르바이트의 특징과 아르바이트와 학업능력의 관계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3. 연구방법 1) 연구설계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과 아르바이트 병행유무를 확인하고 병행유무가 학업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업성취도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 -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설문지를 이용해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와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여 이 두 변수의 관계를 상관관계로 분석한다. 2) 연구대상 : 표본수의 산정은 G*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선정기준] - 간호 대학교 재학 중인 자 -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지를 해석, 작성할 수 있는 자 [제외기준] - 연구 서면동의를 하지 않은 자 모집단 표적 모집단 근접 모집단 표집 단위 표본요소 간호대 학생 현재 재학 중인 간호대 학생 전남 소재지 세한대학교 재학생 세한대학교 간호학과재학생 세한대학교 간호학과 0학년 재학생 대상자는 현재 간호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연구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자가 가장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대상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이용한다. 3) 연구도구 : 자가 보고법 중 질문지일 ? 주말 ? 평일, 주말 모두 7. 주당 아르바이트 참여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① 10시간 이하 ② 11~15시간 ③ 16~ 20시간 ④ 21~25시간 ⑤ 26~30시간 ⑥ 31시간 이상 8. 학기 중 아르바이트 경험이 학습량(자습시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지 않다 ? 모르겠다 8-1. 위와 같은 답변을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 ) 4) 자료수집방법 또는 연구 진행 절차 : 본 연구는 2021년 2학기에 진행될 예정이며,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 조사와 학업성취수준 조사는 연구의 목적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것이며,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익명성을 보장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5) 자료 분석 방법 :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대상자의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 학업성취수준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한다. 대상자의 아르바이트 병행유무에 따른 학업성취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를 실시할 예정이고 학업성취수준과 변수의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한다. 6) 연구의 윤리적 고려사항 :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의 정보가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인 사생활과 관련된 내용이며 학업성취수준 역시 개인정보에 해당하여 설문조사 전 연구와 관련하여 충분한 설명을 통해 이해시키고 연구에 동의한다는 사전 동의서를 수집 후 진행한다. 또한 익명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 내용을 유도하여 결과를 조작하지 않도록 과학적 객관성을 지키며 연구를 수행한다. 대상자 서면동의서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와 학업성취수준의 관계“ 1. 본인은 연구책임자 최윤지에 의해 실시되는 본 연구의 목적, 예측 효능, 연구 방법. 연구 참여에 따른 잠재적인 이점과 위험 등 모든 정보들에 관하여, 상기 대상자 설명문을 읽고, 연구담당명한 사람 □ 책임연구자 □ 공동연구자 □기타 연구자와의 관계 성명 서명 서명일 설명문을 들은 사람 □ 본인 □ 법정대리인 □ 공정한 입회자 □ 기타 * 세한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 연락처 010-9206-4087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하고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대상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중단할 수 있음을 명시할 것이다. 7)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수행 유무와 학업성취수준과의 관련성 연구는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수행과 학습량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업시간 확보의 취약성을 고려한 학업성취수준 향상에 대한 개입 방안 마련에 보다 효율적인 활용이 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수행될 수 있는 유사한 간호연구의 기초가 되고 비교의 준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임이랑, 오인수 , 2015 ○ 고관우, 남진열. . 청소년복지연 구. 2012 ○ 장연집. . 학지사. 2006 ○ 김기헌. . 2006 ○ 백지숙.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2006 ○ 김미정.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원. 2014 ○ 김수경.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 미디어논문지. 2018 ○ 성문주. . 2015 ○ 문성호. , 청소년학연구. 2003 ○ 이승계. . 인적자원관리연구. 2007 ○ 구효진, 최진선. , 청소 년학연구. 2006 ○ 김기헌. , 제3회 한국청소년패널학술 대회 논문집. 2006 ○ 김예성. 청소년학연구. 2007 *연구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 1 2 3 4 5 6 7 8 9 10 11 12 문헌고찰 도구선정 및 IRB신청 및 승인 자료수집 자료분석 연구논문 작성 *연구도구 학업과 아르바이트 병행 유무가 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 1. 귀하의 성별은? ?남 ? 여 2. 현재 몇 학년이십니까?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3. 귀하의 평균 주당 학습시간은 어느 정도 입니까? (수업시간 제외) ?10시간 이만 ?10~15시간 ? 16~20시간 ?
-
의/약학|
2022.02.26|
11페이지| 3,500원|
조회(6,434)
-
미리보기
-
-
부산가톨릭대학교 최초합자 간호학과 편입 면접 대본(자기소개,지원동기,학업및졸업계획,문항답변)
-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편입 면접 스크립트 [시작말] 안녕하세요 2022년도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에 최초합한 비동일계 일반편입 지원자입니다. 아래 정보들은 군더더기 없이 정확하게 제가 면접날 촬영한 대본입니다. 제 답변을 참고하여 꼭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저도 시작은 굉장히 막막했지만, 일단 도전하고 완료하세요. 도전한다면 기회가 오고 운이 닿아 합격할 수 있습니다! ? [50초] 안녕하십니까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지원자입니다. ?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저 또한 성당을 다니며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게 되었고 대학교때는 봉사 동아리의 부원으로써 베푸는 삶을 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 또한 무언가를 배우고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여 수업 후 교수님들과 많은 소통을 나누며 생물학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고 그 결과물로써 다수의 장학금을 수여받았습니다. ? 밝은 성격과, 10년간의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갖추게된 배려하며 소통할줄 아는 것이 저의 장점입니다. 이를 살려 편입후 학과에 빠르게 적응하고 간호전문성을 키워나가 치유와 봉사를 실천하는 간호사가 되겠습니다. [1분 6초]? 다음으로는 저의 지원동기 입니다. 전적대에서 암질환연구를 접하게 되면서 난치성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많음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러한 암환자들의 고통을 완화시키고 예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간호학과 편입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는 약 60년의 전통을 갖추고, 간호교육인증평가를 받아 우수한 교수 님들로부터 최상급의 간호교육을 받을 수 있어, 제가 공부해온 지식에 전문적인 간호지식과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호기술을 체계적으로 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 또한?국제간호실무실습을 통해? 다국적 항암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도 기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를 통해 암환자간호를 위한 전문성 뿐만아니라 가톨릭 정신의 인성과 소통능력을 더욱더 함양하므로써 암환자의 건강과 일상회복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간호사가 되기 위하여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 ? ? ? 다음으로는 저의 학업계획과 졸업계획을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말했음) ? ? 암환자에게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간호를 하고싶습니다. 이를 위해 정신간호학이라는 과목을 공부하며 관련된 전문지식을 더욱 쌓을 것입니다. ? 또한 호스피스와 완화간호 과정을 통하여 말기암환자, 임종을 앞둔 환자들에게 보다 더 따듯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공부할 것입니다. ? GHC center과 병원 실습을 통해 암병동에서 필요한 정확한 술기능력과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갖추고? 환자에게 공감하고 소통하는 법을 배우겠습니다. ? 마지막으로? 끊임없는 어학능력 개발 및 새로운 암의 치료법에 대한 관심을 이어나가며 항암임상연구에 참여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소양도 기를 것입니다.? [졸업 후 계획] 저는 졸업 후 암센터에서 많은 암환자들을 간호하며 전문성을 더욱더 키워나가고 싶습니다. ? 또한 암환자에게 중요한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환자가 겪는 스트레스에 관한 공부와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나가며 이를 임상에서 적용시킬 수 있게 노력할 것입니다. ? 충분한 임상역량을 바탕으로, 연구간호사로서 혈액종양내과에서 이루어지는 항암임상연구에 도 참여하여 난치성암환자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게 연구과정에서 환자를 옹호하며 돌볼 것입니다. ? 누적: 3분 21초 25분 (자기소개부터 시작해서 졸업 후 계획까지) ? ? 마지막으로A-2번의 문제에 대한 답변을 하겠습니다. ? 먼저 젊은 1인 가구와 노인 1인가구의 차이점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첫번째 1인 가구가 형성된 원인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젊은층의 경우는 취업으로 인한 타 지역으로의 이동과 결혼가치관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며 노년층의 경우는 빠른 고령화와 사별에 의한 가구 구성원 변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 두번째로 1인 가구가 겪을 수 있는 스트레스의 원인에서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젊은층의 경우는 취업이나 고용에 대한 불안, 그리고 주거지의 불안정성이 원인이 되며 노인층의 경우는 은퇴 후의 재정적 어려움과 노화에 의한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러면 1인 가구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 먼저, 국가적 차원에서는 1인 가구가 겪는 주거문제, 안전 문제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합니다. 여기에는 청년 1인가구 주택공급이나 1인가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 다수의 CCTV를 설치하는 것이 있습니다. ? 또한 고독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혼자사는 노인을 위한 인공지능이나 로봇 개발에 공동 투자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노인들이 자주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채널변경이 장시간 감지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신고되는 기술을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 지역사회 측면에서는 1인가구가 밀집된 곳에 [1인가구 공공시설]을 만들어 교류를 통해 고독감을 해소할 뿐만아니라 좁은 원룸의 한계를 극복하고 노인들의 적은 활동성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보건, 의료 측면에서 고립으로 인한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 젊은 층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결시켜주어 필요시 적절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주며 노인층의 경우는 보건소와 병원이 연계되어 방문간호와 원격 진료등을 통해 건강한 노년생활을 도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
면접준비|
2022.02.24|
2페이지| 5,000원|
조회(5,932)
-
미리보기
-
-
차의과대학교 간호학과 편입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
■[문항1] 자기소개와 지원동기를 기술하시오.(700자 이내) 저는 도전에 따른 경험이 무엇보다 값지다고 생각해 ‘도전정신’을 평생 모토로 삼았습니다. 하고자 하는 것은 겪어봐야 하는 성격 때문에 더 빨리 사회에 나가 다양한 사람을 만나보고 싶어 고등학교진학을 포기한 후 마트직원으로 4년간 일했고 이를 통해 마케팅에 관심이 생겨 전적대 경영학과에 진학했습니다. 코로나는 제 인생의 전환점입니다. 코로나로 온라인수업을 들으며 필리핀 원어민과의 화상영어 수업에 도전했습니다. 대화는 과거 필리핀에 약 1년간 머물렀을 때 경험했던 열약한 의료 시스템을 상기시켰고, 팬데믹으로 인한 해외간호인력의 부족을 깨닫게 했습니다. 인류에게 건강과 희망을 주는 일에 보탬이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김영편입의 간호학개론 수업을 따로 수강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대상자들을 간호하는 간호사가 되고자 마음먹었습니다. 간호사가 되고자 하는 막연한 꿈은 차의과대학교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더 구체화되었습니다. 편입학정보를 찾던 중 차의과대학교의 해외연수 프로그램과 Global Nursing Simulation 교과목이 글로벌 간호 역량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확신했습니다. 졸업 후 임상경험을 쌓고 국제간호사면허증을 취득해 최종적으로 미국간호사가 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도전적인 학습환경을 만들어주는 차의과대학교 간호학과로의 편입은 제 꿈을 이루기 위한 필수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항2]입학 후 학업 목표, 실행 계획, 졸업 후 진로를 기술하시오.(700자 이내) 간호사를 목표로 하는 과정에서, 거시적인 시각으로 다양한 배경의 대상자들을 간호하기 위한 체계적인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해왔습니다. 우선 입학 학기에는 전공필수과목을 중심으로 간호학의 입문단계를 탄탄히 다질 것입니다. 또한, 2학기 수강과목을 따라가기 위해 계절학기로 모든 과목의 기초가 되는 해부학을 수강할 계획입니다. 3학년 2학기에는 멘토링 동아리 ‘세미콜론’에 가입하여 청소년과 탈북민 같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게 멘토링 활동을 펼치고 싶습니다. 4학년 때에는 Global Nursing Simulation 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문화권의 방역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팬데믹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것이며, 하계동계방학 때 GPH VALOR 프로그램에 참여해 미국 등의 간호대학과 글로벌 간호상황에 관해 얘기하며 소통능력을 기르고 싶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은 외국어 공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글로벌 간호인재가 되기 위한 발판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졸업 후에는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뒤 특수부서인 중환자실에서 임상 일을 하고 싶습니다. 전인간호 실현과 기계를 다루는 능력, 응급상황대처능력과 같은 특수성을 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경력을 쌓은 후 NCLEX-RN과 IELTS 시험을 통과해, 최종적으로 국제화 시대를 이끌어갈 지도력을 갖추어 미국에서 간호사로 일할 것입니다.
-
학교|
2022.02.11|
2페이지| 2,000원|
조회(6,163)
-
미리보기
-
-
2022학년도 간호학과 대졸자 전형 삼육보건, 경민,서정,수원여자,신성,강동 최초합, 동남보건(예비5) + 자기소개, 지원동기, 인재상, 좌우명, 장단점, 간호사의 자질, 학업계획, 전공, 간호계 이슈, 봉사, 리더..
-
② 본론1. 왜 이 학교여야 하는가면접을 보러 가기 전 꼭 준비해야 하는 것은 ‘왜 이 학교를 오고 싶은가?’에 대한 질문에 대처가 필요합니다. 면접관인 교수님께서 ‘ 왜 oo대학교에 지원했어요?’ 이렇게 묻진 않으십니다. 그러나 면접 때 내가 이렇게나 이 학교에 대해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쉽게 말해 면접 때 점수를 따기 위해서 저는 답변에 왜 이학교인지를 꼭 첨가해서 말했습니다. -학교의 홍보영상 -학교 홈페이지-oo대학교의 간호학과 홈페이지-'oo대학교의 간호학과' 네이버 검색 후 최신 뉴스기사 확인해보시면 해당 대학교의 이슈를 알 수 있습니다. 긴 내용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간단하게 한 두 마디 안에 내가 이렇게 이 학교에 대해 애정을 이 만큼 가지고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시기만 하면 됩니다답변 예시) oo대학교가 실습실을 리모델링하기도 하고 매년 국시합격률 100퍼센트를 보여주어서 oo대학교가 얼마나 간호학과 신경을 써주시는 지 알 수 있었습니다 제가 이와 같은 환경에서 공부를 한다면 간호학도로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환경에서 학업에 매진할 수 있다는 자신이 들었습니다답변 예시) 또한 oo 동아리를 활동을 하면 스트레스를 풀며 학업을 함께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간호사에게 스트레스 조절 능력을 필수이기 때문에 미리 스트레스는 푸는 방식을 길러 놓으면 훗날 임상에 가서도 큰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면접준비|
2022.01.01|
31페이지| 50,000원|
조회(5,939)
-
미리보기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통계 학업계획서(합격)
-
학 업 계 획 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년도 2학기 지 원 전 공 보건정보통계 성 명 ◎ 입학 후 학업에 대한 계획을 2-3매 분량으로 아래에 기술하십시오. (항목은 본인소개, 본인전공, 진학동기, 앞으로 학업 및 연구계획 등의 순서로 기술) ◎ 기술하는 항(項)마다 그 첫머리에 항목명을 적고 선으로 밑줄을 긋도록 하며, 항 사이에는 두 줄을 띄우십시오. 본인소개 저는 가정에서 막내로 태어나, 어릴 적부터 항상 집안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분위기메이커의 역할을 하며 밝고 긍정적인 성격으로 자랐습니다. 사소하지만 이러한 저의 생활습관은 대학교 기숙사 생활을 하는 4년 내내, 그리고 간호사로 병원에서 근무했을 당시 다양한 부서의 동료직원들과 큰 갈등 없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제 성격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성실성입니다. 저는 마음먹은 일에 한해서는 반드시 결실을 이루어 내고, 미숙한 점을 찾으면 그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때까지 제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실제로 4년의 대학생활 동안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학점이 떨어진 적도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성실한 자세로 공부하여, 4학년 때에는 최고의 성적과 함께 학업우수상을 2차례나 받기도 했습니다. 또한 연구간호사로 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 다수의 항암제 연구를 2주 안에 업무인계 받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매일 퇴근 후 복습하고 직접 부딪혀가며 연구를 차질 없이 진행시켰습니다. 이처럼 성실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타인을 배려하는 저의 마음가짐은 새로운 환경에서 내외부 조직과 잘 융화되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주춧돌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학부전공 학부시절 간호학을 전공하여 4년에 걸쳐 약리학, 병리학, 생물학 등의 기초간호과학과 더불어 간호연구, 보건통계학, 기초 임상연구 CRA 초급과정 등 임상시험과 관련한 다양한 전공과목을 수강하였습니다. 대학교 재학 당시 매 학기 마다 영어로 된 연구논문을 해석하고 요약하면서 다양한 의학 연구에 대해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기초 임상연구와 보건통계학 수강을 통해 p-value나 z-score, 회귀분석 등 실제적인 임상시험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료통계 이론지식을 학습하며 임상시험 데이터 및 통계분야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환자군을 넘어 전 인류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임상시험 분야에 큰 매력을 느끼게 되어 졸업 후 연세의료원 수술실 간호사로 근무하며 짧지만 알찬 의학지식을 쌓고,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연구간호사로서 임상시험 분야에 첫 발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임상시험 수탁기관의 Data Management(DM) 부서에 근무하며, 임상시험 계획서에 맞춘 CRF 개발과 Medical data의 manual review 및 handling을 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임상시험 데이터 확보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간호학 전공의 장점을 살려 보건정보통계 분야에서 심도 있는 경험과 교육을 통해 발전하는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진학동기 임상시험 수탁기관 DM부서에 근무하면서 간호학 전공자로서 갖춘 보건의료지식을 바탕으로 직무와 관련하여 역량 확장의 기회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임상시험 진행 과정에서도 DM부서에서 Query 발행 등의 data validation 및 SQL, SAS 등을 통한 handling 과정을 거쳐 통계부서에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임상시험 결과보고서가 작성되기에, 추후 통계분석 시 질적으로 우수하고 일관성 있는 Data를 제공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미리 인지하는 것이 DM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증례기록서의 개발 시 또는 data validation 업무를 진행하기 전 임상시험 계획서 상 기재되어 있는 PPS, FAS, Safety set 등의 분석군 정의와 안전성 평가변수, 유효성 평가변수를 확인하고 통계분석 시 중요한 data에 대해서는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면밀하게 검토하는 과정에서 통계와 관련한 학문적 지식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지식과 학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의 폭과 넓이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부터 학부시절 이론적 지식으로만 접해왔던 회귀분석, R 통계분석 등 다양한 통계학의 이론을 보건학 분야의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본 전공이 제가 꿈꾸는 목표에 부합한다는 생각에 진학 지원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보건정보통계학 전공을 통해 보건 및 의학 분야에서의 통계기법을 학습하고, 이를 임상시험 자료관리 업무에 접목시킬 수 있다면 임상시험 전 단계를 아울러 조금 더 깊이 있는 관점으로 Data Managing 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 인력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향후 학업 및 연구계획 통계학의 기초이론과 각종 자료분석 실습을 통해 임상시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학술 연구에 참여하는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특히 종양내과 간췌담도암 연구간호사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질병의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진 간췌담도암의 위험인자와 발생률, 사망률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간췌담도암 관련 항암제 임상시험을 진행할 때, 연구계획서에 따라 대상자의 인구학적 정보에 해당하는 기저 간질환, 흡연력, 음주력 등의 다양한 위험인자를 수집합니다. 이러한 위험인자와 암 발병 간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다면 질병의 이환 및 생존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변수와의 연관성을 평가할 수 있고, 짐작하지 못했던 새로운 위험인자의 발견 및 예측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질병의 치료 전단계인 예방 수준에서 질병의 위험성과 발생에 대해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사전 예측하는 것은 환자군의 건강 뿐 아니라 국민 보건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의 질병 관련 모형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보건정보통계 전공을 통해 습득하게 될 심화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사 및 Data Manager로서의 실무 과제 경험이 더해진다면, 다양한 임상시험 과제 진행에 있어 더 넓은 시야를 가진 역량 있는 실무자로 성장할 것입니다. ◎ 부족한 지면은 별지를 사용하여 작성 하십시오.
-
학교|
2021.12.11|
2페이지| 7,000원|
조회(6,212)
-
미리보기
-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연구계획서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
연 구 계 획 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지원전공 유아교육 수험번호 성 명 현직교사( V ) 정교사(2급) 교원자격증 소지자(V ) 교원자격증 취득 예정자( ) 교육대학원 입학 후 자격증 취득 희망 ( V ) 취득 미 희망 ( ) ( ※ 해당사항에 모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학업 및 장래계획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이론을 더 배우고 싶은 마음에 진학을 결심했습니다. 저는 학부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면서 전공, 교직과목 공부 및 동아리 활동으로 다양한 유아교육 지식과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를 토대로 졸업 후, 유치원 교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연차가 쌓일수록 학부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유아들마다의 발달에 맞는 상호작용, 바뀌는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다양한 심리변화 등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유치원 안에서 다른 교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교수님의 지도 및 다양한 동료교사와의 토론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습득하고 싶습니다. 교직생활 3년차인 지금, 생존단계의 교사가 아닌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사로 성장하고자 교육대학원을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대학원에서의 배움을 통해 유아교육에 필요한 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해 심화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싶습니다. 후배 교사가 생기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저의 전문지식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이 현직교사의 재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심화된 전문지식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본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배움의 기회를 얻음으로써 보다 넓은 견문을 익히며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교사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만들 것입니다. 유아들이 처음 만나는 사회적 집단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이고 그 속에서 만나는 첫 번째 선생님이 바로 유아교사입니다. 유아들은 교사의 행동이나 말을 모방하여 빠르게 습득하므로 행동 하나하나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유아교육에 임하고 싶습니다. 현재 3년의 경험을 갖춘 교사로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유아교육 지식을 익히겠습니다. 대학원에서 배운 이론을 바로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교사와 유아가 모두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는 반을 만들고 싶습니다. 졸업 후는 대학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유치원 현장에서도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통하여 유아교육의 전문지식을 축적해 가는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를 것입니다. 교수님의 지도와 다양한 교사들과의 토론으로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여 발전시키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연구하며 유아들의 행복에 다가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도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경력을 쌓은 후 제 교육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원장의 교육신념은 교사가 유아를 가르치는 지표가 되고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제 교육철학은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발달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방적인 발문들을 통해서 유아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또한 구성주의에 기초하여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구성하도록 교사는 같이 탐구자가 되어주고 유아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여 유아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서 발달 있도록 하는 역할을 충분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립유치원 같은 경우는, 학부모들의 학습적인 기대와 각종 행사 등 으로 인해 교육철학이 뒷전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대학원에서 저만의 확고한 교육 철학을 세우고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 중심 정통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한 반을 운영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한 교육기관을 운영하며 대학민국 유아교육에 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
학교|
2022.05.10|
1페이지| 4,000원|
조회(1,686)
-
미리보기
-
-
[합격 연구계획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연구계획서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
학 업 계 획 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기 입학시험 수험 번호 지 원 자 과정 : 석사 ? 연구 전공 : 성명 : (인) ? 아래 항목을 참조하여 자유롭게 기술하십시오(분량?형식 등 제한없음) 1. 자기소개 어린 시절부터 나이차이가 많은 동생들을 돌보면서, 맏이로써 모범이 되고, 배려하는 방법을 길러왔습니다. 이러한 환경을 통해 어떠한 다른 직업보다 배려심이 필요로 하는 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한 꿈을 꾸었습니다. 또한 고등학교 때, 학생회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테라스 설치와 반바지 교복 추진 등을 주도적으로 이루어냈습니다. 특히, 휴학기간 동안 호주에서의 어학연수는 대인관계 능력과 책임감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낯선 곳에 혼자가 말도 안통하고 한국인도 없어 힘들었지만, 항상 미소로 먼저 다가가 알고 싶은 것들을 먼저 물어보고 행사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임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동양인을 경계하던 다른 외국인도 친밀감을 느끼면서 지금도 외국인 친구들이 우리나라를 방문 하여 서울 투어를 하면서 친구관계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여러 나라 사람들과 공동으로 함께 살면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 개방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TESOL 자격증 준비를 하면서 호주의 교육기관에서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초기에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으로 인해 아이들이 경계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감을 잃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용기를 내 먼저 다가가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관심사를 찾아내려 노력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를 가르쳐 주면서 차츰 아이들이 마음을 열고 친밀함을 느끼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와, 복학 한 후 1년 동안 동행 프로젝트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봉사활동을 하면서 아이들과 소통하고 그 안에서 성취감과 행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졸업 한 후, 지금 서울 목동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3년간 교사 경력을 쌓았습니다. 2. 진학동기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이론을 더 배우고 싶은 마음에 진학을 결심했습니다. 저는 학부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면서 전공, 교직과목 공부 및 동아리 활동으로 다양한 유아교육 지식과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를 토대로 졸업 후, 유치원 교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연차가 쌓일수록 학부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유아들마다의 발달에 맞는 상호작용, 바뀌는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다양한 심리변화 등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유치원 안에서 다른 교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교수님의 지도 및 다양한 동료교사와의 토론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습득하고 싶습니다. 교직생활 3년차인 지금, 생존단계의 교사가 아닌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사로 성장하고자 교육대학원을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대학원에서의 배움을 통해 유아교육에 필요한 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해 심화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싶습니다. 후배 교사가 생기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저의 전문지식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이 현직교사의 재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심화된 전문지식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본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3. 학습목표 및 계획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배움의 기회를 얻음으로써 보다 넓은 견문을 익히며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교사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만들 것입니다. 유아들이 처음 만나는 사회적 집단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이고 그 속에서 만나는 첫 번째 선생님이 바로 유아교사입니다. 유아들은 교사의 행동이나 말을 모방하여 빠르게 습득하므로 행동 하나하나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유아교육에 임하고 싶습니다. 현재 3년의 경험을 갖춘 교사로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유아교육 지식을 익히겠습니다. 대학원에서 배운 이론을 바로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교사와 유아가 모두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는 반을 만들고 싶습니다. 졸업 후는 대학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유치원 현장에서도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통하여 유아교육의 전문지식을 축적해 가는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를 것입니다. 교수님의 지도와 다양한 교사들과의 토론으로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여 발전시키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연구하며 유아들의 행복에 다가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도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경력을 쌓은 후 제 교육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원장의 교육신념은 교사가 유아를 가르치는 지표가 되고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제 교육철학은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발달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방적인 발문들을 통해서 유아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또한 구성주의에 기초하여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구성하도록 교사는 같이 탐구자가 되어주고 유아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여 유아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서 발달 있도록 하는 역할을 충분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립유치원 같은 경우는, 학부모들의 학습적인 기대와 각종 행사 등 으로 인해 교육철학이 뒷전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대학원에서 저만의 확고한 교육 철학을 세우고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 중심 정통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한 반을 운영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한 교육기관을 운영하며 대학민국 유아교육에 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4. 기타 특기사항(지원분야, 경력, 연구활동, 수상경력 등) 2학년을 마치고 1년 휴학을 하면서 호주에서 TESOL 자격증을 땄습니다. 호주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봉사하면서 여러 국가에서 온 유아들을 만나며 다양한 문화의 경험과 호주의 유아교육에 대해서도 직접 보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때부터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에 관심이 생겨 4학년을 마치고 학교와 연계되어 있는 미국 피츠버그의 CMU Kindergarten에 1달동안 실습을 가게 되었습니다. 1달 이라는 짧은 시간이였지만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와 건축물, 의상 등을 수업으로 준비해 갔습니다.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미국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서로 교류하면서 값진 시간을 보냈습니다. 제가 준비한 수업을 통해서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더 알아가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깊은 보람을 느꼈고 가르치는 직업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 유치원의 교사들과의 토론을 통해서 우리나라 교육과 미국 교육에 대해 비교해보고 각 나라의 교수방법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서울 목동에 있는 유치원에 취업하여 3년 동안 만5세 담임을 맡아 이끌어 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연령주임을 맡아 제가 맡은 연령의 교사와 유아들을 책임지고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또한 행사 담당으로써 유치원의 각종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하며 평가를 통해서 유아들과 가정이 모두 만족하고 행복해 하는 시간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한다면 경력교사로서의 진지하고 적극적인 배움의 자세로 학업에 임할 것입니다.
