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46)
  • 리포트(41)
  • 시험자료(3)
  • 논문(2)
EasyAI “이영보래” 관련 자료
외 14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영보래" 검색결과 1-20 / 46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어음운론
    체계 중, 당시 현실성이 없는 한자음 표기 즉 이영보래(以影補來)에 쓰이던‘ㆆ’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ㆆ’이 음가상으로‘ㅇ’과 분명히 구별되지 않았기 때문이고, 합자해(合字
    리포트 | 4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3.12.01
  •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자ㅋㅌㅍㅈㅊㅿㅇㅎ위의 자음 체계에서 16자로 실려 있는 이유는 이영보래(以影補來)에 쓰이던 ‘ㆆ’이 빠져 있다. ‘ㆆ’는 음가상 ‘ㅇ’과 비슷하여 합쳤기 때문이다.이후 [훈몽자회
    리포트 | 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0.11.26
  • 『동국정운(東國正韻)』 한자음의 종성 ‘ㅭ’·‘ㅱ’ 고찰 - ‘ㆆ’·‘ㅇ’을 중심으로 (A Study on ‘ㅭ’ and ‘ㅱ’ of The Dongguk Jung Woon(東國正韻) - Focusing on the Sound of ‘ㆆ’ and ‘ㅇ’)
    『동국정운』의 체제와 수록자의 선정은 『고금운회거요(古今韻會擧要)』를 바탕으로 하지만, 음운체계는 한어 중고음(漢語中古音)을 따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동국정운』 한자음의 종성 ‘ㅭ’과 ‘ㅱ’은 한어 중고음의 입성운미 /-t/와 음성운미 /-u(w)/에 해당하며, ..
    논문 | 3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5 | 수정일 2025.06.17
  • 『東國正韻』 以影補來의 표기 원리와 목적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Yi-yeongbo-rae (以影補來) Transcription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박철민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12 | 수정일 2025.05.18
  • [국어발달사연구] 시험 대비 압축 요약
    군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또한 동국정운식 표기라 하여 한자음을 최대한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도록 하였다. 이영보래라 하여 ㆆ으로써 ㄹ을 보충한 것을 들 수 있다. 가령
    시험자료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1.05.13
  • 훈민정음,동국정운 그리고 한글창제반대상소에 대하여
    에서 바로 잡으려고 한 것(4) 이영보래ㄴ. 최만리의 반대상소(1) 한글창제 반대상소에 대하여(2) 한글창제 반대상소에 대한 다른 시각2. 문제【참고문헌】제출자 :제출일 :훈민정음 ... 된 『법화경언해』의 한자음 표기부터 차츰 쓰이지 않다가, 1496년에 간행된 『육조법보단경언해』와 『진언권공』에서는 완전히 전승 한국한자음만을 한글로 주음했었다.(4)이영보래‘동국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5.09
  • 삼강행실도 효자편 누백포호(루백포호) 형태소 분석
    -이다ㅇㆍㄽ: 다ㅇㆍ-(다ㅇㆍ다: 다하다) + -ㄽ(관형사형 어미의 명사적 용법 ㄹ + ㅅ이영보래 ㆆ대신 쓰인 ㅅ)업도다: 없- + -도다(감탄어미): 자음군 단순화負土?야 日加塚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10.23
  •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이고, 17자는 이영보래라 하여 ㆆ를 인정하고 이를 ㄹ에 덧붙여 [ㄹㆆ]으로 입성을 표기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고유어와 여기에 동화된 전통 한자음에서 ㆆ이 없어지게 된다.ㅇ는
    리포트 | 5페이지 | 5,500원 | 등록일 2018.05.08 | 수정일 2019.05.16
  • [고전문법][음운론]소실음운에 대하여 (고전문법)