-
학교|
2022.05.10|
2페이지| 4,000원|
조회(1,679)
-
미리보기
-
-
2022전기 경희대 유아교육대학원 학업계획서
-
2022 전기 경희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학업계획서 1. 진학동기 (최대 500자 이내) 학부의 아동복지전공 입학과 보육실습을 통하여 기존에 가졌던 것과 다른 새로운 시각으로 유아교육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유아교사라는 직업은 단순히 아이들을 사랑하고 유아의 수업을 위한 여러 기술을 능숙하게 익히는 차원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개별 유아의 성향과 요구를 민감하게 알아채고 놀이를 지원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아교육이라는 큰 목적아래 함께 해야 하는 모든 구성원과 소통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특히 학기 중 방문 놀이교사와 보육실습 경험을 하며 가정과의 소통을 통해 유아들을 지원할 수있는 교사로서의 역할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학부의 아동가족학과를 기반으로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 그리고 교사의 역량 발전에 많은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희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에서 저의 궁금증들을 해소하고 앞으로의 유아교사 생활에서 가정과 연계하여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교육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2. 학습목표 및 계획(최대 700자 이내) 방문 놀이수업을 통해 유아들의 놀이를 지도하며 유아와 놀이 그리고 유아를 둘러싼 가정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교육 현장실습에서는 만 3세 유아반을 지원하며 놀이나 기본생활에서 유아의 형제 관계 및 가정 배경이 유아의 행동으로 드러나거나 주말 동안 가족들과 시간을 보낸 후 등원을 하는 월요일이면 평소 원에서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언행을 보이는 것을 쉽게 관찰하며 가족이라는 체계와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졌습니다. 물론 어떠한 교육적 결론에 도달하기에는 충분치 못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가정과 부모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에 저는 유아 및 아동을 둘러싼 가족이라는 환경체계 관련 이론수업이 풍부하게 개설되어 있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교사로서의 이러한 관심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연구로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기회를 허락해 주신다면 학부 수업으로 개설된 가족학, 가족관계론, 가족치료, 아동과 가족의 미래와 같은 교과목 수강을 통해 가족학 분야의 기초를 쌓고 최근 가족 관련 이슈와 접목하여 프로그램 개발 등 폭넓은 접근을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부모교육 및 가족프로그램의 운영상황, 국외의 사례 등을 살피고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와 피드백, 수정과 시행의 과정을 거치는 방향으로 학습계획을 정하여 연구하고자 합니다. 3. 기타 특기사앙(지원분야, 경력, 연구활동, 수상경력 등, 최대 500자 이내) 학부 재학 중 방문 놀이 교사로 4-7세의 유아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함께 놀며 상호작용 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성향과 발달 수준을 가진 유아들에 대한 이해와 개별유아 지원을 위한 다양한 놀이 매체를 고민해가며 시행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각 유아마다 다른 관심사와 재능을 발견하고 이를 지원해 주기 위해 미술, 체육, 언어, 과학 등 교과적 측면에서의 놀이지원을 계획해 보기도 하고 3D 프린팅을 활용한 메이커스 프로그램을 수강하며 새롭고 창의적인 유아교육 실천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유아들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을 위한 노력 이외에도 부모님들과 유아의 놀이 및 발달, 학습과 관련한 현재 상황,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도 자주 논의하는 경험을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유아와 부모 간의 생생한 상호작용, 부모님들의 자녀양육과 놀이 지원에 대한 고민과 걱정을 곁에서 공감하고 나눌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유아와 부모 그리고 가정을 하나의 유기적인 체계로 이해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4. 졸업 후 희망(최대 500자 이내) 저의 유아교사로서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아교육현장을 연구하고 유아들에게 보다 나은 미래의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소임을 다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에 닿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먼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학업에 열중하며 유아와 가족이라는 환경 간의 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에 매진하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졸업 후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공립과 사립이라는 같지만 또 다른 부분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 모두를 경험할 수 있도록 임용시험을 준비해보고자 합니다. 임용합격 후에는 각 유아교육기관의 실정에 맞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원과 가정 연계 및 부모 참여 프로그램, 영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부모-자녀 놀이상호작용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정착시켜 나가며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과 연구에 힘쓰고 싶습니다. 5. 기타(최대 500자 이내)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서 유아가 창의적이며 탐구적인 생각을 계속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교사로서 역할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저의 교육관은 경희대학교의 미래지향적인 교육목표와 일치합니다. 유아교육에서 이를 지원하는 한 가지의 중요한 과제로 아이의 관심사와 재능을 부모와 지속적으로 나누고 유아가 이것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방향을 함께 의논하며 교육 환경에 속한 구성원 전체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내는 것 또한 유아교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매우 중요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전의 교육방식이나 문화에서 안주하지 않고 기존의 교수법 및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유아교육의 연장선으로 가정에서도 일관되고 안정된 환경에서 유아가 보다 자기 자신을 존중하며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유아교육 환경을 만들고자 연구할 것입니다.
-
학교|
2022.04.22|
3페이지| 7,000원|
조회(3,888)
-
미리보기
-
-
2022 전기 한국외대 유아교육대학원 학업계획서
-
2022학년도 전기 연구계획서(Study Plan) 1. 인적 사항 지원전공 유아교육전공 수험번호 성명 2. 진학 목적 및 동기 학부시절 방문영어교사활동으로서 4~7세의 다양한 연령의 유아를 대상으로 1:1 영어교육과정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며 유아들을 교육하는 역할과, 직장 어린이집 보육현장실습을 통해 보육교사로 임하면서 아이들을 예뻐하고, 수업을 위한 교수 기술을 익히며, 개별 유아의 성향과 요구를 민감하게 알아채고 놀이를 지원하는 역할에 집중하였습니다. 하지만, 제가 기획했던 교육의 방향과 효과가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진행이 매끄럽지 않거나 아이들의 성취가 늦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방문영어교사로서의 교육은 짧은 시간 이루어 졌는데, 유아들에게 교육내용에 대해 교육한 후 가정에서의 복습과정이 미흡하여, 교육의 효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다수 있었고, 보육교사로서 장기간의 교육이 필요한 생활태도교육에 있어서 아이들이 가정에서 주말을 지내고 온 월요일이면 그동안 학급에서 생활하던 태도와 달라져 교정을 다시금 해줘야 하는 경우 또한 심심치않게 경험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각기 다른 아이들의 가정상황과 유아성향 및 흥미를 바탕으로 어떻게 더욱 효과적으로 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유아교육이라는 큰 목적 하 교사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일관성 있는 연계가 필요하겠음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교사와 유아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사와 부모와의 소통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가정과의 소통을 통해 유아들을 지원 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역할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아이들을 위해 아직 배움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였고, 석사과정을 통해 저의 부족한 배움을 채워가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한국외국어대학원 교육대학원에서 교사라는 역할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이라는 공간과 가정과의 연계, 가족에 대한 이해와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연구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의 많은 궁금증들을 해소하고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교육할 수 있는 유아교사역할에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본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3. 전공분야 연구계획(연구 주제,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 유아를 둘러싼 가정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문영어교사와 보육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가정과 연계되지 않은 교육으로 인해 효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육적 결론에 도달하기에는 충분치 못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가정과 부모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요성을 정밀하게 이해하기 위해 교사의 유아 및 아동을 위한 교육에 교사와 가정환경간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로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본교에 개설되어 있는 ‘부모교육세미나’, ‘가족관계 및 상담세미나’, ‘유아교육방법론’ 과 같은 가족학 분야의 교과목을 수강하며 역량을 갖추어 현재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시행실태, 그 효과에 대한 연구에 대해 폭넓은 접근을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이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습계획을 정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가정 간 연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내 교육내용의 효과성 보장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개발 이후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율, 참여에 따른 유아들의 배움 흥미도, 생활태도, 부모님과 유아들의 만족도 등에 대한 자료를 질문지법, 면접법 등을 통해 조사하고, 국내외의 사례 등을 포괄하는 동향의 연구결과들을 포괄하여 살피고자 합니다. 해당 자료들을 바탕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수정, 시행,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신뢰성, 타당성을 증명하고, 더 나아가 실무적인 유아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실제 유아교육기관 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효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저의 유아교사로서의 궁극적인 바람은 유아교육현장을 연구하고 유아들에게 보다 나은 미래의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교육기관에 정착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 과정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에서의 학업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크나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또한 본교를 졸업한다면 저의 바람을 사립교육기관만이 아니라 국립교육기관에서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4. 학위 취득 후 계획 졸업 후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 현장을 경험하고 임용 후에는 국공립 유치원을 두루 거쳐 가면서 각 기관에 대한 특성, 이해와 더불어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힘쓰고 싶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의 배움과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 및 각 가정의 상황,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찾아 평가와 피드백, 수정과 시행의 과정을 거쳐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아이들에 보다 나은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힘쓸 것입니다. 5. 기타 사항 학부시절 ‘COVID-19 팬데믹과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주제로 ‘COVID-19 팬데믹 하 부모를 위한 영유아 신체발달을 위한 실내놀이소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해당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하 불가피한 실외활동 감소와 유아교육기관 등교제한으로 인해 영유아의 신체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에서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위한 가정 내 놀이활동의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 내 놀이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소개하고, 적합한 놀이활동를 소개하기 위함에 있습니다. 연구 당시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전국 유아교육기관이 코로나가 확산 또는 재확산을 우려하겨 전체적으로 휴원조치가 내려졌고, 동일한 장소에 모이는 활동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으로 인해 다양한 체육시설의 운영이 금지되어 영유아들의 외부활동이 지극히 제한되는 모습을 기사를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의 통계자료와 영유아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1. 영유아 실내놀이활동 증가로 인한 층간소음의 증가 2. 영유아들의 취침 및 기상시간의 변화로 인한 신체발달의 저하 3. 가정내 불규칙 식사습관과 불균형한 식단관리로 인한 신체발달의 저하 4. 신체활동 선택폭의 감소 5. 부모들의 놀이활동 통제에 대한 스트레스 증가 등의 문제점 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의 신체활동 실태와, 실내신체활동 프로그램 사례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 종이컵을 활용한 탁구 놀이 2. 보자기와 풍선을 활용한 공놀이 3. 훌라우프와 테이프, 풍선을 활용한 거미줄놀이 등의 실내놀이활동을 기획하여 소개하였고, 이외 영유아 혼자서 안전하게 실외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가이드와 건강한 돌봄 놀이터와 같은 지자체에서 지원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학부모들이 손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Web-List를 구성하여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놀이활동들과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은 학부모들의 입장에서는 영유아 신체활동 전반적인 정보들을 다양하게 접하여 영유아들의 신체발달을 세심하게 관리해줄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들의 입장에서는 실내에서도 안전하고도 풍부한 놀이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저는 해당 연구가 매우 뜻 깊고 공공의 이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쳤다 판단되었고, 결과에 대해 성취감과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교육환경과 대비되어 급변하는 환경에 발맞추어, 새롭게 맞이하는 위드코로나 시대에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연구자로서 더 나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깨닫는 연구활동을 통해, 저는 무엇보다, 배움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크게 느꼈습니다. 대학원 진학 후 제가 진행하는 모든 연구와 배움은 제가 행사하려는 더 나은 영향력에 또 다른 영향력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학교|
2022.04.22|
4페이지| 5,000원|
조회(3,999)
-
미리보기
-
-
연세대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학업계획서 1차 합격 학업계획서
-
학 업 계 획 서 ? 아래 항목을 참조하여 자유롭게 기술하십시오(분량?형식 등 제한없음) 1. 자기소개 [제자들에 대한 사랑과 가르침에 대한 궁금증으로 첫발을 내딛다] 여느 학우들과 마찬가지로 이십 대 초반의 저는 자신만을 위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아동을 위한 영어교재기획 및 제작에 대한 흥미를 기반으로 영어영문학을 전공으로 삼던 제가 아동복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아동복지학부로 편입하게 된 계기는 △△지역 아동교육지원사업의 대학생 멘토로서 활동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저의 첫 제자들과의 만남이었습니다. 조금 거창하게 지역아동센터의 아이들을 제자라고 칭하게 된 연유는, 제가 자신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노력하고 헌신하여 그들에게 배움과 성정의 이로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고, 그 아이들이 저를 선생님이라 불러주며 잘 따랐기 때문입니다. 너무나 가슴 뛰는 경험이었습니다. 아이들과 많은 시간 더불어 지내며 희노애락을 함께 느끼고, 깊은 우애를 다질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이들을 좀 더 이로운 방향으로 이끌고, 좀 더 나은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아이들을 위해 사랑을 담아 노력하는 그 순간에 행복함을 느낀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제게는 교육에 대한 열정이 있고, 또한 교육지식에 대한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 열정을 쏟기 위해 그리고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해 아동복지학부에 편입하게 되었습니다. [교육자를 위한 걸음에 확신을 가지다] 아동복지학부 과정에서 아동복지, 아동심리, 아동보육 등의 다양한 과정들을 수강하였고, 그 중 저의 흥미를 깊게 끌어당긴 아동교육에 대한 과정을 전문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유아배움중개 플랫폼인 ‘△△△’ 앱을 통해 영어영문학부의 지식을 활용하여 유아들을 위한 영어교육과정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학부과정 중 보육현장실습에 임하며 다양하고도 전문적인 교육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하여 확신할 수 있었고, 저의 길을 찾았다는 것에 깊은 충족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해당 노력과 경험 중 저의 성실함과 기획력은 학부과정 중 만난 학우들과 학부모님들이 특히 높이 평가해주신 부분입니다. 저는 그 길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진학 기회를 통해 계속 이어나가고 싶고, 그 길을 꿋꿋하게 걸어 나갈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학년도 전기 입학시험 수험 번호 지 원 자 과정 : 석사 ? 연구 전공 : 유아교육 성명 : (인) 2. 진학동기 ‘△△△’ 앱을 통해 방문영어교사로서 임하면서 4~7세의 다양한 연령의 유아를 대상으로 1:1 영어교육과정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며 유아들을 교육하는 역할과, 직장 어린이집 보육현장실습을 통해 보육교사로 임하면서 아이들을 예뻐하고, 수업을 위한 교수 기술을 익히며, 개별 유아의 성향과 요구를 민감하게 알아채고 놀이를 지원하는 역할에 집중하였습니다. 하지만, 제가 기획했던 교육의 방향과 효과가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진행이 매끄럽지 않거나 아이들의 성취가 늦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방문영어교사로서의 교육은 짧은 시간 이루어 졌는데, 유아들에게 교육내용에 대해 교육한 후 가정에서의 복습과정이 미흡하여, 교육의 효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다수 있었고, 보육교사로서 장기간의 교육이 필요한 생활태도교육에 있어서 아이들이 가정에서 주말을 지내고 온 월요일이면 그동안 학급에서 생활하던 태도와 달라져 교정을 다시금 해줘야 하는 경우 또한 심심치않게 경험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각기 다른 아이들의 가정상황과 유아성향 및 흥미를 바탕으로 어떻게 더욱 효과적으로 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유아교육이라는 큰 목적 하 교사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일관성 있는 연계가 필요하겠음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교사와 유아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사와 부모와의 소통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가정과의 소통을로서의 역할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아이들을 위해 아직 배움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였고, 석사과정을 저의 부족한 배움을 채워나가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연세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에서는 학부의 아동가족학과를 기반으로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 그리고 교사의 역량 발전에 많은 지원과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었고, 본교에서 교사라는 역할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이라는 공간과 가정과의 연계, 가족에 대한 이해와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연구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의 많은 궁금증들을 해소하고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교육할 수 있는 유아교사역할에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본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3. 학습목표 및 계획 유아를 둘러싼 가정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문영어교사와 보육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가정과 연계되지 않은 교육으로 인해 효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육적 결론에 도달하기에는 충분치 못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가정과 부모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요성을 정밀하게 이해하기 위해 교사의 유아 및 아동을 위한 교육에 교사와 가정환경간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로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본교에 개설되어 있는 가족상담, 가족관계, 가족생활교육과 같은 가족학 분야의 교과목을 수강하고, 현재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시행실태, 그 효과에 대한 연구에 대해 폭넓은 접근을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이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습계획을 정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가정 간 연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내 교육내용의 효과성 보장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개발 이후 부모교육에 대한 참, 생활태도, 부모님과 유아들의 만족도 등에 대한 자료를 질문지법, 면접법 등을 통해 조사하고, 국내외의 사례 등을 포괄하는 동향의 연구결과들을 포괄하여 살피고자 합니다. 해당 자료들을 바탕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수정, 시행,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신뢰성, 타당성을 증명하고, 더 나아가 실무적인 유아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실제 유아교육기관 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효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저의 유아교사로서의 궁극적인 바람은 유아교육현장을 연구하고 유아들에게 보다 나은 미래의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교육기관에 정착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 과정에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에서의 학업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크나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또한 본교를 졸업한다면 저의 바람을 사립교육기관만이 아니라 국립교육기관에서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4. 기타 특기사항(지원분야, 경력, 연구활동, 수상경력 등) 학부시절 ‘COVID-19 팬데믹과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주제로 ‘COVID-19 팬데믹 하 부모를 위한 영유아 신체발달을 위한 실내놀이소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해당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하 불가피한 실외활동 감소와 유아교육기관 등교제한으로 인해 영유아의 신체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에서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위한 가정 내 놀이활동의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 내 놀이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소개하고, 적합한 놀이활동를 소개하기 위함에 있습니다. 연구 당시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전국 유아교육기관이 코로나가 확산 또는 재확산을 우려하겨 전체적으로 휴원조치가 내려졌고, 동일한 장소에 모이는 활동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으로 인해 다양한 체육시설의 운영이 금지되어 영유아 기사를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의 통계자료와 영유아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1. 영유아 실내놀이활동 증가로 인한 층간소음의 증가 2. 영유아들의 취침 및 기상시간의 변화로 인한 신체발달의 저하 3. 가정내 불규칙 식사습관과 불균형한 식단관리로 인한 신체발달의 저하 4. 신체활동 선택폭의 감소 5. 부모들의 놀이활동 통제에 대한 스트레스 증가 등의 문제점 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의 신체활동 실태와, 실내신체활동 프로그램 사례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 종이컵을 활용한 탁구 놀이 2. 보자기와 풍선을 활용한 공놀이 3. 훌라우프와 테이프, 풍선을 활용한 거미줄놀이 등의 실내놀이활동을 기획하여 소개하였고, 이외 영유아 혼자서 안전하게 실외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가이드와 건강한 돌봄 놀이터와 같은 지자체에서 지원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학부모들이 손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Web-List를 구성하여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놀이활동들과 영유아의 신체발달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은 학부모들의 입장에서는 영유아 신체활동 전반적인 정보들을 다양하게 접하여 영유아들의 신체발달을 세심하게 관리해줄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들의 입장에서는 실내에서도 안전하고도 풍부한 놀이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저는 해당 연구가 매우 뜻 깊고 공공의 이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쳤다 판단되었고, 결과에 대해 성취감과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교육환경과 대비되어 급변하는 환경에 발맞추어, 새롭게 맞이하는 위드코로나 시대에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연구자로서 더 나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깨닫는 연구활동을 통해, 저는 무엇보다, 배움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크게 느꼈습니다. 대학원 진학 후 제가 진행하는 모든 연구와 배움은 제가 행사하려는 더 나은 영향력에 또 다른 영향
-
학교|
2022.04.13|
4페이지| 10,000원|
조회(4,538)
-
미리보기
-
-
(2022전기합격)이화여자대학원, 교육대학원 학업계획서, 특수교육,유아특수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구계획서(Study Plan) 수험번호 지 원 과 정 석사학위 과정( ) 연구생 과정( ) 성 명 : 지원전공 : 1. 진학의 동기 ‘학생에 대한 이해도를 최대한 넓히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하고 싶다’ 라는 의지로 저는 특수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을 복수전공 하였습니다. 제가 다니던 대학에는 유아특수교육과가 있지 않아 초등 특수교육과를 전공하였는데, 이때 배운 지식도 통합학급을 특수교사와 함께 이끌거나 장애 유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임용을 통과하여 공립 단설유치원에서 유치원 교사로 재직하면서 장애 유아 및 경계선 장애를 지닌 유아 등 다양한 유아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유치원에서 일하는 만큼, 유아기에 맞는 유아특수교육 부분에 대해 더 공부해보고 싶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반에는 ADHD적 성향을 가진 유아가 있습니다. 이 유아는 활동성이 매우 크고 조절력이 부족하여 다른 유아들과 함께 생활하거나 교육 활동에 참여할 때 어려움을 가집니다. 학부모님도 심각성을 인지하고 병원 약물치료 및 상담을 병행 중이나 유아의 과격한 행동 특성 때문에 같은 학급 유아들이 이 유아를 배척하는 상황이 종종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유아가 과제수행의 어려움을 가지거나 또래와의 관계 맺음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최선을 다해서 지도를 하지만 조금 더 이 유아에게 적합한 방법은 없는지 고민이 될 때가 많습니다. 현재 제가 이끌고 있는 학급에는 특수교육대상자가 있지 않기 때문에 특수교사의 도움을 계속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렇게 학급에 특수교육의 지원이 필요한 유아가 있거나 장애 유아와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등의 상황은 제가 교사 생활을 하는 동안 지속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학부 때부터 가지고 있던 목표를 되살려 특수교육을 다시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저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학은 특수교육에 명성이 높은 이화여자대학교라는 생각이 들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학부에서는 듣지 못하였으나 이화여자교육대학원 교과로 개설되어있는 ‘특수아 조기교육의 실제’를 듣고 특수교육대상자로 진단받기 전의 유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특수아 통합교육의 실제’를 통해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탐구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대학원 과정을 통해 다양한 연구, 다양한 현장 사례 등을 접하며 전문성을 신장하고 현장에서의 문제 상황 등을 한층 더 전문가다운 면모로 해결해나가고 싶습니다. 2. 전공분야에 대한 연구계획(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와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십시오.)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제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는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ADHD적 성향을 가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및 지원 방법입니다. ADHD 성향을 가진 유아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ADHD 유아의 돌발행동에 대한 대처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갖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저희 반에 있는 ADHD적 성향을 가진 유아는 충동성이 높고 자기 조절력이 부족한 편입니다. 자신의 욕구 충족에 대한 주장이 강하고 원하는 것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과격한 언어를 자주 사용하고 타인의 감정을 읽는 능력이 부족하여 또래 친구들에게 수용되지 못하고 거부당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유아의 감정을 읽어주면서도 교실 안에서의 규칙과 해결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학부모님과 수시로 연락하여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 내에 있는 특수교사와 원감, 원장님께도 조언을 구하여 교육을 하지만 매번 조언을 구할 수는 없기에, 제가 ADHD 유아의 특성과 지도 방법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면 좋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ADHD적 성향을 가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및 지원 방법에 대해 연구주제를 잡고 알아보고 싶습니다. 그 계획으로 먼저 유치원의 통합학급 교사들이 ADHD 유아에 대해 갖는 인식과 어려움을 조사하고, ADHD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대처 방법에 따른 효과성을 비교하고,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싶습니다. 두 번째는 협동 학습을 통한 또래 교수가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입니다. 통합교육은 장애 유아 뿐만 아니라 비장애 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단순한 물리적 통합환경이 아닌 교사의 적극적인 교육과 지원 안에서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저는 협동 학습을 통해 장애아-비장애아 간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의 또래 교수를 통해 서로에게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싶습니다. 또래 교수가 미치는 영향 안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 및 활동 결과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능력 또는 장애 유아에 대한 수용정도에 대한 변화 등 다양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양한 영향 중 2~3개 정도의 변인을 선택하여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대상은 유치원의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것이며, 통합학급 유아들 중 또래 교수가 가능한 유아를 선정하여 장애 유아와 짝을 짓고, 협동 학습 과제를 줄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가 각 요인에 대해 어떤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싶습니다. 3. 졸업 후 희망 저는 유아특수 부분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여 장애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지원과 교육을 하고, 통합학급 유아들과 장애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교육하는 통합교육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토대로 통합학급 및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유아들을 교육하는데 현장의 교사들에게 보탬이 되도록 수업 기술을 공유하거나 조언자로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4. 기타 이화여자 교육대학원에서 제가 유아특수교육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뒷면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총 2~3page 이내)
-
학교|
2022.04.04|
2페이지| 4,000원|
조회(5,262)
-
미리보기
-
-
[합격 연구계획서]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연구계획서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구계획서(Study Plan) 수험번호 지 원 과 정 석사학위 과정( O ) 연구생 과정( ) 성 명 : 이** 지원전공 : 유아교육 1. 진학의 동기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이론을 더 배우고 싶은 마음에 진학을 결심했습니다. 저는 학부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면서 전공, 교직과목 공부 및 동아리 활동으로 다양한 유아교육 지식과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를 토대로 졸업 후, 유치원 교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연차가 쌓일수록 학부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유아들마다의 발달에 맞는 상호작용, 바뀌는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다양한 심리변화 등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유치원 안에서 다른 교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교수님의 지도 및 다양한 동료교사와의 토론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습득하고 싶습니다. 교직생활 3년차인 지금, 생존단계의 교사가 아닌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사로 성장하고자 교육대학원을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대학원에서의 배움을 통해 유아교육에 필요한 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해 심화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싶습니다. 후배 교사가 생기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저의 전문지식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이 현직교사의 재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심화된 전문지식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본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2. 전공분야에 대한 연구계획(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와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십시오.) 원장의 리더쉽에 따른 교사들의 심리적 만족과 교사들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해 연구해 보고 싶습니다. 원장은 유아교육기관의 최고 리더입니다. 리더의 역할에 따라 원의 분위기나 교사의 업무 수행 등에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진정한 리더쉽이란 리더가 자기 자신을 잘 이해하고, 교사들과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대화를 통해 같이 발전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원장의 리더쉽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교사들의 만족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한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장이 생각하는 리더쉽과 교사들이 생각 하는 리더쉽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둘째, 원장의 리더쉽의 유형에 따라 교사와 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지속개발 가능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구체화 하겠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현직 유치원 교사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현재 유치원에서 교사들이 생각하는 리더쉽에 대해 알아보고, 원장의 리더쉽에 대한 견해과 그로 인해 자신의 만족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기관에서의 유치원 교사를 표본집단으로 정하고, 현재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의 재직기간, 이직경험, 교육경력 등을 일반적인 배경을 조사하겠습니다. 다음으로 교사와 원장이 원장의 리더쉽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계속적인 대화와 연구를 통해서 더 나은 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교사가 행복할 때, 유아와 학부모까지 모두 행복해 질 수 있습니다. 원장의 변혁적 리더쉽을 통해서 교사의 견해를 알아보고 만족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 조사를 토대로 원장과 교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리더쉽 연수 프로그램을 만듬으로써, 현장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구계획서(Study Plan) 수험번호 지 원 과 정 석사학위 과정( O ) 연구생 과정( ) 성 명 : 이** 지원전공 : 유아교육 3. 졸업 후 희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배움의 기회를 얻음으로써 보다 넓은 견문을 익히며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교사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만들 것입니다. 유아들이 처음 만나는 사회적 집단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이고 그 속에서 만나는 첫 번째 선생님이 바로 유아교사입니다. 유아들은 교사의 행동이나 말을 모방하여 빠르게 습득하므로 행동 하나하나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유아교육에 임하고 싶습니다. 현재 3년의 경험을 갖춘 교사로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유아교육 지식을 익히겠습니다. 대학원에서 배운 이론을 바로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교사와 유아가 모두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는 반을 만들고 싶습니다. 졸업 후는 대학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유치원 현장에서도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통하여 유아교육의 전문지식을 축적해 가는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를 것입니다. 교수님의 지도와 다양한 교사들과의 토론으로 더욱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여 발전시키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연구하며 유아들의 행복에 다가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도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경력을 쌓은 후 제 교육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원장의 교육신념은 교사가 유아를 가르치는 지표가 되고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제 교육철학은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발달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방적인 발문들을 통해서 유아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또한 구성주의에 기초하여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구성하도록 교사는 같이 탐구자가 되어주고 유아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여 유아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서 발달 있도록 하는 역할을 충분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립유치원 같은 경우는, 학부모들의 학습적인 기대와 각종 행사 등 으로 인해 교육철학이 뒷전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대학원에서 저만의 확고한 교육 철학을 세우고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 중심 정통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한 반을 운영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한 교육기관을 운영하며 대학민국 유아교육에 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4. 기 타 2학년을 마치고 1년 휴학을 하면서 호주에서 TESOL 자격증을 땄습니다. 호주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봉사하면서 여러 국가에서 온 유아들을 만나며 다양한 문화의 경험과 호주의 유아교육에 대해서도 직접 보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때부터 다른 나라의 유아교육에 관심이 생겨 4학년을 마치고 학교와 연계되어 있는 미국 피츠버그의 CMU Kindergarten에 1달동안 실습을 가게 되었습니다. 1달 이라는 짧은 시간이였지만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와 건축물, 의상 등을 수업으로 준비해 갔습니다.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미국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서로 교류하면서 값진 시간을 보냈습니다. 제가 준비한 수업을 통해서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더 알아가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깊은 보람을 느꼈고 가르치는 직업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 유치원의 교사들과의 토론을 통해서 우리나라 교육과 미국 교육에 대해 비교해보고 각 나라의 교수방법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서울 **에 있는 유치원에 취업하여 3년 동안 만5세 담임을 맡아 이끌어 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연령주임을 맡아 제가 맡은 연령의 교사와 유아들을 책임지고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행사 담당으로써 유치원의 각종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하며 평가를 통해서 유아들과 가정이 모두 만족하고 행복해 하는 시간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한다면 경력교사로서의 진지하고 적극적인 배움의 자세로 학업에 임할 것입니다.
-
학교|
2022.03.31|
2페이지| 5,000원|
조회(5,607)
-
미리보기
-
-
이대 유아교육 학업계획서(경희대, 한양대)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구계획서(Study Plan) 수험번호 지 원 과 정 석사학위 과정( O ) 연구생 과정( ) 성 명 : 지원전공 : 유아교육 1. 진학의 동기 저는 생태학적 환경, 특히 교사가 영유아의 사회성·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 연구를 하고 싶어 교육대학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4년 동안 학부 생활을 하면서 영유아들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유아들은 환경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영향을 받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환경으로는 교사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실습을 나갔던 원에서 남매인 영유아가 있었는데 만 5세와 만 2세의 아동이었습니다. 만 5세의 아이의 반 선생님은 조금 차분하신 분이셨으며, 만 2세 반의 선생님은 활발한 성격을 가지신 분이셨습니다. 그래서인지 두 아이 모두 처음에는 낯을 가리는 듯 했지만 만 2세의 아이는 금방 저와 잘 소통하고 놀이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만 5세의 아이는 실습이 끝나갈 때에도 아침에 인사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고 저는 학업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하기 위해서 대학원 진학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실습과 봉사를 하면서 제가 배웠던 이론이 현장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교사와 원장, 학부모가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영유아와 생활할 때에 교사가 신경 써야 하는 일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점 등 여러 상황들을 보면서 현장과 이론의 간극을 좁히는 방법이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현장과 이론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두 분야 모두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 교사의 업무도 할 수 있고 연구도 할 수 있는 교육대학원으로 진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대학원 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진학을 목표하게 된 이유는 교육 목표가 저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아와 교사의 관계가 좋지 못한 경우를 종종 보았습니다. 보통은 교사가 영유아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번에 새로 누리과정이 바뀌면서 강조되고 있는 영유아 중심을 왜곡해서 바라보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현장의 재교육과 개혁이 필요하다고 느껴졌고 저 또한 현장에 가기 전에 더욱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껴졌습니다. 이처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교육과 교사의 문제점을 찾는 교육목표가 제가 배우고 싶은 교육 가치관과 부합하다고 생각되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유아들에 대한 전문지식을 쌓고 유아들의 환경과 놀이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싶습니다. 또한 제가 배운 것을 바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2. 전공분야에 대한 연구계획(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와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십시오.) 저는 ‘교사의 놀이 개입 정도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싶습니다. 유아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서 문제행동이 발생하게 되면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교사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왜곡해서 바라볼 수도 있고 문제행동으로 인해 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제가 실습을 진행하였을 때 있었던 만 5세 유아 중에 보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남아가 있었는데 그 유아는 자신의 의사 표현을 폭력적으로 표현하거나 퇴행적인 언어표현들을 자주 사용하였습니다. 실습 중 하루는 유아가 안전상의 문제로 교실에 저와 단둘이 있게 된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유아가 기분이 좋지 않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한 적이 있었습니다. 유아와 대화로는 소통이 불가능해져 가지고 있는 수첩에 간단한 OX 판을 그려 유아와 놀이의 형식으로 기분을 물어보았고 대화를 거부하던 유아가 그 놀이에는 잘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소통이 어려울 때 놀이를 통한다면 원활한 소통이연합놀이가 가능한 만 3세에서 만 5세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과 교사로 설정할 것입니다. 연구 도구로는, Pianta(1991)의 ‘교사 지각용 평정 척도’를 이진숙(2001)이 보완한 도구를 사용할 것입니다. 각 문항은 총 28개로 유아와 교사 간의 친밀감 관련 질문 12개, 갈등 관련 질문 12개, 의존성 관련 질문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질문을 통해서 교사가 생각하는 유아 교사 관계 파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입장도 파악하기 위해서 1대 1 유아 면담을 사용할 것입니다. 유아들에게 설문조사법을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유아 면담을 통해서 보다 질적인 자료수집을 할 것입니다. 또한 객관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비참여 관찰법을 사용하여 교사와 유아의 놀이 상황을 기술하고 분석할 것입니다. 면담의 질문으로는 즐거움의 정도, 불편한 점은 없었는지 등을 조사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연구 변인으로는 교사의 놀이 개입 수준과 유아와 교사의 관계의 기간, 유아의 기질으로 설정할 것입니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놀이 개입 수준을 기준으로 세 상황으로 나누어 관찰할 것입니다. 1. 기존 놀이 개입 수준으로 놀이하는 경우 2. 놀이 개입 수준을 한 단계 낮춘 놀이 상황 3. 놀이 개입 수준을 한 단계 높인 상황으로 나눌 것입니다. 이는 유아와 교사가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30분 정도 기존 놀이 개입 수준에 맞춰 놀이하고 교사에게는 설문조사법을 유아와는 면담을 진행할 것입니다. 이후에는 기존의 놀이 개입 수준과 다르게 놀이를 진행 후 앞선 설문조사와 면담을 진행할 것 입니다. 놀이 개입 수준은 전가일(2013)을 참고하여 1. 관찰하기 2. 반응하기 3. 놀이친구 4. 놀이지도로 나누어 진행할 것입니다. 이러한 교사의 놀이 개입 수준의 변화에 유아가 느끼는 감정을 위주로 조사할 것입니다. 이 연구를 통해 유아와의 관계 형성에 가장 적절한 놀이 개입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면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만들고 싶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유아교육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공부하며 연구하고 싶습니다. 3. 졸업 후 희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의 배움을 토대로 항상 배워나갈 수 있는 교사가 되겠습니다. 자만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성장해나가는 교사이고 싶습니다. 지금의 저의 모습에 안주하는 것이 아닌 유아교육 전문 서적을 읽고, 학부모와 소통하고 아이들과 소통하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갈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생각을 저 혼자만 갖는 것이 아닌 주변 동료 교사들과 나누며 함께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를 만들 것입니다. 함께 배워가며 스스로 보지 못했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습니다. 이후에는 주변의 초임 교사들을 이끌 수 있는 선임 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저는 새롭게 도전하고 시도해보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기는 하지만 도전하고 배우는 것이 한편으로는 어렵고 두렵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부모님, 선배님, 주변 친구들이 저를 이끌어 주고 도와주었습니다. 제가 받은 이러한 배려들을 저도 다른 이들에게 실천할 수 있는 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제가 도움을 받은 만큼 저 또한 제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될 것 입니다. 나아가 영유아 중심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습니다.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고려하며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영유아들이 성장해갈 수 있는 현장을 만들고 싶습니다. 실습을 하거나 주변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제가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현장과 이론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싶다고 느끼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배워 나가며 연구자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싶습니다. 4. 기타 학부에서 2년 동안 학과 학회인 ‘인사동’에서 활동하며 회장까지 맡은 경험이 있습니다. ‘인사동’은 인형극을 하는 놀이치료 학회로 이를 통해 많은 아동 문학을 접하고 학회원들과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가며 영유아의 발달에니다. 제가 좋다고 생각한 것도 다른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에는 좋지 못할 수도 있기에 학회를 운영하면서 운영진과도 학회원들과도 끊임없이 소통하며 조율하는 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해 책임감 있는 자리를 맡으며 제가 한 결정을 책임지고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해내는 끈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학회를 운영하면서 학업을 병행하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 ‘인사동’은 그해 마지막에 공연을 해야 하는 학회였기에 학기 초부터 준비 해가는 과정이 순탄치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학회 일을 하느라 학업을 놓치는 일도 있었습니다. 혼자 많은 일을 해결하려고 하니 어려움이 찾아오기도 하였습니다. 포기하고 싶을 때에 주변에 좋은 운영진과 학회원, 이끌어주시는 교수님의 도움으로 그 해의 연극을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어렵다고 느낀 것을 끝까지 해내는 경험은 저에게 자기효능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그때부터 저는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자신을 믿으며 저의 선택에 책임감 있는 태도로 모든 것에 임할 수 있었습니다. 2019년 12월경 시작된 코로나19라는 새로운 전염병으로 인해 2020년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습니다. 이는 교육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맞춰 학부에서 ‘코로나 시대 보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라는 주제로 학술제가 열리게 되어 같은 학과 동기와 같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보건복지부나 여성가족부 같은 국가 기관의 통계와 토론회 자료들을 취합하며 자료를 수집하기도 하였으며, 현장의 소리를 듣기 위해 현직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51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렇게 자료를 수집한 결과 코로나19로 사회적 약자인 아동은 폭력에 쉽게 노출되고 있으며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을 분석한 뒤 “놀이 키드를 만들어 배포하게 된다면 문제를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가정을 세웠습니다. 나라에서 놀이 키트를 만들어 배포하게 된다면 아동과 놀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
학교|
2021.11.22|
3페이지| 5,000원|
조회(5,810)
-
미리보기
-
-
연세대학교 유아교육 학업계획서(합격)
-
학 업 계 획 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험 번호 지 원 자 과정 : 석사 ? 연구 전공 : 유아교육 성명 : (인) ㅁ ? 아래 항목을 참조하여 자유롭게 기술하십시오(분량?형식 등 제한없음) 1. 자기소개 저는 어렸을 때부터 호기심이 많은 아이였습니다. 항상 엉뚱한 질문해 주변인들을 곤란하게 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머니는 언제나 친절히 답해 주셨고 그런 어머니의 배려로 저는 궁금하면 스스로 탐구해보는 성격을 기를 수 있었습니다. 이런 성격은 학부 생활에 적응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습니다. 신입생 오티 때 학과에 있는 ‘인사동’이라는 학회에 대해 알게 되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인사동’은 인형극을 통한 놀이치료 학회로 신입생 때 저는 심리치료는 상담만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놀이치료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어 궁금증이 생겨 이 학회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아동 문학을 접하고 학회원들과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가며 영유아의 발달에 맞는 이야기를 만드는 경험을 해보며 저희들이 만든 이야기를 가지고 연극을 진행해보기도 하였습니다. 영유아들과 꼭 직접적인 대화를 통하지 않고 연극이라는 놀이 형태로 소통할 수 있음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제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영유아 중심의 연구자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저는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해 회장까지도 맡게 되었습니다. 학회를 운영하면서 학회원들과 의견을 조율해 나가며 남의 말에 경청할 수 있는 리더가 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좋다고 생각한 것도 다른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에는 좋지 못할 수도 있기에 학회를 운영하면서 운영진과도 학회원들과도 끊임없이 소통하며 조율하는 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해 책임감 있는 자리를 맡으며 제가 한 결정을 책임지고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해내는 끈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학회를 운영하면서 학업을 병행하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 ‘인사동’은 그해 마지막에 공연을 해야 하는 학회였기에 학기 초부터 준비 해가는 과느낀 것을 끝까지 해내는 경험은 저에게 자기효능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그때부터 저는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자신을 믿으며 저의 선택에 책임감 있는 태도로 모든 것에 임할 수 있었습니다. 저의 이런 호기심이 생기면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성향이 유아교육 현장으로부터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개혁해 나가는 유아교육의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영유아 중심의 교육자로 성장해나가고 싶습니다. , 2. 진학동기 저는 생태학적 환경, 특히 교사가 영유아의 사회성·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어 교육대학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4년 동안 학부 생활을 하면서 영유아들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유아들은 환경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영향을 받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환경으로는 교사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실습을 나갔던 원에서 남매인 영유아가 있었는데 만 5세와 만 2세의 아동이었습니다. 만 5세의 아이의 반 선생님은 조금 차분하신 분이셨으며, 만 2세 반의 선생님은 활발한 성격을 가지신 분이셨습니다. 그래서인지 두 아이 모두 처음에는 낯을 가리는 듯 했지만 만 2세의 아이는 금방 저와 잘 소통하고 놀이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만 5세의 아이는 실습이 끝나갈 때에도 아침에 인사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고 저는 학업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하기 위해서 대학원 진학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실습과 봉사를 하면서 제가 배웠던 이론이 현장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교사와 원장, 학부모가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영유아와 생활할 때에 교사가 신경 써야 하는 일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점 등 여러 상황들을 보면서 현장과 이론의 간극을 좁히는 방법이 게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유아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길러 유아교육과정, 수업, 유아교육기관 조직, 교사교육을 개혁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영유아들과 교사와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제가 실습과 봉사로 현장에 나갔을 때 문제행동을 보이는 영유아와 교사의 관계가 좋지 못한 경우를 종종 보았습니다. 보통은 교사가 영유아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번에 새로 누리과정이 바뀌면서 강조되고 있는 영유아 중심을 왜곡해서 바라보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현장의 재교육과 개혁이 필요하다고 느껴졌고 저 또한 현장에 가기 전에 더욱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껴졌습니다. 이처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교육과 교사의 문제점을 찾는 교육목표가 제가 배우고 싶은 교육 가치관과 부합하다고 생각되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유아들에 대한 전문지식을 쌓고 유아들의 환경과 놀이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싶습니다. 또한 제가 배운 것을 바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3. 학습목표 및 계획 저는 ‘교사의 놀이 개입 정도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싶습니다. 유아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서 문제행동이 발생하게 되면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교사가 유아의 문제행동을 왜곡해서 바라볼 수도 있고 문제행동으로 인해 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제가 실습을 진행하였을 때 있었던 만 5세 유아 중에 보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남아가 있었는데 그 유아는 자신의 의사 표현을 폭력적으로 표현하거나 퇴행적인 언어표현들을 자주 사용하였습니다. 실습 중 하루는 유아가 안전상의 문제로 교실에 저와 단둘이 있게 된 일이 있었습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소통이 어려울 때 놀이를 통한다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렇다면 교사가 어떠한 형태의 놀이 참여가 있을 때 가장 원활한 소통이 가능할지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교사의 놀이 개입 정도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교사의 관계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주제로 연구를 하여 놀이 개입 정도에 따라 유아와 교사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연구대상 및 연구진행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대상은 Paeten(1932)의 사회적 놀이 중 연합놀이가 가능한 만 3세에서 만 5세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과 교사로 설정할 것입니다. 연구 도구로는, Pianta(1991)의 ‘교사 지각용 평정 척도’를 이진숙(2001)이 보완한 도구를 사용할 것입니다. 각 문항은 총 28개로 유아와 교사 간의 친밀감 관련 질문 12개, 갈등 관련 질문 12개, 의존성 관련 질문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질문을 통해서 교사가 생각하는 유아 교사 관계 파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사 뿐만 아니라 유아의 입장도 파악하기 위해서 1대 1 유아 면담을 사용할 것입니다. 유아들에게 설문조사법을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유아 면담을 통해서 보다 질적인 자료수집을 할 것입니다. 또한 객관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비참여 관찰법을 사용하여 교사와 유아의 놀이 상황을 기술하고 분석할 것입니다. 면담의 질문으로는 즐거움의 정도, 불편한 점은 없었는지 등을 조사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연구 변인으로는 교사의 놀이 개입 수준과 유아와 교사의 관계의 기간, 유아의 기질으로 설정할 것입니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놀이 개입 수준을 기준으로 세 상황으로 나누어 관찰할 것입니다. 1. 기존 놀이 개입 수준으로 놀이하는 경우 2. 놀이 개입 수준을 한 단계 낮춘 놀이 상황 3. 놀이 개입 수준을 한 단계 높인 상황으로 나눌 것입니다. 이는 유아와 교사가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30분 정도 기존 놀이 개입 수준에 맞춰 다. 이러한 교사의 놀이 개입 수준의 변화에 유아가 느끼는 감정을 위주로 조사할 것입니다. 이 연구를 통해 유아와의 관계 형성에 가장 적절한 놀이 개입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면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의 적절한 놀이 개입 수준을 제시할 수 있어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에게 맞는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이로 인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고 교사의 상호작용 능력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저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영유아들이 온전히 받아드릴 수 있는 현장을 만들고 싶습니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유아교육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공부하며 연구하고 싶습니다. 4. 기타 특기사항(지원분야, 경력, 연구활동, 수상경력 등) 2019년 12월경 시작된 코로나19라는 새로운 전염병으로 인해 2020년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습니다. 이는 교육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맞춰 학부에서 ‘코로나 시대 보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라는 주제로 학술제가 열리게 되어 같은 학과 동기와 같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보건복지부나 여성가족부 같은 국가 기관의 통계와 토론회 자료들을 취합하며 자료를 수집하기도 하였으며, 현장의 소리를 듣기 위해 현직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51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렇게 자료를 수집한 결과 코로나19로 사회적 약자인 아동은 폭력에 쉽게 노출되고 있으며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을 분석한 뒤 “놀이 키드를 만들어 배포하게 된다면 문제를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가정을 세웠습니다. 나라에서 놀이 키트를 만들어 배포하게 된다면 아동과 놀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부모나, 조부모 등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고 가정폭력 의심 가정에는 지역 사회복니다.
-
학교|
2021.11.20|
4페이지| 7,000원|
조회(6,000)
-
미리보기
-
-
경희대학교 (유아교육 전공 합격) 학업계획서 연구계획서
-
2021-전기 경희대학교 유아교육전공 합격 학업계획서 연구계획서 1. 진학동기(최대 500자 이내) 입력글자수 :499/줄바꿈, 띄어쓰기 포함 500자 이내 학교폭력 담당교사로 근무하며 관련 학생들과 면담할 때면 늘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어릴 적부터 겪어온 가정 내의 어려움이 지금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집안 내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아이의 교육에는 관심을 둘 여력이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부분 ‘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말에 동의하지만, ‘유등 공교육’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매우 소수입니다. 유치원 수업의 질 제고나 상담의 깊이 심화보다는 늘 맞벌이 가정을 위한 유치원의 수요증대에 관한 기사가 넘쳐납니다. 물론 유치원의 양적인 성장도 필요하지만, 아동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고, 감정을 어루만지는 일도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릴 적 경험한 상처나 아픔을 ‘건강한 방식으로 풀어가는 능력을 갖춘 어린이로, 청소년으로, 성인으로’ 자라나는 첫걸음을 떼는 곳이 바로 유치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어리지만 소중한 인격을 마주하는 일에 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유아교육에 대해 배우고자 합니다. * 2. 학습목표 및 계획(최대 700자 이내) 입력글자수 :700/줄바꿈, 띄어쓰기 포함 700자 이내 학부 시절 ‘아동학’을 전공하였습니다. 아동학이 유아교육학과 유사한 점이 많다 하더라도 심도있게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 유치원 교사로서의 지도 스킬 및 교수법을 충분하게 익히지 못했을 것입니다. 아동학에서 배운 아동을 둘러싼 환경의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교육과정, 수업모형, 평가방법 등 이론적 원리와 실제적 능력을 키우겠습니다. 유치원 행정업무와 교직 경험을 통해 학교 내 공통업무 및 행정적 프로세스를 잘 아는 데 반해, 유치원 교사에게 요구되는 업무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을 것으로 사려됩니다. 가령 놀이지도, 유아복지, 유아관찰 등과 같이 경험해보지 못한 영역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공부할 것입니다. 늘 모르는 부분에 집중하여 교사로서의 자질, 학문연구 등의 방면에서 모자람을 채워가며 성장하겠습니다. 학습자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교수능력을 갖추는 것은 수업의 질을 높이는 지름길이라 여기기 때문입니다. 유아 공교육의 질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 정부 정책 및 유아 공교육 현황에 관한 충분한 리서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유아 공교육의 질적 성장을 이끄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어떠한 가정환경에 놓인 아동일지라도 공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수준 높은 유아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 * 3. 기타 특기사항(지원분야, 경력, 연구활동, 수상경력 등, 최대 500자 이내) 입력글자수 :499/줄바꿈, 띄어쓰기 포함 500자 이내 한 학교에서 단순히 언어만 가르치려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문화를 익히도록 힘쓴 결과, 학교는 ‘제2외국어 교육 으뜸학교’로 선정되고, 저는 유공교원으로 교육감 표창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뉴저지주 50여 개 학교에서 한식이 급식으로 나온다는 기사를 읽고, 한 나라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좋은 아이디어라 생각했습니다. 이를 벤치마킹하여 학생회와 급식실의 협조를 구해 ‘세계음식 체험의 날’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유치원에서도 다문화사회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태도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문화 유아교육특론 수업을 통해, 보다 실천적인 다문화이해 수업을 구성하고 싶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유치원에서의 식사, 간식, 만들기, 동요 부르기, 율동하기 등의 수업을 통해 시나브로 다문화를 체험한 유아는 그 이해도가 한층 더 깊을 수밖에 없습니다. 각 문화에 속한 다양한 국적의 사람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를 알려줄 수 있는 전문 유아교육인으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 4. 졸업 후 희망(최대 500자 이내) 입력글자수 :500/줄바꿈, 띄어쓰기 포함 500자 이내 졸업 후, 유아 임용에 도전하여 공립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싶습니다. 유아기는 부모와의 애착 및 도덕성과 사회성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그런데도 발달과정을 앞서는 조기교육으로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두는 사설 유치원이 많이 있습니다. 유아의 발달수준, 학습능력, 흥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공립 유치원에서 저의 교육철학을 담은 수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교육의 첫발을 내딛는 유치원에서 공교육의 기초를 단단히 하는 역할에 보탬이 되고 싶습니다. 임용 후에는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겸비한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부모 다음으로 유아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은 사람이 유치원 교사인 만큼, 바람직한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말과 행동에 있어 신중을 기울여 참된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가 되겠습니다. 기회가 되면 박사과정에 도전해 우리나라 유아 공교육의 질적 성장에 관해 연구하길 희망합니다. 5. 기타(최대 500자 이내) 입력글자수 :500/줄바꿈, 띄어쓰기 포함 500자 이내 KH대 교육대학원은 ‘문화세계의 창조’라는 이념으로 미래 사회교육을 여는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들어선 지금 유치원에서 인간다움, 인간으로서의 감성, 정서 등을 가르치는 일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커리큘럼 내 유아 컴퓨터교육이 반영된 점에서 급변하는 사회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유아교육에 대해 고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귀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실재하는 문제와 현상을 탐구하며 연구자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을 받고자 합니다. 수험생의 교원 임용시험 준비를 지원해주는 ‘교원임용고사반’을 운영하는 부분도 큰 메리트로 다가왔습니다. 교재비, 강의료 등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학습장소가 생기면, 그만큼 빨리 교육 전선에 뛰어들어 경험을 쌓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아교육에 관한 학문적 기초를 다지면서 체계적인 교원임용 준비를 통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학교|
2021.09.14|
3페이지| 3,000원|
조회(6,063)
-
미리보기
-
-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와 민간시설의 서비스 체계의 운영 조사
-
1)전달체계의 내용 작성 2)내용 중 공적전달체계와 사적전달체계로 구분하여 작성 3)조사한 지역의 정확한 주소 4)조사한 시설의 운영 목적 5)조사한 시설의 서비스 유형 6)조사한 시설의 서비스를 위한 외부자원의 확보 7)시설을 조사한 후 작성자의 의견 1)전달체계의 내용 작성 서문교회가 지역사회 내의 소외된 아동들 곁에 있어주자는 이념으로 설립 하였으며 교회가 설립의 주체가 되고 후원은 하지만 교회색깔을 빼고 지역사회 내 보호가 필요한 모든 아동들이 와서 보호받고, 교육받고, 치유 받고, 새로운 희망과 용기로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아동을 만들어 내자는 이념과 가치 비전을 가지고 있다. 2)내용 중 공적전달체계와 사적전달체계로 구분하여 작성 보람지역아동센터는 입소자수입은 없으며 공적전달체계는 공동모금회에서 사업수입을 받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수입, 보조급 수입, 급식 보조금을 받고 있으며, 지역연계 사업으로 지역유린단체와 협약으로 인하여 후원을 받고 있었다. 아주아파트 부녀회에서 달마다 김치 10kg담아주기나, 파리바게트 역곡점에서 빵을 후원하고 있었다. 이런 식으로 보람지역아동센터는 공적전달체계와 사적전달체계를 두루 사용하고 있었다. 3)조사한 지역의 정확한 주소 보람지역아동센터는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1동 1172 보람마을 아주상가 2층에 위치하고 있다. 4)조사한 시설의 운영 목적 가정의 경제적, 환경적 상황으로 인해 방과 후에 부모로부터 방치되어 교육 및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지역 내 아동들에게 통합적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역 내의 아동에게 무료급식과 간식지원을 통해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을 시키고자 합니다. 그리고 경제적, 교육적으로 인한 소외감과 열등감을 건강한 정서와 가치관으로 교육 시키려고 한다. 또한 아동 욕구에 따른 사회적 기회조성과 지역사회 지원연계를 통해 아동들에게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 사회가 이혼의 증가로 가정이 붕괴 되고 가정 경제가 붕괴되어 저소득 계층이 늘어나고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방과 후 홀로 있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과 후 홀로 있는 아동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서 컴퓨터 게임이나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보내게 됩니다. 또한 혼자 있음으로 정서적으로 불안해하고 가정 밖으로 방황하는 아이들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 아동들이 교육적 문화적 심리 정서적으로 소외되지 않고 가정이나 학교생활에서 자신감, 자존감을 가지고 생활하며 올바른 이성관과 사회관을 가지고 꿈과 희망을 버리지 않고 성장함으로 건강하고 창의적이며 이해심이 많은 사회 구성원으로 자라나게 보호 한다. 5)조사한 시설의 서비스 유형 보람지역아동센터의 주요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아동 보호 프로그램으로 급식과 안전에 관한 서비스가 있다. 급식은 체계적인 식재료 공급으로 항상 신선한 재료 공급하며, 안전은 일상생활안전 및 건강 위생 안전에서 예방을 중점으로 하는 교육 활동안전에 이상 발생 시 센터에서 빠른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고 예방 하게한다. 서비스의 예로 5대 안전 의무 교육이 있는데, 이는 아동 복지법 제9조,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4조에 의거하여 지역아동센터는 이용아동에 대하여 5대 안전교육을 의무로 시행해야 한다. 교통안전 교육, 실종. 유괴의 예방 및 방지 교육, 약물 오남용 예방 교육, 재난 대비 안전 교육, 성폭력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생활지원 미래 비전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동은 결연후원으로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결연활동을 확장해 나간다. 학습지원프로그램으로 학교생활 지원을 하고 있는데, 양호하고 성실한 학교생활을 위해 알림장 점검 및 과제물 관리받아쓰기 점검, 한자쓰기 점검, 학교 부적응 해소, 학교생활적응 테스트를 담당하고 있다. 학습부진 지원, 특기 적성교육, 도서능력 향상에 관한 서비스와 함께 학습지원 미래 비전으로 멘토링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또한 심리 정서와 관련된 서비스로 아동상담, 부모 담과 함께 심리 정서적 서비스의 미래 비전을 위해 사례관리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 6)조사한 시설의 서비스를 위한 외부자원의 확보 보람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아동을 지역전문기관과 연계하여 통합관리하고, 후원자 개발,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소식지 발간 사업 등을 한다. 지역네트워크로 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아동들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지역사회에 필요한 자원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상동 네트워크(드림서포터즈)에서는 월1회 중/상동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들이 모여서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아동이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모임 구체적 프로그램을 하고 있었다. 부천시 지역아동센터연합회를 통해 연합 욕구조사 및 실태 조사를 통해 좋은 지역아동센터 만들기에 이바지하며, 공통의 관심사를 연합회의 이름으로 결의하여 공신력을 가지고자 한다. 또한 서문교회에서는 자원봉사를 지원하면서 아동결연을 시행하고 있었다. 중동 동사무소로부터는 부녀회로부터 김치를 제공받고 있다. 상동 복지관에서는 아동관련 정책개발과 관련해 아동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며 매월 간식을 후원하였으며, 파리바게트 역곡점에서도 간식과 생일잔치에 관한 후원을 해주고 있었다. 교육적인 외부자원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영역의 외부자원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해벌영어교실, 에베에셀 음악학원, 동이 무예 합기도 체육관에서 아동 대상으로 서비스에 할 일은 적용해주거나 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인력확보에서 많은 노력이 있었는데 그 결과 원미자활에서 급식 위생교사 파견, 원미 노인복지관에서 시니어인력 파견, KT 중동지국에서 자원봉사 인력 파견, 부천대에서 자원봉사와 실습 관련하여 그 인력을 제공받고 있었다. 이처럼 보람지역아동센터는 외부자원 확보에 있어서 다양한 지역 내의 체계를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7)시설을 조사한 후 작성자의 의견 보람지역아동센터는 체계적인 행정 구조를 만들어 원장님과 다른 선생님들과의 업무분장이 잘 되어 있으며, 사회복지사로의 역할과 프로그램선생님들의 역할과 연계가 잘 되어 있다. 개소를 준비했던 원장님의 행정능력이 외부에서도 행정 구조를 잘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예산은 운영목적에 따른 사업계획의 흐름이 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예산의 국가보조금, 시보조금을 제외하고는 서문교회의 후원이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서문교회가 장소제공, 후원금등 보이는 지원과 보이지 않는 지원을 아동센터에 하고 있다. 기관에 투명한 운영 방침과 원장님의 사명과 열정이 보람지역아동센터의 아이들의 얼굴에서 잘 볼 수 있다. 보람지역아동센터의 장점으로는 서문교회의 지역아동들의 돌봄의 의지에서 잘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후원금 지원, 장소제공 등 물적·인적으로 기관이 안정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빠른 성장을 한 것으로 보인다. 목표설정에 따른 체계적인 서비스와 전달체계, 그리고 센터아동의 다양한 발달 욕구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례관리 하고 있었다. 이번 과제를 계기로 보림지역아동센터를 조사하면서 사회복지현장에 관해서 이해하는 좋은 과정이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사회과학|
2022.05.22|
3페이지| 1,200원|
조회(93)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_사회복지 서비스 인터뷰(인터뷰 사례, 문제, 해결)
-
Ⅰ. 서론 1. 사회적 위험의 사례 : 노령 노령의 사전적인 뜻은 늙은 나이로 현대사회에서 사회적인 위험으로 노령을 규정한 것에 대해 생각해보면 늙은 나이에 도달하며 나타나는 여러 현상이 개인으로 하여금 위험을 주면서 이러한 위험이 사회적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사회적 위험에 대해서 국가는 헌법에 의해서 각 사회보장법제를 통해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위험에 대한 구체적인 보호방법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위험을 발생하는 현상 또는 요인이 어떠한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대상이나 그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 개념 정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노령으로 인한 위험에 대해서 보호를 받기위해서는 노화가 어떤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노화의 진행이 어느 수준으로 볼 수 있는지 알고 노화의 진행에 따라 대상을 보호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노령에 따른 노화에 대해서 알아보면 노화는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을 가지고 있어 태어나는 순간부터 피할 수 없는 필연적 과정이다. 모든 생물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흐름에 따라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 변화는 성장과 발달을 거쳐서 늙어가는 것은 당연하게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점진적 변화를 거치는 노화는 환경에 변화에 따라 적절히 반응하고 조직과 기능의 결함을 갖추게 된다. 노화는 외상이나 전염병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생체에 내재된 필연적인 과정으로 내재성을 지닌다. 연령에 수반되는 생리적인 기능의 저하, 예비력의 저하, 스트레스에 대한 변화, 자기회복 능력의 저하, 병에 걸리기 쉬워 죽음의 확률이 연령과 함께 대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노화는 생명체라면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노인의 경우에는 노화기 고령에 이르러 노화가 고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반응이 눈으로 보이고, 몸으로더 느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노화는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고, 노화로 인한 노동력의 상실은 소득의 상실이나 감소문제로 직결되므로 질병이라는 위험도 파생시킬 수 있다. 노화로 인한 노인의 특성으로는 신체적 기능이 감소하고 변화하는 일이 나타나는 것인데,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나 기관 등의 활동능력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외모, 신체구조, 신체기능 등 여러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감각능력이나 지각능력도 감퇴되기 마련이다.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인 감각과 함께 통각이나 지각능력 등의 다양한 능력 등이 감퇴하기 시작한다. 노령으로 인한 위험한 양상은 실로 다양한데, 노령에 따른 신체적인 기능의 저하되면서 이로 인한 질병의 노출과 함께 보호문제를 일으킨다. 노동력 상실, 가족기능 변화, 소득상실 문제, 부양 문제, 여가활동 문제, 성생활 문제, 사별 및 이혼에 따른 재혼 문제 등 다양한 형태 문제가 발생하며,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Ⅱ. 본론 1. 인터뷰에서 나타난 내용 1)문제의 책임 여부 : 개인vs사회 노인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이 높았다. 이는 생계부양의 의미에서 남성이 가계를 부양해야 한다는 가부장적인 노인들의 의식으로 본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건강문제와 심리정서적인 문제가 높았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인구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전체적인 추세 속에서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길어졌으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퇴직금의 혜택으로 인하여 소득을 보장받은 일부 남성과는 다르게, 취업에 기회가 많지 않았던 여성노인의 경우는 소득의 보장을 받지 못하여 여성노인의 삶은 더욱이 어려워지고 있다. 빈곤여성의 문제는 심각하여 제도적·사회적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 소득상실 문제는 노인이 가진 가장 큰 문제다. 소득상실 문제가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개인적인 위험인지, 국가 및 기업, 지역사회가 공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사회적 위험으로 보아야 하는지 문제가 현대사회의 이슈이다. 개인이 느끼고 있는 문제가 단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또 다른 많은 사람이 느끼는 문제로서 심각하다면 사회적인 위험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노인의 소득상실 문제는 은퇴 등으로 인한 수입원의 상실 혹은 수입원의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는데, 직장에서의 은퇴와 더불어 단절되므로 노후생활을 연금, 퇴직금, 저축, 재산 수입 등에 의존해야 한다. 이같은 의존에도 불구 하고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한 비율은 소수에 그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노인의 소득상실과 관련된 빈곤문제와 질병 등을 사회보장제도로 해결해 나가고 있다고 한다. 여가활동이나 사회참여, 소외감 등의 심리사회적 문제 또한 고령에 따른 노인의 복지 필요성과 수요를 증진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보험, 공적 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등을 통해 소득 보장을 위한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지만 수준이 매우 열악하다. 미래상황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하려면 소득 보장 정책의 구축과 관련법들을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2)인터뷰 당사자가 겪는 불편함과 문제 당사자는 소득문제를 호소하고 있었으나, 실제 당사자가 처함 위험은 건강문제였다. 매슬로우가 말하는 인간의 욕구는 총 다섯 단계로 나눠진다. 그중 가장 기본적이고 큰 문제가 생리적인 욕구로 건강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신체적인 건강문제는 곧바로 소득의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 신체기능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건강의 역화는 모든 노인이 겪는 문제이다. 또한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만성질환을 가지고 살아가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규모의 변화, 1인 가구의 증가, 여성취업 증가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나면서 전통적인 부양 및 수발할 사람이 감소했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등으로 인해 노인의 건강문제는 하나의 사회적인 문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노인의 건강약화 문제는 노후생활에 직결된 문제로써 노후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노년기의 나타나는 신체적인 질환 대부분은 성인병의 연장이다. 노인이 되면서 병이 악화되는 개념이 아니며, 성년기의 신체적인 취약함이 점차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질병으로 발현되는 것을 일컫는다. 노령으로 인해서 노인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암,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간장계통질환, 골다공증, 당뇨병, 신경통 등 다양하다. 노인들이 겪고 있는 대부분의 질환들은 만성적인 것이 특징이며,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고령으로 인한 노인의 건강약화는 노인 본인과 더불어 그의 가족들로 하여금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다. 노인부양부담은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만성질환을 겪는 노인들의 대부분은 제3자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통을 겪을 수도 있다. 노령에 따른 노인의 건강약화는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심신기능이 약화되면서 퇴행성 만성질환에 발병률이 높아지고 장기간의 치료 및 요양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의료비 부담이 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하더라도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신체적인 건강약화 및 쇠퇴 등으로 인해 경제적인 활동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신체기능의 장애로 인해서 주변 도움 없이 스스로 살아가기 어려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해 간병 및 수발 등에 대한 장기적인 보호와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호와 대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다면 사회적인 문제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Ⅲ. 결론 1. 문제 해결방안 모색 소득상실 문제를 겪는 노인이라면 자녀의 부양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이러한 해결방법은 자녀들로 부담감을 줄 수 있고, 돈을 받아쓰는 입장이 되어버린 고령의 노인들은 자신감과 더불어 의기소침해질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노인의 소득상실 문제는 노인 취업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노인 취업을 위해서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기업, 지역사회의 다양한 협력이 필요하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인의 취업을 위한 관련 법률을 제고시켜야 한다. 고령자 고용업체에 대해서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하고, 이러한 정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노인의 직업과 관련해서 법과 제도는 고령자 고용촉진법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근무연장과 퇴직 후의 재고용을 촉진해야 하며, 정년이 연장되고 재고용과 임금피크제 등을 마련하여 개선해야 될 것이다. 기업에서는 노인일자리박람회, 노인취업박람회, 노인창업박람회 등을 다양하게 개최하고 노인인구를 실질적으로 취업가능 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기업은 고령노인을 일정비율 취업시키도록 하여 노인이 느끼는 부담을 경감시켜주어야 한다. 그리고 정년의 연장기간을 느리고 지원 정도를 달리해야 한다고 본다. 노인에 대한 교육은 취업활동에만 제한되지 않고 고령자들이 창업활동에 필요한 정보 및 지식을 교육하여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노인에게 창업이 보다 적합하도록 타당한 업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업과 그에 관련한 직종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 중요하다고 본다. 가장 가까운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 함께 해야 한다. 단편적으로는 지역사회 행사에 노인을 고용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노인들이 소득문제는 취업문제와 함께 건강문제 등과 상호작용한다. 노인의 취업이 촉진 가능하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노인의 재취업교육과 함께 훈련이 더불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태희 . 2005 . 「사회적 위험으로써의 노령에 대한 한국사회보장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왕정정 . 2012 . 「한국 노인소득보장정책에 관한 연구」 . 한남대학교 대학원 김태현·김양호·임선영 공저 . 2011 . 「노인복지론」 . 도서출판 구상
-
사회과학|
2022.05.19|
4페이지| 1,500원|
조회(444)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개념 국내외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 본인이 생각하는 사회복지 개념
-
이름: 과목명: 사회복지개론 과제주제: 사회복지의 개념에 대해 서술하시오. 1. 사회복지(社會福祉, social welfare)의 한자 및 영어의 뜻 社는 모일 ‘사’, 토지신 ‘사’라는 뜻으로 모이다, 제사지내다, 땅귀신, 토지신, 단체, 모임의 뜻을 담고 있다. 會은 모일 ‘회’라는 뜻으로 모이다, 모으다, 만나다, 맞다, 능숙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福은 복 ‘복’, 간직할 ‘부’라는 뜻으로 복, 제육과 술, 폭이나 포백의 너비, 복을 내리다 돕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祉는 복 ‘지’라는 뜻으로, 복, 하늘에서 내리는 행복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사회복지의 언어적인 의미는 공동체사회에서 사회의 내적인 관계를 기초로하여 구성원들 전 생애와 관련해 건강하고 안락한 삶을 추구하기 위한 사회적인 노력이라고 한다. social은 사회의, 사회적인 구조와 관련된, 사회적인, 사교사의, 사교와 관련된 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welfare는 개인 혹은 단체의 안녕, 복지나 후생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 두 단어를 합친 social welfare는 사회 복지를 말한다. 2. 국내외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 프리브랜드와 앱트는 사회복지를 국민의 복지에 기본적으로 인정된 사회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또한 사회지설 회복을 위해 제반 급부를 확보하거나 강화하기 위한 법률, 급여, 서비스체계, 프로그램이라고 정의 하였다. 바커는 사회사업사전에서 사회복지를 사회유지를 위해 기본적인 사회적·경제적·교육적·사회적욕구를 충족시키며, 전체사회와 지역사회의 집단적 복지를 유지하기 위한 국가적인 프로그램, 급여, 서비스체계라고 정의하였다. 전통사회에서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1차적인 자원은 가족과 시작으로 볼 수 있는데 가족의 보호기능이 약화되면서 시장의 생산 및 분배기능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늘어나게 되면서 사회복지가 발달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개념의 사회복지는 잔여적 모델과 제도적 모델로 개념정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학자로 웰렌스키와 르보의 잔여모델과 제도적 모델이 있다. 잔여적 개념의 사회복지란, 가족과 시장, 종교와 정치제도가 기능적으로 실패했을 경우 임시적으로 보충하는 것이며, 사회복지가 사회의 유지발전에 있어 필수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다르게 제도적 개념의 사회복지는 사회 유지에 있어 필수적으로 인식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제도화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사회복지의 개념이 있어 로만신은 이러한 사회복지의 개념은 점차 변화된다고 하였다. 로만신이 말한 사회복지 개념의 변화는 보완적 개념에서 제도적인 개념으로 변하며, 자선에서 시민권으로 변한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한 서비스가 아닌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보편적인 서비스를 지향할 것이며 최저조건이 아닌 최적조건으로 변화한다고 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개혁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보편적 개혁으로 변할 것이며, 사회복지가 개인이 자발적으로 원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성으로 밑거름이 된다고 하여UT으며, 빈민을 구재하기만 하는 사후개념의 복지가 아닌, 예방 차원의 복지사회로 변화한다고 하였다. 사회복지의 개념은 이념에 따라서 중시되는 핵심가치가 다르다. 조지와 웰딩은 사회복지에 관한 이념체계를 반집합주의이면서 소극적인 집합주의로 보았다. 또한 페이비안 주의와 마르크스주의로 소개하였는데, 각 이념에 따라서 사회적인 가치, 복지에 대한 국가의 의무, 복지국가에 대한 태도가 다르다고 한다. 반집합주의에서 보는 사회복지는 기본적으로 자유와 개인주의 그리고 불평등에 기본가치를 두고 자유는 타인으로부터 간섭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개인주의는 사회에서 개인의 자발적인 협동에 기초하여 형성된다고 하여UT으며 빈곤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아 국가의 역할을 최소수준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소극적 집합주의에서 보는 사회복지의 개념은 자유와 개인주의를 바람직하게 보지만 지난친 부평등을 수정된다고 보고 있다. 소극적 집합주의에서 말하는 사회복지는 불평등의 완화가 아니라 빈곤을 제거하는 수준이다. 페이비언 주의는 점진적인 사회주의를 뜻하는데 평등, 자유, 우애에 가치를 두고 불평등은 어긋난다고 보았다. 한편 마르크스 주의에서는 평등과 자유를 강조하고 경제적 평등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김상규라는 우리나라 학자는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소개할 때, 인강의 안녕과 행복 증진을 위해 정부와 민간단체의 프로그램, 사회적인 서비스, 사회적인 제도를 통해서 사회적 역기능에 처한자들을 예방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조직적·체계적 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천활동이라고 소개하였다. 3. 본인이 생각하는 개념 과제를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면서 일단 기초적으로 사회의 안녕한 상태를 위함이라는 정의를 내려 보았다. 사회라는 단어의 뜻 자체를 공공성, 제도성, 사회성이라는 키워드로 정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회의 반대되는 개념은 개인이라고 하자. 다시 말해 사회라는 단어의 뜻 자체를 생각해보면 모두가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사회복지는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의미에서 그 개념이 사용된다고 생각한다. 개념을 알아보면서 잔여적 복지에 대해서도 알아봤지만 이는 개인의 자발성에 의해서 선택하거나 사후의 개념이 강하지만, 사회에서 제도적으로 보장된 의미의 보편적인 복지는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사회에 밑바탕으로 되어있으며 평등성과 자유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회복지가 사회구성원 전체가 누린다고 생각한다면 그 사회구성원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서비스가 생겨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생애주기이론을 바탕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생애주기상으로 가장 처음인 저출산 및 아동관련부터 가장 마지막인 노인문제까지 이 모두를 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은 보건복지부의 주간으로 양육수당 등이 나오고 있지만, 과거에 내가 아이들을 키울 때만해도 이러한 수당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구성원에 이러한 서비스 수요에 맞춰 국가에서 이러한 제도를 시행하는 것은 저출산과 관련과 더불어 양육부담을 경감한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법이다. 다른 생애주기영역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사회의 전반적인 구조가 저출산 고령화이기 때문에 사회구성우너 전체가 누린다는 의미에서 종전에는 없던 저출산관련이 지원이 늘고 있는 듯 하다. 이처럼 사회구성원에 수요에 맞춘 다양한 서비스가 생겨야 한다고 다시 한 번 생각한다. 또한 사회라는 단어말고 복지라는 단어를 생각했을 때, 사회를 위한 뒷받침이라고 생각한다.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모두를 위한 서비스가 있고, 새로운 욕구에서도 이를 수용하는 서비스가 생겨나 사회구성원 전체가 누릴 수 있는 것이 사회복지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네이버 어학사전. 한자사전 음·한자. 영어사전 단어·숙어. HRD원격평생교육원 사회복지개론 강의자료
-
사회과학|
2022.05.17|
3페이지| 1,200원|
조회(695)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 서비스 인터뷰 -한부모가정(인터뷰내용 첨부완료)
-
Ⅰ. 서론 1. 문제 제기 : 한 부모가정1 1)한 부모가정 아동의 개념1 2)한 부모가정 아동의 현황1 Ⅱ. 본론 : 인터뷰 1. 인터뷰 소개 및 분석2 1)인터뷰 소개2 2)문제에 대한 책임 여부2 2. 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2 1)한 부모가정의 경제적인 문제점2 2)한 부모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인 문제2 3)한 부모가정의 교육적인 문제3 Ⅲ 결론 1. 문제해결 방안3 1)한 부모가정의 경제적인 개선방안3 2)한 부모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인 개선방안4 3)한 부모가정의 교육적인 개선방안4 2. 생각할 부분 : 느낀 점4 5 인터뷰 내용5 Ⅰ. 서론 1. 문제 제기 : 한 부모가정 1)한 부모가정 아동의 개념 한 부모가정은 편부모 가족, 편부모 가정, 편부모 가구 등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문제 가정이라는 낙인문제와 관련하여 결손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의미로 인식하기 위해 바뀐 개념이다. 한 부모가족지원법의 규정에 관해 한 국모가족지원법 제4조(정의)를 살펴보면 모 또는 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아동인 자녀를 양육하는 자를 말한다. 첫째,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된 자, 둘째, 정신이나 신체의 장애로 장기간 노동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셋째, 미혼자(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한다)로 첫째부터 셋째까지에 규정된 자에 준하는 자로서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자이다. 한 부모가 족이란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을 말하며, 모자가족이란 모가 세대주이면서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하며, 부자가족도 이와 같은 이론이다. 아동이란 18세 미만의 자를 말하며 취학중인 경우에는 22세 미만을 의미하는 것이며, 보호기관이란 한 부모 가족지원법에 따른 보호를 행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를 말한다. 한 부모 가족지원복지단체란 한 부모가정의 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나 단체를 말한다. 다시 말해 한 부모가정의 아동은 부모가 사망, 이혼, 미혼, 별거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높아지고 있다고 하였다. 한 부모가정의 형성 원인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혼인데, 이혼을 경험한 가정의 약 70%는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 정으로, 전 학령기부터 학령기에 이르는 시기의 자녀들이 상당한 비율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동기의 부모역할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상당수의 한 부모가정의 아동은 부모의 갈등, 이혼, 사망, 빈곤과 같은 취약한 환경 등에 처하여 심리적·사회적으로 발달문제에 노출된 가능성이 크다. Ⅱ. 본론 : 인터뷰 1. 인터뷰 소개 및 분석 1)인터뷰 소개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이번 과제물을 위해 선택한 사례는 한 부모가정이다. 한 부모가정에서 느끼고 있는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 아동문제, 교육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2)문제에 대한 책임 여부 학습자 본인은 한 부모가정의 대한 책임은 사회적인 책임보다는 개인적인 책임으로 본다. 사회적으로 점차 한 부모가정이 증가추세에 있다고 해서 사회적인 문제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는 시각에 속한다. 예컨대 이 시대의 현대인은 참을성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상대방을 이해하기 보다는 자신의 이익취득이 우선시되는 개인주의적인 성향의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혼이라는 것이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지만, 그중에 성격차이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한다. 성격은 개인에게 주어진 고유한 것이고, 서로에 대해 깊숙이 알지 못해서 생기는 감정적인 문제는 사회가 아닌 개인에게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부모가정의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라 생각한다. 2. 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1)한 부모가정의 경제적인 문제점 당사자가 처한 가장 결핍되고 불편한 것은 아무래도 다른 한 부모가정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문제이다. 한 부모가정은 수입원의 감소도 의미하므로, 생계와 자녀부양 등의 다양한 부분에서 본다면 금전적인 어려움이 가장 크기 마련이다. 2)한 부모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인 문제 당사자의 다른 문제로 심리적·사회적 지원문제를 야기되는 정서적인 문제에 대해서 제도적인 차원의 지원체계 및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 부모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심리치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자녀를 위해서 전문적인 상담기관이나 교육적인 지원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에 시설설치에 관한 지원체계 조차 많은 확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3)한 부모가정의 교육적인 문제 한 부모들에게 있어서 자녀의 양육은 경제적인 문제 다음으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으며, 한 부모들이 자녀의 양육문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특히 저소득층의 한 부모가정의 경우 한 부모가 자녀의 양육이나 교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며 이는 빈곤을 세습화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한 부모들은 교육비뿐만 아니라 교육에 대한 전반적 지식의 부족으로 자녀의 진로, 학업, 취업 문제로 고민을 하고 있으면서도 시간의 부족의 능력이 되지 못하여 자녀들과 충분한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교육비를 지원하는 것만으로 단순하게 해결되지 않는다. Ⅲ 결론 1. 문제해결 방안 1)한 부모가정의 경제적인 개선방안 한 부모가정의 경제적인 문제를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직업교육 이후에도 일정소득이 유지 가능하도록 취업을 보장하여야 한다. 한 부모가정의 대한 취업률이 낮고, 취업 알선의 경로가 취약하므로, 한 부모가정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알선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고용창출을 통한 실업 감소와 복지지출의 삭감을 위해서는 실직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교육을 받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직업교육을 받는 동안에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생계비, 훈련비, 교육비 등의 현실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 부모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생활에 어려움을 경감하기 위해 아동보호수당, 한 부모가정수당을 제공하고 이를 늘려야 한다. 이와 함께 한 부모가정을 위한 면세나 간세 제도를 도입하여 간접적인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본다. 2)한 부모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인 개선방안 한 부바른 가족에 대한 개념을 심어줄 필요성이 있다. TV프로그램에서도 한 부모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 담긴 것을 지양할 필요성이 있다. 웃음의 소재로 한 부모가정이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열린 시각을 가지고 하나의 가족형태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한 부모가정의 교육적인 개선방안 한 부모들이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제도적인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자녀양육과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경제적 지원, 그리고 정서적인 안정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에 대한 지원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비에 대한 지원 범위를 확대하면서 육성을 포함한 수업뿐 만 아니라, 급식에 대한 지원 등을 다양하게 검토해야 한다. 한 부모가정을 위한 방과 후 지도 시설의 확충으로 한 부모가정의 아동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한 부모들은 생계를 위한 취업으로 이러한 경우에 아동을 위한 지도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한 부모가정을 위한 방과 후 지도시설의 확충과 함께, 학교에서 행해지는 방과 후 수업에도 한 부모가정을 위한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2. 생각할 부분 : 느낀 점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두각 되는 만큼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한 부모가정은 우선 경제적인 지원문제에서 고려해본다면, 현재 한 부모 가정을 위한 법과 제도의 수는 부족하며, 이러한 제도로 인하여 혜택을 받은 한 부모가정은 매우 소수에 불과하다고 한다. 한 부모가정이 올바르게 사회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돕고, 경제적인 자립과 사회활동을 위해서는 법과 제도가 정비되어야 한다. 한 부모가정은 자녀의 재정적인 욕구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져야하면서도, 재정적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여건이 매우 열악하기도 하다. 한 부모들이 대체적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저속득과 더불어 열악한 공적 부조 때문이다. 경제적인 악순환은 저소득 계층의 수를 유지 혹은 증가시키게 [법률 제10582호, 2011.4.12., 일부개정] / 한부모가족지원법 / 여성가족부 인터뷰 내용 1)응답자 개인정보 나이 만XX세 성 XX 부양 아동 수 X명 거주지 XX광역시 거주 형태 XX 월평균소득 XXX만원 부양 아동 나이 XX세 부양 아동 성별 XX 2)인터뷰 주제 및 목적 인터뷰 목표 · 사회복지에서 당사자가 한 부모가정이 실제 처한 위험과 어려움에 대해 알 수 있다. 인터뷰 주제 · 대화를 통한 한 부모가족의 이해 · 한 부모가족의 어려움이란? 3)인터뷰 정보 인터뷰 장소 이디야커피 (카페) 인터뷰 날짜 2XXX년 X월 XX일 X요일 인터뷰 시간 45분 인터뷰 형식 대화_설문지 인터뷰 절차 1단계 : 간단한 인사 / 2단계 : 인터뷰 안내 3단계 : 인터뷰 진행 / 4단계 : 정리 및 마무리 4)설문지 -아래 설문지는 과제물을 위한 설문지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으며 비밀보장이 이루어짐을 알려드립니다.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Ⅰ. 일반적 사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만 42세 2.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여자 3. 귀하의 거주지는 어느 시 입니까? 인천광역시 4. 귀하의 거주형태는 무엇입니까? 전세 5. 귀하의 월평균소득은 얼마정도 입니까? 250만원정도 Ⅱ. 부양아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6. 귀하의 부양 아동 수 몇 명입니까? 1명 7. 부양아동의 나이는 몇 세 입니까? 11세 8. 부양아동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남 Ⅲ. 질문에 대한 답을 간략히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9. 한 부모가정에서 느끼는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금전적인 문제. 10. 금전적인 문제를 겪는 가장 큰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경제활동에 혼자 참여하므로. 11. 한 부모가정에서 심리·정서적인 문제가 발생된다고 보는가? 그렇다. 12. 본인이 한 부모가정에서 심리·정서적인 문제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 부모가정을 바라보는 시선이 안 좋을 때가 종종 있었다. 13. 심리·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관에로.
-
사회과학|
2022.05.16|
8페이지| 1,900원|
조회(826)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 - 사회문제 선정 후, 사회현상과 위험, 책임여부, 해결, 느낀 점을 작성
-
이 름: 과 목 명: 사회복지개론 과제주제: 사회문제 선정 후, 사회현상과 위험, 책임여부, 해결, 느낀 점을 작성. Ⅰ. 서론 과제 주제에 있던 내용 중에 치매를 선정, 지인 중에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사람에 대해서 들은 바가 있어 과제를 작성하면서 선택한 사회문제인 치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치매가 발생하게 된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치매현상의 이해 1)치매의 정의 치매는 주로 노년기에 발생하며, 심장병, 암, 뇌졸중에 이어 4대 주요사인으로 불리는 기질성 장애의 일종이다. WHO에서는 치매를 보통 뇌외 만성 혹은 진행성 질환에서 생긴 증후군으로 기억력이나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언어 및 판단력, 계산력을 포함한 대뇌피질의 고도한 기능 다발성 장애라고 그 의미를 정의 하고 있다. 2)치매의 종류 치매는 비가역적 치매, 반가역적 치매, 가역적 치매로 분류하여 알 수 있다. 비가역적 치매로는 알츠하이머가 있으며 퇴행성치매로 원 인을 알 수 없는 뇌의 전반적 위축과 함께 특유의 조직학적 소견이 나타난다. 반가역적 치매는 혈관성 치매를 말하며, 뇌졸중의 반복으로 뇌의 여러 부위가 뇌경색이 생기면서 인지적 기능의 장애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고혈압이나 당뇨, 흡연은 뇌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므로 혈관성 치매의 위험요인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가역적 치매는 알코올성 치매, 두부 외상 후 치매, 픽병 등이 대표적으로 원인을 알면 치료할 수 있다. 2. 치매로 인한 사회현상 및 위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지난 2011년에 29만 4,647명이던 치매 환자가, 2015년에는 45만 9,068명으로 증가하며 최근 5년간에 연 평균 11.6%씩 늘어났다고 보도하였다. 이처럼 치매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고령화 및 스트레스와 더불어 알코올, 혈관질환 등의 다양한 원인이 꼽히고 있다. 치매는 더 이상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며,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위험원인에 대한 책임 개인으로 하여금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그것은 개인의 문제가 맞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다수에게 문제가 발생한다면 국가차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야할 필요성이 있다. 개인이 느끼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부양부담의 이해 부양부담은 부양자가 피부양자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육체적, 심리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유발되는 부담을 말하며, 부양자들의 부정적인 경험과정을 의미한다. 부양부담과 함께 부양 스트레스, 부양 갈등, 수발부담, 긴장 등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부양부담의 개념은 초기에 부양 경험에 따라서 태도나 감정적 반응으로 부양부담을 부양자의 주관적인 감정으로 보았다. 이후에 객관적인 부담으로 보기 시작하면서 포괄적인 의미로써 부양부담을 보기도 한다. 치매는 다른 질병과는 다르게 수발과 함께 동거를 하면서 일상생활을 돕기 위한 질병중 하나이다. 치매가 심해지면서 겪는 일상생활의 기본적 어려움을 노인 스스로가 경험을 한다. 그리고 혼자서의 삶을 영위하기 힘이 들므로 부양자의 보호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치매는 호전 가능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질병 중 하나로 간병인의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부담감이 더욱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치매환자를 장기간 돌보게 되는 것은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인 부담을 경험하게 되고, 치매환자를 부양하면서 긍정적 경험 또한 느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우울함, 불안감, 긴장 등의 만성적인 심리적 부담을 겪으므로 우울해지기 십상이다. Ⅲ. 결론 1. 문제해결의 논의 먼저 치매상담센터와 같은 기관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치매운영사업은 1997년 노인복지법에 의해서 치매예방과 치매연구를 규정하고자 하였으며, 1998년에는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라서 치매관리사업의 실시나 치매상담센터의 설치에 있어서 법적으로 의무화 하였다. 그리고 2011년에는 치매관리법을 제정하면서 치매상담센터에 대한 설치 규정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치매상담센터의 이용 대상자는 관할 시·군·구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치매노인과 그 가족이며 기타 보건소장이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다. 시설보호 위주의 사후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다 지역사회의 예방 및 보건적 서비스의 체계로 전화하는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문제에 대해서는 사후치료보다 정확한 예방이 필요한데, 이것이 치매검진사업이다. 치매검진사업은 2006년에 한국치매협회의 치매 조기검진사업이 그 시초를 이루었으며, 2007년에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사업으로 전환하였다. 최근 2013년에는 지역사회의 통합건강증진사업으로 포함되었으며, 국민건강 증진기금이나 지방비의 투입 예산이 많은 부분 증액되었다고 한다. 사립이 아닌 공립형태의 요양병원 운영은 보건복지우의 치매노인에 대한 전문적 치료와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치매질환에 있어서 악화를 방지하고 치매노인의 가족에게 부담을 경감하고자 공립요양병원의 확충을 지원하고 있다. 2012년에는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공립요양병원을 치매거점병원으로 지정하였으며, 공립오양병원의 공공 서비스 기능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한다. 다음으로 치매가족이 느끼고 있는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부담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가족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치매의 증상이 진행되고 치매환자의 상태가 변화된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이를 적응해야 하는 것이다. 치매부양가족은 환자의 변화된 상태를 이해하고 기억력이 저하되거나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과 같은 실제적인 문제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족의 역할이 변화하게 되면서 심리적인 문제로 초점을 움직이게 될 것이다. 환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부정적인 감정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행위라는 것을 훈련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2. 느낀 점 학습자 본인 또한 치매에 대한 이야기만 가끔씩 들어와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이 존재하지만, 이는 막연한 지식으로 체계나 정리정돈에 있어서 약한 지식이다. 여러 문제가 대두되는 사회 속에서 나의 부모나 혹은 나 자신이 언제 치매와 같은 질병으로 고통 받을지 모르므로 이에 대한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교육은 예비목적이므로 반드시 치매를 겪고 있거나 그 부양가족이 된 것은 아니지만, 미래를 위한 준비로 이와 같은 교육을 체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치매노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역사회, 가족, 기관 등이 상호적으로 연계하여 다각적인 연구 및 개발의 노력성이 필요하다. 이것은 양적인 대안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질적인 대안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에서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해서 여러 방향으로 이를 도모하고 있지만 모든 사업은 곧 예산과 직결되는 문제를 보인다. 이를 위해서 치매노인과 관련한 예산확보가 시급하다고 생각하며, 주어진 예산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점이 필요하다고 느낀다. 치매노인에 대한 삶의 질이 향상된다면 이는 더불어 그 부양가족의 삶의 질 또한 향상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김종해 외 공저 / 2013 / 사회복지개론 / KNOU PRESS 정민승 외 공저 / 2014 / 노인교육론 / KNOU PRESS 권중돈 / 2004 / 치매와 가족 / 학지사 이미정 / 2015 / 치매고위험군의 치매진단시기에 관련요인 / 인제대학원대학교
-
사회과학|
2022.05.13|
3페이지| 900원|
조회(1,219)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_치매노인 부양을 가족의 인터뷰_사회복지 인터뷰(설문지포함)
-
Ⅰ. 서론 1. 주제의 선정 2. 응답자 프로파일 3. 치매현상의 이해 1)치매의 정의 2)치매의 종류 Ⅱ. 본론 1. 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2. 위험원인에 대한 책임 1)부양부담의 이해 2)부양부담 경감과 관련한 사회적 지원정책 Ⅲ. 결론 1. 문제해결의 논의 2. 느낀 점 인터뷰 내용 : 설문지 Ⅰ. 서론 1. 주제의 선정 과제 주제에 있던 내용 중에 치매를 선정, 지인 중에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사람에 대해서 들은 바가 있어 과제를 작성하면서 치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터뷰를 통하여 부양부담은 실제로 얼마나 느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응답자 프로파일 인터뷰의 날짜는 2016년 4월 9일 토요일에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약 30분가량 소요되었다. 인터뷰는 평소알고 지낸 같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실험적인 환경을 배재하고자 학습자 본인의 집에서 편안하게 티타임을 즐기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기본적인 설문지를 제공하면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주관식 질문을 만들어 답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응답자의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프로파일 응답자 김OO 나이 47세 본인성별 여자 치매노인과 관계 딸 부양기간 6개월 부양시간 하루 평균 8시간 치매진단기간 6개월 치매노인연령 72세 치매관련 서비스이용여부 없다. 3. 치매현상의 이해 1)치매의 정의 치매는 주로 노년기에 발생하며, 심장병, 암, 뇌졸중에 이어 4대 주요사인으로 불리는 기질성 장애의 일종이다. WHO에서는 치매를 보통 뇌외 만성 혹은 진행성 질환에서 생긴 증후군으로 기억력이나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언어 및 판단력, 계산력을 포함한 대뇌피질의 고도한 기능 다발성 장애라고 그 의미를 정의 하고 있다. 2)치매의 종류 치매는 비가역적 치매, 반가역적 치매, 가역적 치매로 분류하여 알 수 있다. 비가역적 치매로는 알츠하이머가 있으며 퇴행성치매로 원 인을 알 수 없는 뇌의 전반적 위축과 함께 특유의 조직학적 소견이 나타난다. 반가역적 치매는 혈관성 치매를 말픽병 등이 대표적으로 원인을 알면 치료할 수 있다. Ⅱ. 본론 1. 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당사자는 여성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부분에 있어 많은 심리적인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윤택한 생활을 지니고 있지만 치매노인에 대한 기초지식 없이 부양을 맞이하게 되면서 오는 다양한 심리적 부담을 느끼게 된 것이다. 부양을 한다는 것에 있어서 육체적이고 심리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동반적으로 느낀다고 하였다. 치매노인을 부양하면서 노인이 저항할 때 맞선다든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이동하는 문제는 부양하는 가족에게 육체적인 고통을 안겨주며 이는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심리적으로도 그는 고통을 느끼고 있는데, 자신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본인이 부양해야 한다는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간병인을 어머니 옆에 두고 싶어 하면서도 한편으로 남의 손에 맡긴다는 것에 대한 불안함을 가지고 있어 부양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다른 식구들이 있지만 맏이라는 책임으로 그 부담이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현재 여성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인터뷰 응답자는 자신이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주는 문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2. 위험원인에 대한 책임 1)부양부담의 이해 부양부담은 부양자가 피부양자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육체적, 심리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유발되는 부담을 말하며, 부양자들의 부정적인 경험과정을 의미한다. 부양부담과 함께 부양 스트레스, 부양 갈등, 수발부담, 긴장 등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부양부담의 개념은 초기에 부양 경험에 따라서 태도나 감정적 반응으로 부양부담을 부양자의 주관적인 감정으로 보았다. 이후에 객관적인 부담으로 보기 시작하면서 포괄적인 의미로써 부양부담을 보기도 한다. 치매는 다른 질병과는 다르게 수발과 함께 동거를 하면서 일상생활을 돕기 위한 질병중 하나이다. 치매가 심해지면서 겪는 일상생활의 기본적 어려움을 노인 스스로가 경험을 한다. 그리고 혼자서의 삶을 영위하기 힘이 들므로험하게 되고, 치매환자를 부양하면서 긍정적 경험 또한 느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우울함, 불안감, 긴장 등의 만성적인 심리적 부담을 겪으므로 우울해지기 십상이다. 2)부양부담 경감과 관련한 사회적 지원정책 개인으로 하여금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그것은 개인의 문제가 맞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다수에게 문제가 발생한다면 국가차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야할 필요성이 있다. 개인이 느끼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먼저 치매상담센터와 같은 기관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치매운영사업은 1997년 노인복지법에 의해서 치매예방과 치매연구를 규정하고자 하였으며, 1998년에는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라서 치매관리사업의 실시나 치매상담센터의 설치에 있어서 법적으로 의무화 하였다. 그리고 2011년에는 치매관리법을 제정하면서 치매상담센터에 대한 설치 규정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치매상담센터의 이용 대상자는 관할 시·군·구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치매노인과 그 가족이며 기타 보건소장이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다. 시설보호 위주의 사후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다 지역사회의 예방 및 보건적 서비스의 체계로 전화하는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문제에 대해서는 사후치료보다 정확한 예방이 필요한데, 이것이 치매검진사업이다. 치매검진사업은 2006년에 한국치매협회의 치매 조기검진사업이 그 시초를 이루었으며, 2007년에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사업으로 전환하였다. 최근 2013년에는 지역사회의 통합건강증진사업으로 포함되었으며, 국민건강 증진기금이나 지방비의 투입 예산이 많은 부분 증액되었다고 한다. 사립이 아닌 공립형태의 요양병원 운영은 보건복지우의 치매노인에 대한 전문적 치료와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치매질환에 있어서 악화를 방지하고 치매노인의 가족에게 부담을 경감하고자 공립요양병원의 확충을 지원하고 있다. 2012년에는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공립요양병원을 치매거점병원으로 있다 판단되었다. 경제적으로 아쉬움이 없어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는 집이기 때문에 치매 부양부담에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자신의 어머니라는 점, 형제자매들 중에 맏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책임감을 매우 느끼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담감을 경감해주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예로 위에서 언급하였던 치매상담센터와 같은 기관을 이용해볼 수 있겠다. 실제로 인터뷰 응답자는 치매에 대한 아무런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부양을 겪어 왔기 때문에 여러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감정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센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치매상담센터는 이미 어느 정도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부양자의 다양한 감정을 능숙하게 이해하고 이를 어루만져줄 수 있기 때문이다. 치매상담센터에서의 치매환자부양가족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자신이 반드시 부양해야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고 간병인의 도움을 요청하는 것에 대해 합리화를 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반드시 치매노인을 가정에서만 부양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적으로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다면 재가복지 간병인뿐만 아니라 시설복지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간병인이나 시설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어머니에 대한 불효나 죄가 아님을 알고 마음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감정정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2. 느낀 점 학습자 본인 또한 치매에 대한 이야기만 가끔씩 들어와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이 존재하지만, 이는 막연한 지식으로 체계나 정리정돈에 있어서 약한 지식이다. 여러 문제가 대두되는 사회 속에서 나의 부모나 혹은 나 자신이 언제 치매와 같은 질병으로 고통 받을지 모르므로 이에 대한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교육은 예비목적이므로 반드시 치매를 겪고 있거나 그 부양가족이 된 것은 아니지만, 미래를 위한 준비로 이와 같은 교육을 체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김종해 외 공저 / 2013 / 사회복지개론 / KNOU PRESS 정민승 외 공저 / 20정보정책대학원 인터뷰 내용 : 설문지 본 설문지는 ‘치매에 대한 부양부담’에 관하여 과제물을 진행하고자 설계되었습니다. 과제물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비밀보장을 약속드립니다. 솔직하고 성의 있는 답변을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협조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지도위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 아래에 질문을 일고 문항에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를 하시면 됩니다. Ⅰ. 다음은 치매노인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노인이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남 ②여 2. 노인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3. 치매를 진단 받은 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 )년 ( )개월 4. 국가, 사회단체, 사립 사회복지 시설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는가? ①있다. ②없다. Ⅱ. 다음은 귀하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남 ②여 2. 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3. 귀하는 치매노인과 어떤 관계입니까? ( ) 4. 귀하가 치매노인을 부양한 기간을 얼마나 되십니까? ( )년 ( )개월 5. 귀하는 하루 평균 몇 시간 동안 치매노인을 보살펴 드립니까? ( )시간 6. 함께 생활하지 않는 가족이나 친척들이 치매노인 부양에 어떠한 도움을 줍니까? ①비용 부담 ②심리적지지 ③노인 케어 ④가사도우미 ⑤기타 ⑥도움을 주지 않는다. Ⅲ. 주관식 서술형 인터뷰입니다. 질문자에 의해 새롭게 작성된 질문을 토대로 자유롭게 응답하시면 됩니다. 1 질문 본인이 직접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답변 나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맏이인 제가 당연히 부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2 질문 치매노인과 관련한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답변 그래도 저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어머니인데 내가 아닌 다른 사람, 그것도 남에게 어머니를 맡기고 싶지 않다. 그것이 당연한 도리라고 생각한다. 간병인을 생각 안 해본 것은 아니지만 왠지 불안하다고 생각된다. 3 질문 지금 느끼고다.
-
사회과학|
2022.05.12|
8페이지| 1,900원|
조회(433)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 클라이언트 인터뷰
-
[목차] Ⅰ. 서론1 1. 사회적 위험으로서의 노령1 2. 노령에 따른 노화현상1 Ⅱ. 본론2 1. 인터뷰 프로필2 2. 응답자의 문제 : 불편함, 위험2 3. 문제해결의 책임 : 개인 vs 사회3 Ⅲ. 결론3 1.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4 1)노인의 취업관련4 2)노인의 창업 및 교육관련4 2. 느낀 점 : 인터뷰과정을 중심으로4 [참고문헌]5 [부록] 인터뷰 내용6 1)응답자 프로필6 2)인터뷰 개요6 3)인터뷰 내용6 4)인터뷰를 마치고8 Ⅰ. 서론 1. 사회적 위험으로서의 노령 노령은 사전적으로서 늙은 나이를 일컫는다. 우리 현대사회에서 사회적인 위험으로 노령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본다면, 늙은 나이에 도달하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로 개인으로 하여금 위험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이 사회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위험에 대해서 국가는 헌법에 의하여 사회보장법제를 통하여 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사회적 위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호 방법을 구상하기 위해서 위험의 발생 현상 또는 요인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할 것으로 본다. 2. 노화에 따른 노화현상 노령에 따른 노화에 대해 알아보면, 노화는 인간뿐 아니라 생명을 지니고 있으면서 태어나는 순간부터 피할 수 없는, 그런 필연적인 과정이다. 모든 생물체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그 흐름에 따라서 변화가 일어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 변화를 거치면서, 노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노화는 조직 및 기능의 결함을 갖춘다. 노화는 외상이나 전염병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본질적으로 생체에 내재된 필연적 과정으로써 내재성 을 지니는 것다. 연령에 따라서 수반되는 생리적인 기능과 예비력이 저하되며, 스트레스에 대한 변화도 생기기 마련이다. 또한 자기회복력의 저하와 함께 병에 걸리기 쉬워서 사망률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대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우리는 노화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노화란 그 개념 및 특징에 따른 재혼 문제 까지, 실로 다양한 형태의 개인적 문제와 사회적 문제가 발생가능하게 된다. Ⅱ. 본론 1. 인터뷰 프로필 인터뷰는 날짜는 2017년 3월 27일 일요일에 진행되었으며, 약 30분가량이었다. 카페에서 차를 마시며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진행하였으며, 대화형식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응답자는 63세의 여성이다. 2. 응답자의 문제 : 불편함, 위험 당사자는 소득적인 문제로 인하여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지만, 실제 당사자가 처함 위험은 건강 문제로 본다. 매슬 로우가 말한 인간의 욕구는 총 5단계로 나눠지는데, 그중에서 가장 기본적, 큰 문제가 되는 것이 생리적 욕구이다. 즉 건강을 의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체적 건강문제는 곧바로 소득문제로 직결된다. 이 때문에 본인은 당사자의 위험을 소득으로 인한 건강문제로 판단, 신체기능이 저하되면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건강악화는 모든 노인들이 겪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이다. 평균수명 연장과 만성질환을 가지고 살아가는 노인이 증가, 핵가족화, 가족규모의 변화, 1인 가구의 증가, 여성취업의 증가 등으로 다양한 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통적인 노인의 부양과 함께 노인을 수발할 사람이 감소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의 전반적인 보장제도 미비로 인하여 노인의 건강문제는 하나의 사회문제로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노인에게 나타나는 건강약화 문제는 노후생활에 직결된 문제로 노후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노년에 나타나는 신체적인 질환은 대부분 성인병의 연장으로 노인이 되면 병이 악화되는 개념이 아닌 성인기의 신체적 취약점이 나이가 들어가는 것에 따라서 질병으로 발현된다. 노령으로 인하여 노인에게 나타나는 대표적 질환이 있는데 이는 암,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골다공증, 당뇨병, 신경통 등 다양하다. 노인이 겪는 대부분의 질환이 만성적인 것인데 보통 장기적 치료를 요한다. 고령으로 인한 노인의 건강약화는 노인과 더불어 그 가족에게 심각한 경제적 부담을 안기기 마련이다. 노인부 보여 진다. 3. 문제해결의 책임 : 개인 vs 사회 2016년의 통계청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예년과 비슷하게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로 경제문제와 건강문제가 대두된다.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이것은 생계부양 의미에서 남성 가계 부양이라는 가부장적인 의식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서 건강문제, 심리적 정서적 문제가 높은 것을 불 수 있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인구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전체적인 추세에서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길어져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독거 여성노인 수가 증가된 것으로 본다. 퇴직금 혜택으로 인해 소득을 보장받는 일부의 남성과 달리, 취업의 기회가 많지 않은 여성노인의 경우 소득의 보장을 받지 못하므로, 여성노인의 삶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빈곤한 여성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 제도적, 사회적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소득상실 문제는 건강문제와 더불어 노인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이다. 소득 상실의 문제를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위험인지, 국가·기업·지역사회가 공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위험인지가 문제일 수 있다. 개인이 느끼는 문제에 대해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많은 사람들 또한 많이 느끼고,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다면 점차 사회적인 문제로 볼 수 있다. 노인 소득상실문제는 은퇴와 같이 수입원 상실, 수입원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직장에서 은퇴로 수입원이 단절되기 때문에 노후생활을 위해서 연금, 퇴직금, 재산수입, 저축에 의존할 수 있다. 의존에도 불구하고 노후를 위해 경제적인 준비를 한 비율은 소수에 그치고 있다. 한편으로 선진국에서는 노인 소득상실과 관련, 빈곤 문제와 질병문제 등에 대해 사회보장제도로 해결해 나아가고 있다. 여가활동, 사회참여, 소외감 등 심리사회적인 문제들을 고령에 따른 노인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본다. 우리나라에 대해 생각해보면, 사회 보험, 공적 부조, 사회복지 서비스 등 통해 소득 보장을 위한 제도 있어야 한다. 또한 정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 노인의 직업 관련법 제도는 고령자 고용촉진법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무연장, 퇴직 후에도 재고용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촉진해야 한다. 정년의 연장, 재고용, 임금피크제 등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노인일자리 박람회, 노인취업 박람회, 노인창업 박람회 등 다양하게 개최하는 등 노인을 위한 실질적 취업을 가능 하도록 해야 한다. 나이 많은 고령의 노인을 일정 비율로 취업시키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관점이므로, 점차적으로 늘려야한다고 사료된다. 2)노인의 창업 및 교육관련 노인교육은 단지 취업활동에만 국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노인의 실질적 창업활동에 필요한 정보, 지식 교육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노인에게 창업이 보다 적합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 있는 타당한 업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 창업과 노인 직종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하며, 가장 가까이에 있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유관기관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편적인 예로 지역사회 행사에 노인 고용을 촉진하여 이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그리고 노인인력을 활용한 강사풀, 이야기 할머니와 같은 교육 사업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골고루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창업이라는 자본과 다르게 교육을 통힌 인력의 배양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 노인의 소득문제는 취업문제, 건강문제 등과 상호 연관이 있다. 노인 취업이 촉진되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노인 재취업 교육과 함께 비슷한 훈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느낀 점 : 인터뷰과정을 중심으로 현시대의 노인은 과거 불경기를 겪고, 이후 사회적 경제적 안정 속에서 태어나게 되었다. 흔히 베이비붐 세대라는 단어로 알 수 있듯이, 위로는 봉양, 아래로는 대우받지 못하는 불쌍한 존재로 보는 말도 있다. 그러면서 이 단어와 같이 노인이 처할 수 있는 실제 환경이 되어버렸RESS 통계청 / 2016 / 고령자통계 [부록] 인터뷰 내용 1)응답자 프로필 1)응답자 프로필 나이 63세 성 여성 거주하는 가족 남편 거주지 인천광역시 거주 형태 월세 소득원 없음 종교 활동 교회 기타 . 2)인터뷰 개요 2)인터뷰 개요 인터뷰 주제 클라이언트가 겪고 있는 불편함과 위험에 대하여 인터뷰 목적 인터뷰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불편함, 결핍, 위험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 위험의 원인탐구를 통한 문제해결논의를 위하여 질문자 김은미 응답자 하○○ 인터뷰 장소 카페 인터뷰 날짜 2017.03.26.(일) 인터뷰 시간 약 30분 기타 - 인터뷰 절차 1. 간단한 인사 2. 인터뷰 안내 3. 인터뷰 진행 4. 인터뷰 마무리 3)인터뷰 내용 번호 질문 및 응답 1 질문 현재 본인에게 불편함이 있다면? 응답 돈이 없어서 문제다. 늙어가는 마당에 돈이 없으니까 서럽다. 하지만 교회를 다니기에 즐겁다. 2 질문 돈이 없는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응답 나이가 있으니 어디서 일하기가 쉽지 않다. 3 질문 돈이 없어서 생기는 다른 문제는? 응답 당연히 늙으면 병원비가 제일 걱정이다. 병원방문이 두렵다. 4 질문 부양가족이 있는가? 응답 부양가족이 있으나, 부담을 주고 싶지 않으며, 자식들도 자기자식 키우기에 바빠 보인다. 5 질문 건강문제를 겪고 있다면 어떤 문제가 있는가? 응답 혈압과 관절이 좋지 않다. 6 질문 일 생각이 없는 것인가? 응답 일할 생각은 있다. 일을 하지 않으니 더욱 외로움을 느낄 때가 많다. 7 질문 희망하는 일이 있다면? 응답 청소부라도 좋다. 그저 일할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 8 질문 교육사 같은 일을 한다면 어떠한가? 응답 할 수만 있다면 즐거운 일인 것 같다. 9 질문 전통요리 교육 강사는 어떠한가? 응답 음식솜씨가 좋고 말하는 것을 좋아하니 기회가 있다면 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10 질문 인터뷰를 하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나? 응답 딱히 드는 생각보다는 이야기 하느라 기분이 좋았다. 3)인터뷰 내용 4)인터뷰를 마치고꼈다.
-
사회과학|
2022.05.12|
9페이지| 1,700원|
조회(1,344)
-
미리보기
-
-
사회복지개론_사회복지서비스인터뷰
-
1. 문제 제기 : 노령에 대하여 1)노령의 개념 2)노령에 따른 노화현상 2. 사례 소개 및 분석 1)문제에 대한 책임 여부 2)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3. 문제해결 방안 1)문제 요약 2)노인의 취업 3)노인의 창업 및 교육 1. 문제 제기 : 노령에 대하여 1)노령의 개념 노령은 사전적으로 ‘늙은 나이’를 의미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사회적인 위험으로 노령을 규정하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보면, 늙은 나이에 도달하면서 나타나는 여러 개의 현상들이 개인으로 하여금 위험을 주며, 이러한 위험이 사회적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의미가 있다. 사회적 위험에 대해 국가는 헌법에 의해 각 사회보장법제를 통하여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의무를 지니고 있다. 사회적 위험에 대하여 구체적 보호 방법을 구상하기 위하여 위험을 발생하는 현상 혹은 요인에 대하여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대상과 그에 대한 특징에 대해 개념 정의 및 연구가 필요하다. 노령으로 인해서 위험에 대한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노화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화의 진행을 어느 수준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알고 노화의 진행에 따라서 대상을 보호할 것인지에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2)노령에 따른 노화현상 노령에 따른 노화에 대해서 살펴보면, 노화라는 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을 가지고 있으면서 태어나는 순간부터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모든 생물체는 시간이 흐르게 되면서 그 흐름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생명체이 변화는 성장과 발달을 거치게 되면서 늙어가는 과정은 당연히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점진적 변화를 거쳐 노화는 환경에 변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노화는 조직과 기능의 결함을 갖추게 되는데, 생각해보면 노화는 외상이나 전염병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본질적으로 생체에 내재된 필연적 과정으로써 내재성을 지니고 있다. 연령에 따라 수반되는 생리적인 기능이 저느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노화는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노화로 인한 노동력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는 소득의 상실 혹은 감소문제로 직결되기 때문에 질병이라는 위험도 파생될 수 있다. 노화로 인한 노인의 특성으로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몸의 기능이 감소하게 되고, 몸에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 기관 등 활동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외모, 신체구조, 신체기능 등에서 여러 변화를 맞이한다. 노화가 진행되면 될수록 감각적 능력이나 지각적 능력도 감퇴하기 마련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과 더불어 통각 및 지각 능력 등 다양한 능력이 감퇴가 나타난다. 이러한 노령으로 인하여 위험한 양상은 실로 다양한데, 노령에 따른 신체적인 기능의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질병의 노출과 더불어 보호문제가 나타난다. 노동력의 상실이나 가족기능의 변화에서부터 소득상실 문제 및 부양 문제, 여가활동 문제와 성생활 문제, 그리고 사별 및 이혼에 따른 재혼 문제 까지, 실로 다양한 형태의 개인적·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사례 소개 및 분석 1)문제에 대한 책임 여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1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인구 중 11.0%로 지속적으로 증가 2018년에는 14.3%로 증가할 전망이다. 아래 표를 살펴보면,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 문제가 나타났다.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서 경제적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생계부양의 의미에서 볼 때, 남성이 가계를 부양해야 한다는 가부장적인 의식을 가진 노인 들 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에 비해서 건강 문제와 심리·정서적인 문제가 높았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인구가 고령화되어 가면서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전체적 추세 속에서 여성의 평균 수명이 남성보다는 길어졌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독거 여성노인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4 7.0 7.1 25.9 4.6 1.4 2.6 ― 4.9 0.1 여 43.3 3.4 5.8 33.0 7.5 1.7 1.3 ― 3.7 0.2 계 44.6 4.9 6.3 30.1 6.4 1.6 1.8 ― 4.2 0.2 2 0 0 7 65세이상 남 40.7 4.1 6.8 37.4 2.7 0.1 2.5 0.6 4.0 1.1 여 36.8 1.2 4.4 47.9 4.4 0.3 1.3 0.7 2.3 0.7 계 38.4 2.4 2.3 43.6 3.7 0.2 1.7 0.7 3.0 0.2 위에 표에서 살펴보았듯이, 소득상실의 문제는 노인에게 당면한 가진 가장 큰 문제다. 소득 상실의 문제를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위험인지, 국가 및 기업, 지역사회가 공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위험으로 보아야 하는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개인이 느끼고 있는 문제에 대해, 그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고 그 문제가 심각하다면 사회적 위험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노인의 소득 상실 문제는 은퇴 등으로 인한 수입원의 상실, 수입원의 감소가 주원인으로 볼 수 있다. 직장에서의 은퇴로 수입원이 단절되므로 노후생활을 연금, 퇴직금, 재산수입, 저축 등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의존에도 불구하고 노후를 위한 경제적인 준비를 한 비율은 소수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은 은퇴자는 많지 않다. 한편 선진국에서는 노인의 소득상실과 관련 빈곤 문제와 질병 문제 등을 사회보장제도로 해결해 나아가고 있다고 한다. 여가활동, 사회참여, 소외감 등의 심리·사회적인 문제들 또한 고령에 따른 노인들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요인이다. 우리나라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사회보험, 공적 부조, 그리고 사회복지 서비스 등을 통하여 소득 보장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지만 그 수준이 매우 열악하다. 미래의 상황에 대해 탄력적 대응을 위해서는 소득 보장 정책의 구축과 관련한 법들을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고 본다. 2)당사자가 실제 처한 불편함과 위험 당사자는 소득적인 문제로 인하여 어려움을 호취업의 증가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면서 전통적인 부양, 수발할 사람이 감소했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보장제도의 미비로 인하여 노인의 건강문제는 하나의 사회문제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노인에게 나타나는 건강약화 문제는 노후생활에 직결된 문제로 노후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노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인 질환 대부분이 성인병의 연장이다. 노인이 되면서 병이 악화되는 개념이 아니라 성년기의 신체적 취약함이 점차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질병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노령으로 인하여 노인에게 나타나는 대표적 질환으로는 암,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간, 골다공증, 당뇨병, 신경통 등 다양하다. 노인이 겪고 있는 대부분의 질환은 만성적인 것이 특징이며, 장기적인 치료를 요하고 있다. 고령으로 인해 노인의 건강약화는 노인 본인과 더불어서 그의 가족들이 심각한 부담을 겪을 수 있다. 노인 부양부담은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로써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는 만성질환을 겪는 노인들의 대부분이 제3자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고통을 겪을 수도 있다. 노령에 따라서 노인의 건강약화는 노화과정에서 나타난 심신기능이 약화되면서 퇴행성 만성질환에 의해 발병률이 높아지고 장기간의 치료나 요양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하여 의료비 부담은 자연스럽게 늘기 마련이다.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하더라도,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서 신체적 건강약화 및 쇠퇴 등으로 인해 경제적 활동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심신 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주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살아가기가 어려운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하여 간병이나 수발 등에 대한 장기적 보호와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보호와 대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다면 사회적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3. 문제해결 방안 1)문제 요약 소득상실 문제를 겪고 있는 노인이라면 자녀들의 부양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해결방법은 자녀들로 부담감을 줄 수 그리고 사회의 필요성 1.1%, 기타 0.1%로 나타났다. 2)노인의 취업 노인의 소득상실 문제는 바로 노인의 취업으로 해결할 수 있다. 노인 취업을 위해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기업, 지역사회 등의 다양한 협력이 중요하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인의 취업을 위한 관련 법률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고령자 고용업체에 대해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정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많은 면에서 노력해야 한다. 노인 직업 관련법과 제도는 고령자 고용촉진법의 실효성을 확보하며, 근무연장과 퇴직 후의 재고용을 촉진해야 하고, 정년이 연장되고 재고용과 임금피크제 등을 생각하고 마련하여 개선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업에서는 노인일자리 박람회나 노인취업박람회, 노인창업박람회 등을 다양하게 개최하고, 노인인구를 실질적인 취업이 가능 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러면서 고령노인을 일정한 비율로 취업시키도록 하여 노인이 느끼는 부담에 대해서 경감시켜주어야 한다. 정년의 연장기간을 늘리고 지원 정도를 달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3)노인의 창업 및 교육 노인에 대한 교육은 취업활동에만 국한되지 않고 고령자들이 실질적으로 창업활동에 필요한 정보와 함께 지식 교육을 기반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노인에게는 창업이 보다 적합할 수 있도록 관련된 타당한 업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창업과 그에 대한 직종에 대한 정보들을 적극 홍보하는 것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고 본다. 가장 가까운 우리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유관기관과 협력을 해야 할 것이다. 단편적으로 보았을 때, 지역사회 행사에 노인 고용을 촉진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라 사료된다. 노인의 소득문제는 취업 문제와 함께 건강 문제 등과 상호 연관성이 있다. 노인의 취업이 촉진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의 재취업교육과 함께 훈련이 더불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김태현·이금룡·성미애 / 2014 / 노인복지통계
-
사회과학|
2022.05.11|
7페이지| 500원|
조회(1,475)
-
미리보기
-
-
사회복지학개론(사회복지사 업무의 보람과 소감)
-
Ⅰ. 서론 Ⅱ. 본론 배경설명 주요업무와 보람 일하는 분야의 과제설명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Ⅰ. 서론 사회복지사에 대해 공부하며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생각을 해보았다. 그런데 내가 이전에 생각하던 사회복지사가 아닌 모습을 보았다. 그러던 중 과제를 준비하며 ‘사회복지사 이야기’를 읽게 되었고 선배 사회복지사들의 글 가운데 감명 깊음을 느꼈다. 그 가운데 이태영 사회복지사의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Ⅱ. 본론 배경설명 이태영 사회복지사는 책에서 말하는 것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한 지 3년이 채 안 되는 아직 신입사회복지사이다. 직업으로서의 사회복지사를 지원했고 우리나라의 사회복사의 구조상 일정기간이 지나면 진급해서 맡은일에 책임을 지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직원이다. 지역사회복지관은 2-3년만의 경험으로 신입직원의 1차 슈퍼바이저로서의 이중 부담을 안게 된다고 말한다. 그것은 아직 배우고 수행력을 채워나가야 하는 수준의 사람이 슈퍼비전이 충족되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인해 업무수행의 혼란을 경험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한다. 3년이 채 되지 않아서 무엇인가의 업적은 없지만 계속 진행하며 해당분야에 대하여 사회 초년의 조직원 간의 조력자로서의 역할과 앞으로의 리더로서의 잠재력을 알게 해주는 귀한 글이기도 하다. 주요업무와 보람 그리고 단점. 이태영 사회복지사의 주요 업무 중 처음 입사해서 맡은 업무는 어르신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경로식당 운영과 물품후원, 이 · 미용과 홈페이지 관리, 유료 사회교육 프로그램, 무료 사회교육 프로그램, 취업정보센터, 시설대여, 노숙인 희망의 집, 성인 사회봉사 명령 집행, 청소년 직장체험 연수지원제, 업그레이드형 자활근로 사업, 직업적웅훈련, 대학생공모 사업 및 학과지원 사업 공모및 진행 등이다. 한눈에 보아도 굉장히 많은 업무가 주어지고 그 일로 인하여 과중된 업무가 주어졌지만 다양한 사업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기관에서 부여된 업무로 자활사업(업그레이드 자활사업으로 깔끄미클리닉), 대학생공모 사업 및 학과 지원사업, 직업적응훈련등을 담당했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사업이기도 했고, 일들이 몰리다 보면 여러가지 어긋나는 부분도 많았지만 그래도 일을 진행하며 사람들에게 귀중한 시간을 준 것이 보람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사회복지사는 1인당 5-6개의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관내에서 일어나는 작은 업무까지 정리·점검하게 된다. 사회복지사의 하루 시간구성과 일정을 고려할 때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진행하고 특정한 업무에 집중하여 일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에는 한계점이있다. 그러므로 일상적인 업무 외에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등은 담당자의 추가업무로 부담이 되는 실정을 아쉬움으로 꼽았다. 전망과 과제 복지관에서 사회복지사로 근무를 하며 가장 인상적이었던 기억은 직업적응훈련을 진행 중에 있었다. 2002년에 직업적응훈련에 참여한 김씨는 1998년에 사업을 하다가 부도 이후 우울증 증세로 집밖 출입을 꺼려하던 분이었다. 노동부의 소개로 본 기관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사업실패 이후 처음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사업에 참여하였다. 그동안 김씨는 집안의 생계도 버려두고 자포자기한 상태로 살았다고 하였다. 또한 초기상담에서 의사표현이나 말하는 어투에서 장애요인을 관찰할 수 있었고, 본인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옆에 있는 성원들과 집단활동을 하고, 수업을 듣고, 등산활동을 하면서 점차 표정이 밝아지고 본인의 의사표현이 많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마지막 날 참여소감에서 본인의 내부에 얽매여 있는 우울한 감정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김씨는 앞으로는 가족들을 위해서 다시 한번 열심히 노력해서 살아보겠다고 다짐하고, 현재는 직업훈련 과정에 들어가 교육을 받고 있다. 모든 사회복지사들이 그렇듯이 사회복지사로서 가장 보람을 느낄 때가 나로 인해, 혹은 계획된 프로그램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변화를 보일 때일 것이다. 클라이언트 한 개인에게 단적인 변화보다는 장기적인 인생전략을 갖게 함으로써 역량을 강화(empowerment) 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던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금전적인 보상으로는 불가능한 사회복지사만의 성취이며 이러한 자극과 도전이 내가 사회복지사로서 여기에 근무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Ⅲ. 결론 책에 등장한 여러가지 사람 중에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이태영씨의 글을 보며 감동보다는 사회복지사의 암담함을 볼 수 있었다. 이분을 대상으로 글을 쓰게 된 것도 어찌보면 그 부분 때문이었다. 하지만 어떻게 모든 사람이 다 똑같은 일을 할 수 있으랴? 이태영 사회복지사가 마지막으로 얘기한 있는 자리에서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보며 그의 역량이 강화 되어가는 과정이 앞으로 내가 해야할 사회복지의 일이 아닐까 생각한다. 조금 더 좋은 환경에서 할 수 있다면 사회복지사보다는 다른 것을 하는 게 좋을것이다. 하지만 다시금 다짐해본다. 좀 더 좋은 사회복지사가 될 것을. Ⅳ. 참고자료 *참고문헌 사회복지사이야기, 김욱 외, 학지사, 2004
-
사회과학|
2022.05.09|
4페이지| 2,000원|
조회(1,664)
-
미리보기
-
-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공공부조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Ⅰ. 서론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는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존권 보장의 이념을 기초로 삼고 있는 생활보장제도이다. 이러한 생활보장제도는 과거에서부터 역사적인 형성을 이루어온 것으로써 각각 개별적으로 발전한 다양한 제도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보장이념은 National Minimum에 기초하고 Beveridge보고서에 의해 정착되었다.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기반은 1963년 11월에 공포, 제정된 사회보장에 대한 법률(법률 1437호)라고 할 수 있다. 이 법에서 사회보장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보험에 의한 제급여와 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적 부조를 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는 사회보장사업을 이용하며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에는 국가의 경제적인 상황을 인정하여 순차적으로 법률이 정해주는 부분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렇게 해서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는 시대의 발전하는 요청에 의하여 서서히 정비되고 확충되어 왔다. 이러한 사회보장제도는 크게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로 나누어진다. 이어지는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공공부조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공공부조의 개념 공공부조는 사회보장제도의 한 가지 종류로서 모든 국민들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통해 생활유지능력을 상실했거나 어려운 국민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해주고 자립을 지원해주는 국민 생활 질 향상을 위한 복지제도이다. 이러한 공공부조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기존의 생활보호제도를 개선하여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 중이다.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자활급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의료보호사업 의료보험제도는 저소득층에게 더욱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보호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독립하여 증대되는 의료보장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3) 재해구호사업 풍수나 화재, 수해 등의 비상재해가 발생했을 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적 자금을 통해 그 지역의 재해를 구호하는 응급구호 방안이다. 2. 사회복지의 거시적 수준 클라이언트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체 사회 혹은 국가의 복지체계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을 의미한다. 거시적 수준에서 주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들은 국가 혹은 사회의 정책분석, 복지정책개발, 정책대안의 발굴 및 제시, 제시된 법안에 대한 분석 및 증언 등의 활동을 하며 조직이나 기관의 행정체계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안의 제시, 취약 계층의 권익옹호, 지역사회 자원의 개발 등에도 간여한다. 이러한 거시 수준에서의 활동은 클라이언트를 직접적으로 만나기보다는 특정한 대상의 클라이언트를 고려하여 클라이언트와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간접적인 사회복지서비스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접실천이라고도 불린다. 3.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공공부조 분석 3.1 공공부조의 원리 (1) 생존권 보장의 원리 공공부조는 생활 유지 능력이 부재하거나 생활이 곤란한 자에게 요구되는 보호를 행하여 이들에게 최저생활을 보장해주고 자활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복지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평등보장의 원리 공공부조를 통해 주어지는 보호의 평등은 개인 혹은 새대에 대하여 기계적이고 일률적이고 평등적 정의로서의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오히려 각각의 최저한의 생활보장성이나 의미있는 생활조건의 차이에 대해 인식하며 이것을 고려한 보호의 결과로서 보장되는 최저생활수준이 동일하게 보호되는 것을 으미한다. (3)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각각의 국민은 소득의 고저, 가족의 대소, 직업의 차이 등 차이점이 있지만 모든 국민읜 최저한도의 생활 수준을 객관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보장을 방해하는 원인을 배제해야 한다. (4) 보충성의 원리 공공부조의 부조를 받으려 하는 사람은 그 전제 요건으로서 최대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생활유지를 위해 최대한 노력해야 하며 그렇게 노력한다고 해도 부족하다면 그러한 부분을 공공부조를 통해 보호하자는 원리를 의미한다. 3.2 공공부조의 원칙 (1) 선신청, 후직권 보호의 원칙 국가에게 우선적으로 보호신청을 한 후에 직권보호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2) 급여기준 및 정도의 원칙 대상자의 세대구성이나 연령, 소득관계 및 자산 조사 등을 통해 수급권자의 수요를 측정하여 수입 혹은 자산을 통해 충당할 수 있는 부분을 뺀 부족분 만을 보충하는 수준의 부조를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3) 필요 즉응의 원칙 무차별 원리에 대한 보완적 성격의 원칙으로 보호 신청이 있을 때에 즉시 보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4) 세대 단위의 원칙 공공부조는 세대를 단위로 해야 하며 그 서비스의 필요여부나 수준을 정하는 원칙이다. (5) 현금부조의 원칙 수급권자의 낙인감 및 불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전 급여를 우선하는 원칙이다. (6) 거택보호의 원칙 수급권자가 거주하고 있는 자택에서 공공부조가 제공되는 것을 뜻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공공부조에 대해 서술해보았다. 공공부조는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간이 최소한의 생활의 질을 유지하거나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항 들을 법적으로 보장해주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 안에서 실업 및 사망, 이혼, 별거 등 가족의 해체 및 개인의 다양한 위험이 존재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더 나은 공공부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는 국민들의 생존권을 확보해주기 위하여 국민 생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문화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장치를 지원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 나은 공공부조 정책들이 만들어져 우리의 삶이 위험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유성 , 법문사, 2002 이인재 , 나남출판, 1999 장동일 , 학문사, 1999
-
사회과학|
2022.05.09|
4페이지| 5,000원|
조회(1,817)
-
미리보기
-
-
평생교육 담당자의 역할과 하위 영역별 전문 기술중 자신의 입장에서 우선적으로 개발하여야 할것이라 생각하는 것 5가지를 제시하고 그 이유를 열거하세요
-
과목명 : 평생교육론 과제주제 : 평생교육 담당자의 역할과 하위 영역별 전문 기술중 자신의 입장에서 우선적으로 개발하여야 할것이라 생각하는 것 5가지를 제시하고 그 이유를 열거하세요 목차 서론 본론 평생교육사의 하위역할 14가지 나에게 하위역할 적용하기 선택한 하위역할에 대한 보완방안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평생교육사라는 전문가,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되기 위해서는 담당해야 할 특정 역할이 있으며 그에 따른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자격과 자질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 평생 교육이 부각되면서 평생 교육 담당자에 대한 기술 및 능력,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도 많이 대두되고 있다. 평생교육사를 구분하는 준거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조직에서의 기능, 역할에 따라 나뉠 수도 있고 직접 참여자인지 간접 참여자인지 따라 나누거나 지도성의 행위가 어떤 종류인가에 따라서 나뉘기도 한다. 그 중 평생교육법에 따른 평생교육사의 역할 규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기획을 담당하는 프로그래머, 두번째는 교육과정에 따라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운영자, 세번째는 교육과정에 대하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 평가자, 네번째는 학습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자기개발을 지원하는 상담자, 마지막으로 학습자에게 교육과정을 전달하고 강의하는 교수자가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역할에 따라 어떠한 자질과 전문 기술이 요구되는가 살펴보면, 성향적으로는 인간적 자비심,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는 융통성이 있으며 능력적 면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철학, 문제 해결능력,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 협조를 이끌어내는 정치력 등의 관념적인 자질들이 정의되어 있다. (박노열, 1987) 하지만 관념적인 정의는 주관적이고 개개인마다 성취에 대한 차이가 있어 좀더 이를 확대하여 구분한 권두승의 정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정의에 따라 나는 어떤 자질이 더 필요하고 개발시켜야 하는지, 이러한 자질을 개발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좀더 서술하고자 한다. 2. 본론 1) 평생교육사의 하위역할 14가지 - 프로그램 개발자 프로그램 기획 : 프로그램의 개발 여부 및 내용 의사결정, 목표 점검 및 정교화, 목표를 형성하기 위한 의사결정 능력과 학습집단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참여유도 기술 필요함 요구분석 : 사회, 기관, 학습자의 요구 파악 및 분석, 요구 분석 기법 및 판단 방식 숙달해야함 설계 : 프로그램 내용, 방법 조직, 프로그램 편성하는 능력 요구됨 운영 및 평가 : 프로그램 전반적으로 운영하며 평가, 프로그램을 효울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법과 표준화된 평가기법 숙지해야함 - 교수자 가르치는 전문가 : 교육 관련 분야의 정보, 개념, 관점 전달. 수업준비, 자료구성 능력 공식적 권위자 : 목표 설정 및 달성을 위한 구체적 절차 설정, 행위, 프로그램 구조, 우수성 평가 사회화의 매개자 : 수업 뿐 아니라 삶의 목표, 과정을 제시하고 준비하게 함, 특정 가치, 신념, 태도 등을 명확히 가져야 함 학습촉진자 : 학습자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움, 학습자들의 흥미 및 기술에 대한 의식을 구체화 시킴, 학습자들의 통찰력, 문제해결력 키워줌 이상적 자아 제공자 : 해당 분야체 대한 기쁨과 지적 탐구 가치 전달, 교육의 내용과 자료, 목표가 궁극적으로 가치있고 도움이 된다는 신념을 제시함. 인간주의적 접근 : 지적 활동에 대한 인간 욕구를 보여주고 인간으로서 인정받고자 하는 학습자 인정,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방법 알려주며 학습자들이 마음을 열수 있도록 신뢰성과 따뜻함을 보여줌 - 관리자 조직의 발전과 유지 : 조직 효율성, 효과성을 관리하는 역할, 조직관리 기법과 조직 활성화를 위해 노력함 프로그램 관리, 집행 : 프로그램 위한 예산 편성 및 운영, 프로그램 홍보와 광고 설계,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담당, 자원 운영 기법, 홍보 전략 집행 - 변화촉진자 조직구조 풍토개선 : 변화를 위해 조직의 문제를 인식하고 요구에 맞춰 개발해 조직 변화를 위해 노력 - 협력자 과업조정 및 통합 : 지역 사회에 존재하는 학습자, 조직의 동료, 지역사회 인사 간의 접촉을 유도하고 조정함, 대인관계 능력, 갈등해결능력 2) 나에게 하위역할 적용하기 위의 14가지 하위 역할과 그에 따른 기술을 살펴봤을 때 나에게 부족한 기술을 5가지로 추려보았다. 교수자 - 이상적 자아 제공자 이상적 자아 제공자는 내 스스로 건강하고 이상적인 자아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좋은 롤모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현재 내 자아를 건강하게 만들어가려고 노력하는 중이라 어렵게 느껴지는 기술이다. 변화촉진자 - 조직구조 풍토개선 변화촉진자는 조직을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게 하고 악순환의 구조에 놓여있다면 거기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조직의 구조와 습관, 풍토를 개선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조직을 바꾸는 것은 엄청난 시간과 노력, 에너지가 소비된다고 생각한다. 과연 나에게 그런 끈기가 있을지, 누가 알아주지 않는다고 포기해버리진 않을지 걱정되는 부분이다. 협력자 - 과업조정 및 통합 협력자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같은 목표로 집결시키거나 그 사이의 여러가지 인간관계 양상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것은 인간관계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나는 사람과의 소통에 피로를 느끼는 경향이 있고, 남을 배려하는 의사표현 기술이 부족한 편이다. 교수자 – 학습촉진자 학습촉진자의 역할은 평생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성장을 도모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나는 누군가를 지도할 때 스스로 성장하도록 기다려주기 보다는 어떤 틀이나 지시에 따르도록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관리자 - 프로그램 관리, 집행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집행하는 역할은 무엇보다 예산이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나는 회계나 예산관리 기술이 전무하여 문제가 된다. 3) 선택한 하위역할에 대한 보완방안 나에게 부족한 하위역할 5가지를 추린 뒤, 미래의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 다음의 내용으로 정리해보았다. 교수자 - 이상적 자아 제공자 내 자신의 자아를 건강하고 이상적으로 가꿔가기 위해 책을 통하여 마음의 양식을 충분히 채워야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다양한 견해와 지혜를 통해 내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학교에서 수강하고 있는 심리학 과정을 성실히 수강하여 심리적으로 건강한 기제와 생각의 습관은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다. 변화촉진자 - 조직구조 풍토개선 조직에 대해 부정적인 요소나 잘못된 문제가 보이면 그것에 대해 조직의 구성원들과 지혜롭게 논의하는 법을 배워야한다고 생각한다. 누군가를 비난하고 따지는 듯한 말투가 아니라 정확하게 문제를 인식하고 그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방안까지 제공하여 객관적인 입장을 취하는 방법을 실생활에서도 연습해야할 것이다. 협력자 - 과업조정 및 통합 의사소통을 할 때 직설적으로 말하거나 한번 더 생각하지 않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협력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과 위치의 입장을 여러 번 제고하고 소통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다른 상황과 사람의 입장을 시뮬레이션 해보고 나의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을 꾸준히 연습해야겠다. 교수자 – 학습촉진자 먼저는 인내와 끈기가 필요하다. 남을 나의 기준에 맞추려하지 않고 상대의 노력과 능력을 명확히 인식하여 할수 있는 과제를 제공하고 진심으로 응원하는 모습을 가져야겠다. 관리자 - 프로그램 관리, 집행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예산관리를 수행하려면 예산 관리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산과 자원 운영에 대해 좀더 공부하고 회계 분야에 대한 지식을 미리미리 갖추도록 책, 유투브 등을 통해 학습할 것이다. 3. 결론 서론에서도 기술하였듯이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학습 지도 능력 뿐 아니라 인관관계적 요소와 회계 능력 나아가 조직 관리 능력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모든 기술을 완벽하게 갖출 수는 없겠지만 항상 각 분야의 기술이 필요함을 염두하고 평생교육사가 되기 전이나 후에도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스스로 생각한 방안들을 실천할 수 있도록 더 구체적으로 고민하여 실행할 것이다. 4. 참고문헌 정민승 ‘평생교육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조건’, 평생학습사회, 평생학습사회 제6권, 제2호, 121-200
-
교육학|
2022.05.22|
7페이지| 2,500원|
조회(84)
-
미리보기
-
-
노인 세대를 위한 교육의 의미를 정리하고 이에 적절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실제 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시오.
-
과목명 : 노인교육론 과제주제 : 노인 세대를 위한 교육의 의미를 정리하고 이에 적절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실제 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시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로우와 칸이 주장하는 성공적 노화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는 생물학적 측멱으로 질병이 없이 건강하고 질병의 위험도 없는 상태이며, 두번째는 심리학적 측면으로 인지기능이 정상적이며 또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사회학적 측면에서 노인들이 사회 활동해 참여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상호작용하며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상태를 의미한다. 모든 요소가 충족되어야 성공적 노화이지만 이 중에서도 사회학적 측면은 노년교육이 크게 기여하는 요소이다. 과거의 노년 교육은 대부분 여가 관련 교육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노인들의 교육욕구가 발현되면서 노인이 노년기에 잘 적응 하기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다. 급변하는 사회 속 새로운 기술, 지식에 대한 습득과 노인의 자기표현 욕구 및 사회공헌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도 주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의 다양한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1) 노인교육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고령화에 대한 대비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또한 사회 전체적으로 교육을 받은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노인도 학력수준이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학습 욕구가 증가하였다. 노인 인구는 더 이상 젊은 세대의 부양에 의존하여 노년기를 보낼 수 없게 되었다. 노인은 자신의 건강과 경제력을 활발하게 자립적으로 유지하기를 원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원한다. 이러한 노인의 욕구와 자아존중감을 지지하는 중요한 자양분이 바로 교육이다. 노인이 평생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지식, 기술을 습득하고 노인들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서로 지지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노인의 자아성취감 성취 및 생활만족도에 노인 교육이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김동배, 2010; 지행중 외, 2011). 또한 저출산 고령화라는 한국 사회의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로 노인은 제 2의 인생을 위한 준비가 필요해졌다. 은퇴하는 정년 60세가 되면 새로운 직장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되었고 따라서 노인의 직업교육 및 재취업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있다. 이러한 노인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노인 개인이 아닌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므로 사회에서는 노인이라는 인적 자원이 활용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2) 노인교육 프로그램 분석 본 내용에서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이뤄지는 노년 교육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 양재노인종합복지관은 서울 서초구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분류된다. 양재노인종합복지관은 타 기관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어학교육 프로그램이 특히 활성화 되어 있었다. 또한 건강증진, 교양, 동아리, 여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 하나인 ‘인터넷 활용프로그램’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인터넷 활용 프로그램의 목적은 노인들이 자아실현의 계기를 제공하여 사회에 적응하며 보람된 노후 생활을 설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특징을 살펴보면, 지역의 노인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개설되었으며, 스마트폰 활용법, 디지털 카메라 이용법, 동영상 편집, 한글 문서 작성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스마트폰 교육의 경우 수요가 많은데 비해 교육강사의 인력이 부족해 주로 외부 지원을 통해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프로그램 학습자의 연령은 60대에서 9-대로 다양하다. 양재노인종합복지관은 특별하게 수강료를 내면 강의 수에 제한없이 들을 수 있어서 여러 강의를 듣는 학습자들이 많다. 아카데미 강좌 중 정보화 아카데미에 속하는 인터넷 활용 프로그램은 평균 4~8회 강좌로 진행되는 단기 강좌이다. 또한 다른 강좌가 3개월 이용료를 내는 것과 별도로 2개월 2만원 이용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예산 지원이 부족해지고 있어 수강료 인상이 불가피하며 이에 대해 학습자들의 불만도 존재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단순 교육 뿐 아니라 사회활동 참여의 연장선에 있어 교육이 끝난 후에도 반복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이 많았다. 인터넷 활용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높은 지지를 이끌어내었다. 3. 결론 과거와 현재의 노인교육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로 인해 컴퓨터, 카메라, IT 등 최신 정보화 교육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들도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여 세분화 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앞으로 더욱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노인의 눈높이와 수준에 맞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노력해야 한다. 특히 실질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 인력 확보와 재정 부족으로 인해 수강료가 올라가고 있는 점은 실무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이 계속된다면 노년층이 잠재력을 가지고 사회에 기여하는 생산적 긍정적 계층으로 재해석 될 것이다. 4. 참고문헌 이윤경, 염주희, 황남희, 양찬미(2013).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노년교육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1-134
-
사회과학|
2022.05.22|
5페이지| 2,500원|
조회(83)
-
미리보기
-
-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기술하고, 장애인 평생교육이 왜 필요한지(개인 성찰)와 법령이 발의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개인(평생교육사), 평생교육기관, 정부 측면에서의 역할(개인 성찰)이..
-
[ 평생교육론 ] 주제: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기술하고, 장애인 평생교육이 왜 필요한지(개인 성찰)와 법령이 발의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개인(평생교육사), 평생교육기관, 정부 측면에서의 역할(개인 성찰)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Ⅰ. 서론 우리나라 평생교육법 제4조 평생교육의 이념을 살펴보면, ‘모든 국민은 평생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제5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에게 평생교육 기회가 부여될 수 있도록 평생진흥정책과 평생교육사업을 수립·추진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장애인이 평생교육의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정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평생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모든 국민은 평생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 라는 한 줄로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누구나 전 생애에 이르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음에도 장애인을 위한 법조항이 명시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과제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는 장애인 내용이 무엇인지, 또 장애인 평생교육이 왜 필요한 것이며 법령이 발의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개인과 평생교육기관, 정부 측면에서 각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내용과 그 필요성 우리나라 2020년 12월 말 기준 전국 등록장애인의 수는 2,633,026명이다. 우리나라 인구수가 현재(2022년 기준) 5,162만 8,117명으로 장애인 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한다. 평생교육법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장애인 역시 균등하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보장받고 현대사회에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비장애인과 더불어 보편적인 교육의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평생교육은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구체화한 것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수직적인 교육체제와 조직화되지 않은 사회교육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전 교육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교육역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또한 빠르게 변하는 현 시대에서 개인이나 집단이 지속적으로 자기개발을 하고, 사회적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학교의 사회화와 사회의 교육화를 이룩하려는 통합의 목적이 있기도 하다. 장애인 평생교육은 장애인이 장애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육의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누구나 동등히 평생교육권과 평생학습권을 보장받고, 기회의 형평성을 갖게 지원해주는 것이다. ‘기회의 형평성’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접근을 할 수 있고, 비로소 장애인 개인 삶의 질이 향상되는 기회까지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법령이 발의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사 개인과 평생교육기관,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주어야 할까. 2. 평생교육사, 평생교육기관, 정부 측면에서의 역할 1) 평생교육사(개인)의 역할 평생교육사 라는 직업은 평생교육법 제24조에 따라 평생교육의 기획, 진행, 분석, 평가 및 교수 업무 등을 수행하는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이며 직무로는 평가보고 및 성과분석, 학습자조사 및 환경 분석, 학습자간 네트워킹, 프로그램 및 기관 운영, 계획수립 및 기획, 행정 경영, 프로그램 개발, 교수학습, 상담·컨설팅, 학습 참여 활성화 및 변화 촉진 등이 있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에 적합한, 장애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개발이 필요하며 그 기획과 개발을 위해서는 니즈 파악을 위한 사전조사와 상담 그리고 컨설팅이 요구된다. 장애인의 요구에 적절하게 부합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비정상인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다양성과 프로그램 양의 수 역시 떨어진다. 전체 인구수 5%를 차지하는 비율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추구하는 행복의 개념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객관적 지표는 사람은 누구나 같으므로 평생교육의 기본 개념을 전제로 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모형들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2) 평생교육기관의 역할 장애인평생교육기관은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시·도교육감이 설치 또는 지정·운영하는 기관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장애인평생교육기관 중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은 현재 4개가 있고,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는 23개가 있다. 발달장애인 위주의 평생교육기관이 쏠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장애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다. 장애를 좀 더 세분화하여 그 장애에 맞는 평생교육기관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3) 정부의 역할 장애인 평생교육이 더욱 발전할 수 있으려면, 예산이 증폭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준 높은 교육시스템이 구축되고 그 안에서 질 높은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예산편성 기준의 개선이 요구된다. 장애인들의 거주시설, 지역사회 재활시설, 직업재시설도 확충해야 한다. 장애인복지관이나 주간보호시설 등은 어느 정도 지원하고 있지만, 장애인체육관, 수어통역센터, 생활이동지원센터, 점자도서관, 근로사업장, 직업적응훈련시설 등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며, 지원이 부족한 현황이다. 또한 장애인평생교육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행정조직개편과 참여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맞춤형 정책제도 역시 구현할 필요성이 있다. Ⅲ. 결론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장애인이 5%나 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스치듯 금방 쉽게 만나지 못하는 것 같다. 그만큼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장애인은 높다란 벽이 세워져 있으며, 서로 융화되어 살아가고 있지 못한 현실이다. 평생교육의 실현은 비정상인의 평생교육과 결코 다르지 않으며, 실현 방법에 있어서 장애인의 요구에 적절한 지원 체제가 갖추어져야 함은 분명하다. 공공 차원에서 실제적인 지원 대책과 실천이 절실히 요구될뿐더러 사회공동체임을 개개인들도 잊어서는 안 된다.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평생교육법 참조법령열람 (http://www.yeslaw.kr/lims/front/page/fulltext.html?action=LAW&lawid=818) 2. 장애인 등록 현황(2020년), 보건복지부, 2021.4.19.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3.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 및 과제에 관한 연구, 최윤영, 이세희, 2020 4.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KOSIS(https://kosis.kr) 5.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평생교육의 내용, 이병화, 장애인뉴스, 2015.6.30. (http://www.welvoter.co.kr/16318) 6.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김수경, 2012 7. 2021 장애인 평생교육 현황조사,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https://www.nise.go.kr) 1) 장애인등록 현황(2020년),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보건복지부 2)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https://kosis.kr/
-
사회과학|
2022.05.17|
3페이지| 1,300원|
조회(671)
-
미리보기
-
-
고령화사회로 인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
[ 노인교육론 ] 주제: 고령화사회로 인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Ⅰ. 서론 대한민국은 늙어가고 있다. 그리고 23년 뒤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늙은 나라가 될지 모른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지금으로부터 3년 뒤인 2025년이 되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비중이 20.3%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그리고 23년 뒤인 2045년에는 고령 인구 비중이 37%로 상승해, 이웃나라 일본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인구는 나이에 따라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0~14세까지의 유소년 인구와 15~64세까지의 생산가능 인구, 마지막으로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있다. UN은 위와 같은 인구 구분 기준을 바탕으로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먼저 ‘고령화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에 해당하는 국가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고령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의 국가로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초고령사회’는 고령사회를 넘어 20% 이상까지 올라가는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이렇게 65세 이상의 인구인 ‘고령 인구’의 비율을 UN에서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령화 문제가 단순히 우리나라가 직면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과 전 지구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기대수명이 연장된 것은 첨단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의 혁혁한 발달덕분이다. 축복 속에서 장수를 기대하지 못하고, 고령화사회를 두려워하고 고민해야 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본론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고령화사회로 인한 문제점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고령화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곳은 바로 한국이다. OECD(경제개발협력기구)의 보고서에도“한국은 그동안 가장 젊은 나라였지만, 향후 50년 이내 가장 늙은 나라로 변화할 것이다.”라고 전망하였으며, UN 보고서에도 한국이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고령화사회와 더불어 저출산의 문제는 이제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 국가의 문제가 되었다.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보건 및 복지, 사회문화 문제 등 전 분야에 직면하는 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1) 경제적 문제 상식적으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많아야 국가성장률이 높아지는 건 당연한 얘기다. KDI 한국개발연구원은 청장년층의 인구 감소와 저축 및 투자 감소로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현재 4~5%에서 2030년에는 2%로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2060년이 되면, 생산가능인구가 전체 인구의 49.7%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실질성장률을 급격히 떨어뜨려, 현재 3.6% 수준인 실질성장률이 2060년에는 0.8%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령화사회는 경제적으로 역동성에 크게 타격을 주고 있고, 또 미래에 타격을 줄 것이 자명하며 우리나라처럼 고령화 속도가 빠른 나라는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 4대 공적연금의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2) 보건 및 의료 문제 고령화사회는 건강 불평등 현상을 초래한다. ‘건강 불평등’이라는 용어는 열악한 환경과 생활 조건에서 살아가는 빈곤한 사람들은 질병에 노출되는 위험이 부유한 사람에 비해 더 높은 의미에서 주로 쓰이곤 했었다. 현재에는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로 노인 인구의 절대적 증가와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빈곤과 건강의 문제를 갖는 노인들이 질병에 노출되는 위험이 높고 불가피한 상황과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박탈 당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 것이다. 건강 불평등은 인생의 전 과정에서 일어나게 되지만 특히 노인 인구의 절대적 증가와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빈곤과 건강의 문제를 갖는 노년기 과정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건강 불평등 현상은 세대 간으로 대물림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대비하여야 한다. 3) 부양 및 국가재정 문제 고령화는 국가재정 부분에서도 커다란 문제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년부양비는 2014년 26.5%에서 2040년에는 57.2%로 늘어나며, 고령화로 인한 연금과 복지분야의 지출 증가는 국가재정에 큰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 2013년 국가채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7.0%에서 2030년 58.0%, 2060년 168.9%로 증가할 전망이다. 향후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노인부부 또는 노인 1명으로 이루어진 가구가 늘어날 전망이며 노년부양비는의 증가는 과거처럼 노인을 부양하는 책임을 전적으로 가족이 지기는 어려운 전망이다. 2. 고령화문제의 해결방안 우선 노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노화는 누구에게나 오는 현상이다. 노년에 경제적 빈곤뿐만 아니라 고독, 우울, 돌봄, 요양, 건강, 주거 등에 직면하는 문제를 노인 개인만의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건강 불평등 현상은 개인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비하여야 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건강 불평등을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저소득층 노인들에게 보건 및 의료 접근성 문제나 비용 등 이용으로 인한 불평등이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하며, 노인복합 여가문화시설이나 건강타운을 전국적으로 운영이 활발하게 되어야 한다. 이전의 노년층과는 달리 현재 이후의 노년층은 교육수준이 높기 때문에 지원과 보호과 함께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중심의 공동체적 관계중심문화 형성으로 지역사회 연계망 구축에 의한 상호 돌봄, 배려, 공동 주거 및 세대 간 통합교류를 통해 삶의 만족도와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들이 필요하다. Ⅲ. 결론 요즘은 개인이 나라보다 중시되는 사회다. 그 누구도 개인의 생각과 행복을 침해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 개인도 누구나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것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은퇴 후의 ‘또 다른 인생의 시작’이 원활히 시작되도록 어린 세대는 노년 세대를 이해하고, 고학력의 노년층이 할 수 있는 또다른 일자리가 발굴되고, 고령문화와 주거타운이 활발히 운영이 되어야 고령화사회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들과 세대 갈등 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뭐든지 빨리빨리하는 민족인 한국이 초고령사회를 내달리기 전에 고령층을 위한 노인복지정책이 빨리 실현되어 실버산업이 크게 번성하여 수출까지 할 수 있는 위기에 강한 나라가 되길 바란다. Ⅳ. 참고문헌 1. 노인복지정책의 시대적 변화와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이재란·조계표, 한국행정사학지, 제52호(2021.8): 1~28 2. [네이버 지식백과] 늙어 가는 세계(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2011. 8. 29., 전국지리교사연합회) 3.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 박정호, KDI 경제정보센터, 2015. 1. 6 4. 저출산 및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신상진, 대한병원협회지 5. 고령사회와 건강 불평등, 광주일보, 2011. 1. 17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295*************78) 6. 고령화와 노년의 사회문제, 최승호, 충북 Issue & Trend, 2018. 3, 39-43 1) KBS NEW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09038&ref=A, 2022. 3. 4 2)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2292, 2015. 1.6 3) 광주일보, 고령사회와 건강 불평등,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295*************78, 2011.1.17
-
사회과학|
2022.05.17|
3페이지| 1,500원|
조회(671)
-
미리보기
-
-
여성교육론-성별과 관련된 학습자로서의 경험_평생교육적 성장을 위한 학습의 예
-
Ⅰ. 서론 1. 성별과 관련된 학습자로서의 경험 1) 선정 경험 2) 선정 이유 Ⅱ. 본론 1. 평생교육적 성장을 위한 학습의 예 1) 내용 2) 주제 3) 방법 Ⅲ. 결론 1. 학습의 평가 Ⅰ. 서론 1. 성별과 관련된 학습자로서의 경험 1) 선정 경험 성별과 관련된 학습자로서의 경험으로 여성으로서의 경력단절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여성이라면 출산으로 인하여 경력단절을 경험할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출산과 돌봄으로 인하여 육아휴직을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는 근래에 들어서 제도적으로 좋아진 편이지만, 과거에는 이러한 대책도 제대로 갖춰있지 않았고, 여성이라면 회사에 입사하는 경우에도 결혼기간이나 자녀유무로 보이지 않는 벽을 느끼기도 한다. 여성으로서 중년이 되어 다시 경제생활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꾸준히 일하는 여성이라면 이직이 쉽고 재취업하는 기간도 짧겠지만, 경력이 단절되고 그러한 기간이 길어지면 재취업은 쉽지 않다. 2) 선정 이유 학습자의 생애주기인 중년의 시점에서 만약 개인이나 가정에 문제로 인하여 직장생활을 긴 시간 종료하고, 다시 일을 시작할 때가 온다면 어떠한 평생교육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물음에 성별과 관련된 학습자로서의 경험과 생애주기를 고려할 때 경력단절 여성의 평생교육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인간의 노화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는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작용한다. 완경과 호르몬, 생리적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신체적으로도 변화를 가져오면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다. 이는 삶의 만족도나 사회참여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중년여성이 생산성을 발휘하는 시기에 경력의 단절은 많은 심리 정서적 변화와 함께 위기감을 겪을 수 있게 된다. 경제활동과 소득수준은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심리적 안녕을 위해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성과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의 욕구충족 및 건강증진 실천이 필요하다. Ⅱ. 본론 1. 평생교육적 성장을 위한 학습의 예 1) 내용 경력단절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평생교육프로그램으로 미용교육활동을 선정하였다. 미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 자신의 외모관리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면서 개인적인 욕구충족과 함께 실천을 위한 평생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로 이를 것으로 본다. 해당 평생교육프로그램은 자가 외모관리 행동으로 지식에서는 외모관리의 필요성과 이해하기를,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외모관리를 위한 기술 수행하기, 태도적인 면에서는 외모관리와 건강, 사회적 관계와의 상관관계 알기가 포함된다. 외모관리가 필요한 이유를 알고 헤어스타일링, 메이크업, 네일, 발, 피부, 색상에 관하여 까지 기술을 습득하고, 결가적으로 미를 알고 인식하며, 외모관리를 통한 자아만족감의 향상과 학습활동으로 이어져 자아실현까지 이룰 수 있다. 2) 주제 미용교육프로그램의 학습요구를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외모관리의 행동요소 중에 평소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 한 헤어스타일링을 시작으로 수업의 난이도와 연관성을 고려하여 차시별로 구성하고자 한다. 1차시가 헤어스타일링이라면, 2차시 피부관리, 3차시 발관리, 4차시 색채기법, 그리고 5차시 네일관리, 마지막 6차리는 메이크업 순으로 수업의 주제순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외모관리와 연관되도록 학습의 주제를 6차시로 설정하고 이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3) 방법 해당 미용교육프로그램을 실제로 평생학습기관에서 운영프로그램에 적용하려면 개발된 수업 자료와 계획서를 통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실핼 시에 개발된 교수자료와 함께 수업계획안을 바탕으로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실행하고자 한다. 수업방법은 이론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여성으로서의 동기와 흥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강사의 경험적인 이론을 동시에 제시하면서 진행하고자 한다. 수업을 위한 방법론으로 기본적인 시연과 실습이 이루어진다. 실습과정은 학습자의 문제해결을 도와줄 수 있도록 질의응답시간을 가지고,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중심으로 느낀 점도 중요한 요소로 볼 예정이다. 수업자료는 학습자의 동기와 이해를 쉽게 도울 수 잇도록 PPT를 활용하여 진행하며, 사진자료와 교육활동지를 통해 학습활동을 위한 인쇄물 자료도 사용하고자 한다. 차시별로 필요한 미용도구 및 보조도구를 준비하고, 상호실습을 통해서 손질법의 다양한 원리와 지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Ⅲ. 결론 1. 학습의 평가 본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외모관리행동의 필요성과 미용기술 방법을 학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용기술의 깊이를 배우는 심화프로그램은 아니라는 것을 먼저 말하고 싶다. 해당 평생교육프로그램이 당장의 기술을 주입시켜서 학습자가 기술을 익히고 취업이라는 성과를 이루어내는 결과 주의적 프로그램이 아니다. 과정적인 면에 좀더 초점을 두어 외모관리 행동의 필요성과 기술을 학습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에게 연결하여 흥미를 주고, 사후활동이나 다른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학습자에게 지속적으로 동기부여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이라 하고 싶다. 정민승, 유현옥 . 2018 . 「여성교육론」 . KNOU PRESS 이상훈 . 2019 . 「경력의 미래」 . 학현사 윤옥한 . 2017 .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실제」 . 양서원 신문희 . 2018.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프로그램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육학|
2022.05.12|
4페이지| 900원|
조회(1,313)
-
미리보기
-
-
평생교육론_평생교육의 등장 배경과 평생교육의 개념
-
Ⅰ. 평생교육의 등장 배경 1. 평생교육의 등장 배경 2. 학교교육의 한계점을 탈피한 평생교육 3. 사회의 변화에 따른 평생교육 Ⅱ. 평생교육의 개념과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 1. 평생교육의 개념 2.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 3.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의 상관관계 Ⅰ. 평생교육의 등장 배경 1. 평생교육의 등장 배경 인간은 교육을 벗어나 살 수 없으며,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볼 때에도 인간은 태어나고 죽으면서 까지 모든 것을 교육하고, 교육받으며 이것이 사회화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기관에서도 이루어지기도 한다. 평생교육은 현대사회의 지식중심의 사회로 도래하면서, 개인의 사회적 행위, 그리고 사회에서 지위 확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점차 지식이 그 중심요소로 변해가고 있다. 사람들 개개인의 가공을 통한 정보와 구조화라는 노력을 통해 지식이 전달되면서 인간의 하급은 혁신 가능한 존재로서의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일종의 사회 중심적 활동이 바로 교육이 된 것이다. 또한 정보가 디지털화 되면서 현실의 모사가 아닌 정보의 조합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는 수정이나 변조가 자유롭다. 이것은 정보의 축적이나 복제 및 변조 등이 쉬워지면서 자료를 소장하거나 암기하는 일이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것을 일컫는다.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의 인식론은 객관적인 진리와 함께 거대서사를 특징으로 근대의 인식론을 거부하였다. 2. 학교교육의 한계점을 탈피한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사회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기존의 교육체제에서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출발하게 된다. 평생교육의 등장배경은 학교교육의 한계점에서 시작되었는데, 전통사회에서는 소수의 사람들이 단순한 성격의 교육을 필요로 하고, 기존의 학교는 국가적인 목적으로 대중의 사회화 기제를 통한 위상에서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원하게 되는데, 기존의 학교는 학습자의 부족한 점을 채워주고, 학습의 경우 몸과 관련 없이 머리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모든 학생이 동일한 방식으로 배우는 기존 교육에서 학습은 교실에서 일어나면서 지식이라는 것을 분절적인 것으로 보고 오로지 경쟁을 통해서만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평생교육은 이러한 학교교육의 한계점을 탈피하고자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교육적 환경과 방법으로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3. 사회의 변화에 따른 평생교육 사회의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학습자의 위치는 기존의 개념과는 다르게 재조명된다. 교육의 시기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서 벗어나 평생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어가면서 생활세계의 지식이 교과내용에 많은 부분 수록하게 되었다. 교육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의 수준도 크게 높아졌고, 교육이 학교 교육이라는 한계를 넘어서 학부모와 학습자의 교육선택권이 이미 포괄적으로 행사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의 상업화와 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하는 학습형 동아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수요에 따라서 교육의 개념은 다변화되었으며, 이에 걸맞은 평생교육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학교교육을 탈피한 새로운 확장형 교육이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Ⅱ. 평생교육의 개념과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 1.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은 태어나서 유아기에서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활동을 포함하여 학교 안과 밖에서도 일어나는 형식적·비형식적 활동으로 평생에 걸친 교육을 의미한다. 사람은 가정이나 학교, 사회로부터 태어나면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개념으로, 평생교육은 학교에서 행해지는 정규교육과정 이외에 학력보완교육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문재해독 교육, 직업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인문교육 교육, 문화예술 교육, 시만 참여교육 등을 내포하는 것으로 모든 형태의 계획적·조직적 교육활동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학습능력은 20세 정도가 최고가 되고 노년기에 쇠퇴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인정해 왔지만, 인간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학적인 노화현상이나 정신적·지각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사회학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학습자의 사회적, 심리적, 인지적 특성인 인식이나 태도, 믿음과 같은 지적인 특성도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평생교육은 다시 말해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삶의 전반에 이루어지는 교육, 그리고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탈피한 교육, 사회계층을 위한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과 교육이 아닌 것으로 구분하는 질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평생교육 개념은 성인교육, 사회교육, 추가교육, 순환교육등과 비슷하지만 노동애서 벗어나 여가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유교육학습도 내포하기도 한다.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청소년, 이주민, 노인, 노동자, 농민 등을 평생교육의 주요 대상으로 보기도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방식의 평생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은 지역성과 공동체라는 2가지 측면이 주어지는데, 전자는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경우나 지역의 특성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컫는다. 공동체의 경우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이루어지거나 공동체와 무관하거나 파괴하는 경우로 보기도 한다. 지역공동체의 경우는 평생교육을 지향하는데, 지역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가치의 회복과 지연문제의 해결을 추구하는 이 밀착하여 욕구 충족을 위해 함께 지역을 변화하는 운동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제도를 벗어나 지역주민에게 새롭게 제기되는 욕구에 민감하고 신속한 반응을 보인다.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이 앞장서면서 지역 안에서 성장 및 상부상조가 가능하도록 지역공동체 지향적인 평생교육의 재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의 상관관계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은 평생교육을 통해서 습득한 지식이나 경험을 직접 지역공동체의 발전에 이비자하는 수단으로서 말한다. 평생교육을 집단적으로 실천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지역주민 간 긴밀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공동체의식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로 평생교육의 발전을 꽤하는 중요한 토대가 되며, 지역공동체는 학습과도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지역공동체에서의 학습은 학습이 지역공동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학습이 다시 지역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며, 지역공동체가 다시 학습의 소재 및 자원이 되는 것으로 지역공동체와 교육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공동체에서 평생교육의 흐름을 분석하고 지역주민이 이를 이끌고자 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윤여각, 정민승, 오혁진 / 2009 / 평생교육론 / KNOU PRESS 정민승, 허준 / 2017 / 평생교육경영론 / KNOU PRESS
-
교육학|
2022.05.12|
4페이지| 900원|
조회(1,338)
-
미리보기
-
-
현행 정부 공공기관(주민자치센터, 평생학습도시, 구청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분석 및 개선점 파악을 파악해주시기 바랍니다.
-
과목명: 노인교육론 주제 : 노인의 평생교육 현행 정부 공공기관(주민자치센터, 평생학습도시, 구청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분석 및 개선점 파악을 파악해주시기 바랍니다.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사회 노인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평생학습에 있어 노인교육은 노인학습자를 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 교육이란 1950년대 등장한 개념으로 노인평생학습은 좁은 의미로는 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지만 더 넓은 의미로는 노인을 위한 교육과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에 의한 교육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인다. 노년기에는 노화로 인하여 신체적으로 움직임이 둔해지고 근로능력이 떨어지게 되지만 빨라진 은퇴와 달라진 사회환경에 의하여 제2의 인생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노인 평생교육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거주하는 지역은 서울로, 서울에는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이 있었는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서울시평생학습포털을 조사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었으나 오프라인 교육도 진행되었다. 서울시평생학습 포털에서는 노인교육을 따로 명시하고 있지는 않았고 성인 대상 교육으로 표기하였으나, 어르신 교육이라고 표기된 교육이 있어 이것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그 외에는 노인대상의 교육은 아니지만 전연령 성인을 대상으로 하되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수업도 노인교육 프로그램으로 파악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Ⅱ. 본론 1. 지역사회 노인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1) 서울시평생학습포털 (1) 문해학습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여전히 노인들 중에는 아동기에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하여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노인들이 아동기 청년기였을 때는 전쟁과 전쟁 이후 복구를 위한 과정 중이었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특히 여성의 교육은 외면받기 일쑤였다. 과거에는 배움에는 때가 있다는 인식이 강했고, 또한 성인이 된 이후에 글을 읽고 쓰지 못한다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감추었기 때문에 문해학습의 기회를 얻기 어려웠다. 이러한 노인들을 위하여 평생학습포털에서는 성인기 기초 문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은 유소년기에 제대로 된 문해학습의 기회를 얻기 어려웠던 노인들에게 기본적인 학습의 발판이 되는 문해교육의 기회를 주어, 교육욕구를 해소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이미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노인들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프로그램이지만 아직도 많은 비문해자 노인들이 있는 상황에서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2) 재취업 빨라진 은퇴 시기와 길어진 평균 수명 때문에 많은 노인들이 은퇴 이후에도 제2의 인생을 위한 재취업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재취업 프로그램이 있었다. 어르신 취업 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바리스타2급 자격증 과정과 방역원 교육과정, 어르신 취업에 대한 슬기로운 직장행활, 취업진단이 있고, 주택관리사 자격증 시험, e정비사업 아카데미, 직업심리학, 전산회계 등의 수업과정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러한 자격증 과정을 통해 노인들에게 재취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상당히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은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을 전제한다는 측면에서 노년세대 중에서도 60대 가량의 노인층에게 적절한 직업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직업 교육이 한정적이라는 생각은 든다. 노인들이 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직업군들에 대한 기본교유기 확대되고 이러한 교육들이 사교육이 아니라 공공교육기관을 통해 노인복지의 차원으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니면, 노인복지관 등의 기관 접속을 통해 유료 교육 서비스를 무료로 지원할 수 있도록 부분적인 무료화를 진행하는 것도 노인평생교육에 있어 직업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한다. (3) 컴퓨터 사용능력 베이비부머 등의 기존에 우리사회를 이끌었던 세대가 10년 만에 노인세대에 진입하게 되었다. 이들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다루는 것에 익숙한 세대인 만큼, 이들의 니즈를 위해서인지 과거와 달리 기초 컴퓨터 교육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 소프트 워드 교육, 엑셀과 파워포인트 교육, 파이썬 교육, 스마트폰 어플 활용 교육,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 교육 등이 교육과정으로 제공 되어 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유튜브 1인 크리에이터를 선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노인세대들도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유튜브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유튜브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한 교육이 추가적으로 생겼다는 점이다. 이는 몇 년 전 교육과정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규 교육이다. 노인층이 변화함에 따라 노인들의 컴퓨터 기초 활용능력 위주였던 과거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변모하여 다양한 컴퓨터 활용 능력에 대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노인여성이면서 주목받는 유튜버이기도 한 박막례 할머니와 같은 노인 유튜버들이 생겨나면서 유튜버 관련 프로그램도 생겼다는 점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현재 사회의 변화를 따라 발전하고 있는 측면이라 생각한다. (4)외국어 교육 어학교육 프로그램도 진행되고 있다. 어학교육은 주로 영어와 일본어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영어는 일반 영어 회화와 비즈니스 회화 수업으로 이루어지며, 일본어는 일본어 능력 시험인 JLPT준비 과정 수업이 진행된다. 국제화 사회를 맞이하여 외국어 교육이 강조되는 이 시대에서 평생교육으로 외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상당히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경제적 형편 때문에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사교육에 비용을 지출하는 것을 큰 부담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이러한 평생학습관의 외국어 수업은 외국어 교육 욕구를 가진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쉬운 부분은 외국어에 대한 기본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전에 기본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이를 수료한 상급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현재 다시 외국어 초급과정을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는 자격증이나 비즈니스 회화와 같은 상급 과정 중심의 현재 교육과정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5) 인문교양 인문교양프로그램은 역사와 철학에 대한 수업이 주를 이루었는데 기본적인 역사철학에 대한 교양적 이해가 가능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상당히 눈에 띄였던 프로그램은 “브로드 웨이 뮤지컬의 이해”라는 강좌였다. 우리나라의 문화 역량이 높아진 만큼 일반인들의 공연과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뮤지컬의 메카라 할 수 있는 브로드웨이의 뮤지컬 시스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인문교양으로 다루는 수업을 참여하는 것도 흥미로운 일일 듯 하다. 또 한가지 예전에는 없었던 수업 중에 에너지교육에 관련된 수업도 발견할 수 있었다. 에너지로 바꾸는 세상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지는 이 수업은 현재 자원의 빠른 고갈과 미래에너지 개발이라는 중요한 변곡점에 있는 우리 사회에서 에너지의 절약과 새로운 에너지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한 상황에 적절한 교육이라 생각한다. 인문교양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노인을 위한 교육은 아니었고 성인교육으로써 노인교육이라고 넓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들이 관심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면 인문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Ⅲ. 결론 평생교육이 전생애교육으로 확대되어 실천되는 것은 기술과 정보의 유통 시기가 짧아지고 빨라진 현대사회의 변화, 인간의 평균수명 증가로 인한 재교육의 필요성, 기존의 학교 교육의 한계점에 대한 극복 및 추가교육 등과 연관성이 깊다. 교육부의 평생교육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전국의 평생교육원에서 1개월 이상 운영된 프로그램의 수는 194,772개로, 코로나19라는 판데믹 상황이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에서 온라인 교육의 확대를 증가시켜 91,850개의 온라인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서울의 평생학습포털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제공 하고 있다. 온라인 평생학습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평생교육은 그 연령층이 노인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 19세 이상 100세 미만의 성인으로 포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어르신 배움이나 노인 교육 등의 키워드로 찾은 학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레포트를 작성하였따. 은퇴 후에도 길어진 평균수명으로 인하여 노후의 건강한 삶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노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서울시평생학습포털(https://sll.seoul.go.kr/main/MainView.do) 교육부, 「2020 국가평생교육통계」, 교육부. 2020. 김한별, 평생교육론 , 학지사, 2010. 한우섭 외, 평생교육론 , 학지사, 2019.
-
교육학|
2022.05.04|
4페이지| 2,500원|
조회(2,334)
-
미리보기
-
-
노인교육학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볼 때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의 의한 교육으로 구분합니다. 이 세 가지 교육 중에서 노인의 관한 교육에 대하여 논해주시기 바랍니다.
-
과목명: 평생교육론 주제 : 노인의 평생교육 - 노인교육학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볼 때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의 의한 교육으로 구분합니다. 이 세 가지 교육 중에서 노인의 관한 교육에 대하여 논해주시기 바랍니다.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에 관한 교육 1) 개념 2) 필요성 3) 학습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대로 인하여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노년층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고령화시대에 접어 들었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년층 진입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다. 고령사회는 사회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청년층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노인교육학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노인교육학은 광범위한 차원에서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에 관한 교육, 노인의 의한 교육으로 구분하게 된다. 본론에서는 이 세 가지 교육 중에서 노인의 관한 교육에 대하여 그 개념을 살펴보고 필요성과 학습방법에 대하여 의견을 제언하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노인에 관한 교육 1) 개념 노인에 관한 교육(education about older people and aging)이란 아동에서부터 잠재적 노인까지를 대상으로 노화과정의 특성과 노년기의 과업 등 노화와 노인에 관한 지식과 그에 적응하거나 그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교육과정이다. 2) 필요성 (1) 세대갈등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지만, 개인의 경험이나 지식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세대 간의 변화로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다. 그중에서도 현재는 고령화사회로 급속하게 진입하면서 노인세대와 젊은이들 사이의 세대갈등이 빠르게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의 노인세대가 2-30대 젊은이였을 때 수용했던 가부장적인 가정체제와 사회적 규범 등은 현대 2-30대 젊은 세대와 큰 차이를 나타내다. 70-8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었고, 경제성장에 부응하여 누구나 직업을 갖고 일을 할 수 있었고, 가난하고 고생스럽더라도 열심히 일하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도시화와 산업화 현상의 초기였고, 가족간의 가치관은 농경사회적인 것이 주를 이루어 가족집단의 경험이 중요하고 노인이 집안의 어른으로 존경받던 시대였다. 하지만 IMF외환 위기를 거치고,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거친 현재 젊은 세대들의 경우 취업난과 스펙경쟁에 몰리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지식의 변화와 발달 속도가 빨라져 예전 세대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은 큰 가치가 없어지는 상황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개인적인 것들을 강조하게 되었고, 심각한 세대 단절로 심화되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중심이 되는 사회에서 노인들은 사회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는 존재가 되었고, 또한 근로능력을 상실하여 부양해야만 하는 존재, 현재 가치관에 따라가지 못하고 과거의 영광만을 강조하는 낡은 사상을 갖춘 부정적인 이미지의 존재로 파악되면서 노인세대와 젊은 세대와의 갈등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노인세대의 이런 이미지는 인터넷 등을 통해 전파되는 몇 가지 사례 등으로 굳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경험은 대체로 부정적인 것들이 많다.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정보인데다 인터넷이라는 간접적인 매체를 신뢰하여 파생하는 것은 부정적인 것을 넘어서 젊은 세대의 노인 혐오의 감정으로 발전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인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가치관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노화를 학습하면서 노인들의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된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빚어지고 있는 심각한 세대 갈등이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2) 노년기의 소비활동 고령층들이 늘어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산업 역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은 매년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이제는 결코 소홀히 여길 수 없는 분야로 발전하였다. 실버산업은 노인복지의 차원에서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노인이 아닌 세대들도 이러한 용품을 사용 하게 됨으로써 실버산업은 앞으로 지소적으로 확대될 산업 분야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에는 주목하지 않았던 소비자로서 노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노인에 관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3) 학습 방법 (1) 노화와 노년기 발달 과업 노인과 청년들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노화에 의한 변화이다.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에 변화가 오는데 생체의 노화는 자연적이며 필연적인 과정이다. 노화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상적은 변화로 모든 유기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진행되며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젊은이들의 경우 자신이 체감하지 못한 노화에 대한 이해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노인들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신체적으로 약해지고,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축소되는 경향으 보이게 되는 까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년기에 경험하는 생물학적 노화, 정서적 노화, 사회적 노화 등 다양한 노화의 경향을 학습하고 노년기에 이러한 노화를 성공적인 노화로 이끌 수 있도록 전생애 발달과업에 대하여 학습하여 노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베이비부머들이 본격적으로 노년기에 진입함에 따라 전 세계에서 유래없이 빠른 노화를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노인들에 대한 적극적 개입과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노화에 대한 이론 중에서도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언젠가는 늙어진다. 더욱이 길어진 인생에서 노년기에 대한 준비를 미리 할수록 건강하고 활기찬 노인기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노화와 노년기 발달 과업에 대한 학습은 현재 노인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활동인 동시에, 미래의 자신이 노인이 되었을 때를 준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해 국가인권위의 노인인권종합보고서의 조사에 따르면, 노인과 청년 세대 사이에 사회적 인식에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생들에게 실시한 노인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결과 경제적으로 의존적이다(57.6%), 가치관이 지금 시대와 맞지 않다(57.2%), 사회변화를 따라 가지 못한다(50.5%)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상당히 피상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인들에게 갖는 부정적인 이미지는 청년세대로 하여금 노인혐오를 하도록 부추긴다. 혐오의 감정은 노인과 청년세대를 넘어 각계각층으로 확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회적 편견에 대하여 정확히 짚어보고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Ⅲ. 결론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물질적인 풍요는 이루었으나 현재는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으로 급속한 고령화와 청년들의 만혼과 비혼 등으로 출산율은 낮아지고 있어 사회적으로 고령사회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현재를 잘 살아가는 웰 빙과 건강하게 나이 먹는 웰에이징 등의 개념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삶은 분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차이는 있어도 나이에 따른 발달 단계를 거쳐 노화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교육은 비단 노인에게만 그 가치와 중요성이 있는 교육이 아니다. 특히 노인에 관한 교육은 노화와 노인의 발달과업 등의 노인세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변화한 사회를 수용하는 평생교육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노인교육은 노인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줄여 세대간의 갈등을 줄이고, 또 한편으로는 늘어나는 노인 세대를 소비자로 인식하여 실버산업의 육성의 근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교육은 노화를 고령자의 문제라고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 과정이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나이먹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청년층에게는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아름답게 삶을 마무리 할 기회를 주는 것이고, 노인층에게는 스스로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한별, 평생교육론 , 학지사, 2010. 한우섭 외, 평생교육론 , 학지사, 2019.
-
교육학|
2022.05.04|
4페이지| 2,500원|
조회(2,316)
-
미리보기
-
-
부모교육에 대한 자신의 견해
-
REPORT 부모교육에 대한 자신의 견해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부모교육의 개념 2. 부모교육의 필요성 3. 부모교육을 실시할 때 제시하는 부모교육의 목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최근 상담 예능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육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을 위해 맞춤형 처방을 제공해주는 육아상담뿐만 아니라 성인 게스트들의 사연과 고민을 들어주고 풀어가는 상담 프로그램까지 인기다. 이러한 상담 프로그램이 왜 인기가 있을까? 시청자들은 전문가의 상담을 보며 힐링이 된다고 한다. 사연자의 모습에서 어린 시절 자신의 모습을 떠올려보며 현재의 나를 되돌아보기도 하고 그동안 부모님에게 알게 모르게 받았던 상처를 깨닫고 알아차리며 그 상처를 치료해 나가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을 보다보면 부모의 작은 노력 하나로 아이가 얼마나 큰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는지,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가 한 사람의 인생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 등을 알 수 있다. 어떤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지만 그 어떤 일보다도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육아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없었다. 즉, 부모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의도치 않게 실수를 하기도 하고 아이에게 상처를 주고받으며 육아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부모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에 대해 기술하며 부모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와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부모교육의 개념 부모교육이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부모의 이해와 지식을 증진시킴으로써, 부모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이를 토대로 부모 스스로 효과적인 자녀 양육 방법과 기술을 개발하여 자녀에게 실천하고 적용하도록 지원해주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말한다. 즉 부모의 효율적인 부모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에게 제공하는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부모교육의 대상이 부모, 조부모, 교사, 아동 관련 현장 조사자, 부모가 될 청소년을 포함한 예비 부모 등으로 광범위해졌으며 부모-자녀 관계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에서는 자녀도 그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이 다양해져 부모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단순하게 교육하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지도와 기술 훈련 및 집단상담의 과정도 포함하며 궁극적으로 부모가 자녀의 발달과 교육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 부모교육의 필요성 전통사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녀양육과 부모역할의 수행은 성인의 주요 발달과업 중 하나로 강조되어 왔다. 자녀의 성장에 따라 부모역할의 특성은 변화하게 마련이며 가정의 모습 역시 늘 동일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화와 갈등을 경험하게 되면서 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에 적극적 재적응을 요구하기도 한다. 부모교육은 그 사회의 역동성과 부모역할의 현대적 특성을 담아내는 거울이자 부모 지원을 위한 그 사회의 정책과 제도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 제시해주는 나침반이 되어주기도 하기 때문에 중요하고 볼 수 있다.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가족 가치관의 변화이다. 결혼과 이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등의 변화로 자녀 중심의 개별 가족 중심 생활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관심과 기대 수준이 상승함으로써 부모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둘째, 가족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가족을 위한 부모역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가족형태의 변화로 요구되는 부모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부모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급격한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정에서는 부모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맞춤형 부모역할이 필요하다. 셋째, 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급격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민감한 시기인 생에 초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즉, 부모들이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과정에서 이들에 관한 지식, 정보, 기술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면서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아이들은 한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닌 사람과 관계를 맺는 인간 사회에서 살아갈 존재이다. 그런 아이들이 처음 관계를 맺는 공간이자 깊고 큰 관계를 맺으며 가치관을 형성하고 성장, 발전하는 공간이 바로 가정이다. 그 과정에서의 부모의 역할과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부모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넷째, 사회문제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저출산, 고령화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양산하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문제해결에 필요한 부모교육은 국가차원에서 실시해야 할 시점이기도 하다. (3) 부모교육을 실시할 때 제시하는 부모교육의 목표 부모교육의 목적은 첫째, 새로운 지식과 그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아동관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아동이란 인격적인 존재, 가능성의 존재, 독자적인 존재로 보고 생의 초기부터 아동의 잠재능력을 자극하거나 촉진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부모교육은 아동 개인에게 적합한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권장하고 아동 본질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둘째, 현대 사회가 지향하는 효과적인 자녀양육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현대 젊은 부모들은 양육경험이 부족하며 양육경험의 부재로 적절한 모델도 적다. 또한, 바람직한 부모역할에 대한 상충적인 정보가 공존하므로 새로운 지식과 정보로부터 제안된 효과적인 양육방법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과 학습이 필요하다. 셋째, 자녀의 사회 적응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다.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와 덕목을 실천하도록 양육하는 것이 자녀의 사회 적응력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부모가 자신감을 갖고 자녀 양육에 임할 수 있게 해 준다. 넷째, 부모교육을 통해 아동발달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아동의 성장 및 발달과정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지식이 부족하므로 부모교육을 통해 아동발달에 관한 기본원리와 발달 특징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자녀를 과학적으로 지도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자녀와 효과적인 상호작용 기술과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부모들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쳐 주고, 자녀와 애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며 민주적이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을 실천하도록 도와준다. 여섯째, 자녀의 건전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발달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가정의 심리적.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자녀의 문제 가능성을 예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곱째, 부모는 자신의 내적 성장과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켜 자녀와 함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자녀를 양육할 때 올바른 교육철학과 방향을 가지고 내 자녀의 특성을 고려한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부모교육은 자신뿐만 아니라 아이와 함께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Ⅲ. 결론 본 과제를 통해 부모교육의 개념, 필요성, 목표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절대적이며 우주와 같은 존재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은 가장 사랑하는 부모에게 가장 많은 상처를 받는다. 그리고 때로는 그 상처가 한평생 지속되기도 하므로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부모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올바른 부모 역할을 인식하고 자녀를 부모의 소유의 존재가 아닌 하나의 권리 주체로 인정하여 긍정적 발달을 위한 양육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동의 발달적 수준이나 능력을 무시한 과다 기대, 학업 스트레스로 심리적 불안을 주거나 아동에 대한 몰이해와 병리적 행동으로 학대를 하거나, 과도한 방임 등은 아동의 인권을 침해하는 행동이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들은 아이들에게 씻을 수 없는 깊은 상처로 남게 된다. 최근 지속적인 학대, 방임 사건 등이 끊임없이 보도되고 있다. 급격히 변화하고 다양하게 분화되는 현대사회에서 부모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주변을 보면 부모교육에 대한 홍보나 실천은 미비한 수준인 것 같다. 실제로 아이를 양육하고 있지만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본 강의를 통해 처음 제대로 접했다. 부모교육 강의를 들으면서‘부모교육을 미리 받고 아이를 준비했더라면’, ‘출산 전부터 영유아기 양육할 때 부모교육을 체계적 받았더라면 좋았을텐데’라는 아쉬움이 계속 남았다. 이제는 부모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전문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자를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로만 한정시키지 않고 모두가 올바른 부모됨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 모두 안정적인 유대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상담 프로그램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지옥정, 권이정, 정재은, 최미순 / 부모교육 / 창지사 / 2021.04 이연승 / 부모교육 / 공동체 / 2020.02 이재연, 황옥경, 이완정, 한유미, 김연하, 문의정 / 부모교육 / 파워북 / 2019.10
-
사회과학|
2022.05.03|
4페이지| 3,000원|
조회(2,298)
-
미리보기
-
-
평생교육의 역사와 개념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
서론 인간의 일생에서 교육이 끝나는 시기가 있을까? 선사시대의 단순한 기호, 상형문자에서 오늘날 인간은 수 백 개의 언어와 첨단기술을 향유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문명의 발전을 이끈 힘은 바로 교육이다. 선대의 지혜를 후대에게 계승하며, 그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끊임없이 인간의 지식은 발전되어왔다. 이렇듯 인간사는 교육 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거대한 인간사의 흐름 뿐 아니라, 개인의 일생에서도 교육은 태어난 순간부터 죽기 전까지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학습을 통해 발전하고자 하고, 그는 교육에 대한 욕구로서 발현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탄생한 것이 평생교육 의 개념이다. 평생교육의 정의는 인간의 질 높은 삶을 위하여 태교에서부터 시작하여 유아, 아동, 청년, 성인, 노인교육에 이르는 수직적 교육과 가정, 학교, 사회교육을 수평적으로 통합한 교육을 총칭한다. 즉, 누구에게나, 어느 때에나, 어느 장소에서나 (Anyone, Anytime, Anywhere)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의 장이 제공되어 인간이 교육을 통해 삶의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개인의 잠재능력이 교육을 통해 최대한으로 신장되고, 그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적인 동시에 비형식적인 학습 활동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러한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수요에 따라 현재 많은 지자체들은 평생교육학습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따라서 지역사회 구성원이 평생교육을 접할 수 있는 통로도 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이 레포트는 평생교육의 역사와 개념에 관해 알아본 후 필요성에 관해 기술해보고자 한다. 본론 1. 평생교육의 역사와 개념 평생교육이란 용어는 UNESCO 성인교육추진 국제위원회에서 1965년 랑그랑의 평생교육 연구보고서 제출로 인해 등장했다. 이후 1972년 세계성인교육회에서 국제적인 용어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는 춘천에서 1973년 열린 평생교육발전 세미나에서 평생 교육발전에 관해 논하였고, 1982년 사회교육법이 공포되어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1988년 평생교육법이 제정되었고 2000년 3월에 시행령이 공포되어 시행에 들어갔다. 평생교육이란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주기 위한 교육이념으로 유아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노인교육, 등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활동의 수직적 통합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등으로 각기 다르게 전개되는 형식, 비형식, 무형식인 교육활동의 수평성 통합을 통하여 “삶이 곧 교육”인 “학습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활동이다. 평생학습은 교육의 수요 측면으로서 종전의 교육공급자 중심의 교육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학습을 의미한다. 교육공급자란 교육자를 의미하고, 수요자란 학습자를 의미한다. 즉 평생학습이란 국민의 자질함양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든 형태의 수요자 중심적 활동이다. 여기에서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교육을 받는다는 개념보다는, 학습자에게 학습의 기회가 제공되고 학습활동을 지원받는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요컨대 평생학습은 개개인이 주체적 학습자가 되어 평생에 걸친 학습생활을 주체적으로 관리하도록 국가와 사회가 지원하는 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평생교육의 필요성 평생교육은 현대의 교육위기를 극복하고, 사회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지향한다. 또한 구성원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일생 동안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오늘날 정부 주도 하에 국내 다양한 지자체에서 평생교육학습 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평생교육의 의의를 잘 살리고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평생교육은 지역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평생교육의 직접적인 영향에는 학습 기회의 증가, 참여의 증가,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기회의 증가 등이 있다. 특히 다수의 분석 결과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지역발전, 직업능력의 향상, 인적자원의 차별화를 가능케 했다는 것도 주목할 만 하다. 또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자체를 향상시키며,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과 생태학적 이해의 측면에서도 평생교육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보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보면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의 측면이 있다. 한 지역이 성공적으로 지구화, 지역화 되려면 경쟁력을 가진 유능한 인적자원이 있을 때 가능하다. 즉 지역의 경쟁력은 물질 경제적인 차원과 사회 문화적인 차원의 두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데, 고용가능성 과 관련한 자원은 기본적으로 연구와 개발에 대한 투자로 증진될 수 있으나 시민정신의 사회문화적인 수준은 지역의 시스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체제 및 교육과 관련된다. 지역의 인프라를 얼마나 사회적으로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구축하느냐가 결국 어떠한 인적자원을 배출해내는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평생교육은 특히 후자의 경우에서 큰 영향을 미친다. 결론 지금까지 평생교육의 역사와 개념에 관해 알아본 후,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역사회 내에서의 평생교육이 활성화되려면 지역사회 내 평생학습기회 제공 주체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역사회 내 평생교육 관련 주체 간의 네트워크는 그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체의 자원을 교류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교육에 투입되는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또한 협력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활성화의 구체적인 방식으로는 그러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법제적 조건 정비, 지역단위의 평생학습 네트워크 사업 추진, 지역사회 내 평생학습 네트워크 촉진 문화 조성 등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네트워크 참여 기관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다. 대다수의 지역사회 내 평생교육 제공기관은 상호 관련성이 없거나 경쟁적인 관계일 경우가 많다. 이 같은 기관이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신의 장점과 자원을 제공하고 번거로움과 희생을 감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참여주체 간의 신뢰관계 형성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평생교육 관련 조례를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네트워크 활성화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이환호, , 청주지역사회교육협의회, 2007 양홍권, , 人力開發硏究, 2007 현영섭, , 한국평생교육 제1권 제1호, 2013
-
사회과학|
2022.05.03|
3페이지| 5,000원|
조회(2,288)
-
미리보기
-
-
2022 아주대학교병원 최종합격 자기소개서(합격인증)
- 자기소개서|
2022.05.22 |3페이지|
4,000원|조회(97)
-
-
-
2022 부천순천향대학교병원 최종합격 자기소개서(합격인증)
- 자기소개서|
2022.05.22 |4페이지|
3,500원|조회(92)
-
-
-
2022 간호 부산대학교병원 최종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2 |3페이지|
3,500원|조회(86)
-
-
-
2022 간호 동아대학교병원 최종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2 |3페이지|
3,500원|조회(86)
-
-
-
[합격 인증+스펙] 2022년도 용인세브란스병원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1 |3페이지|
3,000원|조회(84)
-
-
-
[합격 인증+스펙] 2022년도 가천대길병원 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1 |6페이지|
2,500원|조회(43)
-
-
-
[합격인증, 스펙] 2022년도 인천성모병원 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1 |6페이지|
3,000원|조회(43)
-
-
-
[합격, 스펙] 2022년도 성빈센트병원 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1 |4페이지|
3,000원|조회(82)
-
-
-
[합격인증, 스펙] 2022년도 부천성모병원 면접준비 자료 및 후기
- 자기소개서|
2022.05.21 |13페이지|
5,000원|조회(43)
-
-
-
[합격인증, 스펙] 2022년도 부천성모병원 합격 자기소개서
- 자기소개서|
2022.05.21 |5페이지|
4,000원|조회(79)
-
-
-
[연세대 최종합격 인증] 2022 전기 연세대, 서강대 상담심리 교육대학원 학업계획서 (비전공자)
-
학교|
2022.05.14|
9페이지| 7,000원|
조회(192)
-
미리보기
-
-
2022년도 고려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최초합격 자기소개서
-
학교|
2022.05.08|
4페이지| 4,000원|
조회(195)
-
미리보기
-
-
2022년도 포스텍(포항공대) 최초합격 자기소개서
-
학교|
2022.05.08|
4페이지| 4,000원|
조회(302)
-
미리보기
-
-
2022년도 카이스트 합격 자기소개서
-
학교|
2022.05.08|
5페이지| 3,000원|
조회(302)
-
미리보기
-
-
건국대 국제무역학과 최초합격 자소서
-
학교|
2022.04.29|
4페이지| 5,000원|
조회(308)
-
미리보기
-
-
덕성여대 약학과 합격자 자기소개서
-
학교|
2022.04.12|
2페이지| 4,000원|
조회(314)
-
미리보기
-
-
숙명여대 약학과 지원 자기소개서
-
학교|
2022.04.12|
3페이지| 4,000원|
조회(289)
-
미리보기
-
-
[수시][대입]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자기소개서 1, 2, 3, 4번 자기소개서 샘플입니다.
-
학교|
2022.04.12|
5페이지| 4,000원|
조회(741)
-
미리보기
-
-
2020학년도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서류합격 자소서
-
학교|
2022.04.11|
4페이지| 3,000원|
조회(952)
-
미리보기
-
-
동국대학교 합격자소서 4번 예시
-
학교|
2022.03.31|
1페이지| 2,000원|
조회(955)
-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