    ? 하??한자어 표기에는 음가 없는 ‘ㅇ’(현대발음으로 모음) 뒤 ? 快ㆆ字?③ 한자음의 초성 : 동국정운식 한자음에만 사용 ? 音?, 安?, 於?, 一?④ 이영보래(以影補來 ... ) : ‘ㄹ’종성을 가진 모든 한자의 중국음은 ‘ㄷ’이었기 떄문에 ‘ㄹ’뒤에‘ㆆ’을 더하여 ‘ㄷ’발음을 표시한 것.(입성부호)예) 日?, 月웛, 成?, 發?이영보래(以影補來)㉠ ‘影?’자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8.10 | 수정일 2016.12.20
  • [국문학]중세어문법
    을 붙인다.(3) ‘ㄹ’받침으로 끝나는 한자어는 반드시 ‘여린 히읗’을 붙인다. 이 것을‘이영보래’ 라고 한다우리의 현실적 한자음 중 ‘ㄹ'로 발음되는 말들은 중국에서는 모두‘ㄷ
    리포트 | 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4.10.01
  • 여린히읗의 변화
    에 있어서는 ‘ㄹ’로 변했는데, 그 후 촉급한 입성의 본 질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그들은 이 완이한 ‘ㄹ’음에 입성다운 촉급감을 부여 하기 위하여 “이영보래”( )하게 된 것이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0.25
  • 중세국어-훈민정음의 17 초성체계와 15세기 및 현대의 자음
    된 『동국정운』에서 이영보래라고 하여 '-ㄷ'종성 대신에 '-ㅭ'형을 쓰도록 규정하게 되었다. 이는 현실 한자음은 ㄹ이지만 ㆆ을 병기함으로써 본래 중국 한자음은 입성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5.01
  •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
    으로서 영모에 해당하는 기능,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 위한 이영보래의 표기를 위한 기능으로 쓰였다.1. 논의 과제의 국어학적 가치중세국어 후음의 ‘ㆆ’은 현재에 쓰이지 않는 특이 ... 느낌을 주기 위하여 [ㅎ]로[ㄹ]을 깁게 된 것이다.(이영보래) 그런데 이것도 앞에서 말한 바 소위 교정음이다. 그 당시의 /ㄹ/끝소리가 오늘날의 /ㄹ/끝소리와 달라서, 특히 그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6.05
  •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에 대하여
    다’고 설명해 놓은 글자로, 동국정운식 교정음으로서 ‘영모’,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위한 ‘이영보래’, 사잇소리 표기, 관형사형 어미 ‘-ㄹ’에 붙어 뒤에 오는 초성을 된소리로 만드 ... 다. (용자례에서는 ‘고유어’를 예로 들었기 때문)(2) 'ㄹ'에 입성의 효과를 주기위한 이영보래의 표기「훈민정음 - 종성해」“如入聲之?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 若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 임용고시 문법정리3(중세문법)
    의 영모자 표기를 위해 쓰임└이영보래 (不?, 八?)→ㄹ다음에 ㆆ을 표기함으로써 입성으로 발음하라는 표지?‘ㅇ’1) 음가X┌①국어의 초성 : 단어의 첫음절이 모음임을 나타내거나 음절
    시험자료 | 67페이지 | 9,500원 | 등록일 2016.08.26 | 수정일 2016.09.05
  • 9.중세국어문법
    자 표기를 위해 쓰이기도 했다. 또한 이영보래(以影補來)의 표기로 한자어 ‘ㄹ’뒤에 쓰여 입성(ㄷ발음)효과를 주었다.‘ㅇ’은 단어의 첫음절이 모음을 나타내거나, 단어 중의 두 모음
    리포트 | 1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8.14
  •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 받침 ㄹ이 유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ㆆ을 붙임(이영보래)7)뵈요리라 ; 뵈-+-오-(→요)+-리-+-라 : 보이려고8)펫더니 ; 프-+-어#잇-+-더-+-니 : 피
    리포트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17
  • 중세국어문법 정리
    고문법교육론 표준중세국어 문법Ⅰ. 문자와 말소리(음운)1. 문자1.1 개관(1)명칭① 문자체계의 명칭 :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한글② 책이름:《訓民正音》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해례본(=한문본): 예의(例義) / 해례(解例) / 정인지의 서└예의본(..
    리포트 | 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2.05.17 | 수정일 2016.04.27
  • 국어음운론 - 소실문자 ㅸ과 ㅿ에 대하여
    다 폐지되고 곧 현실 어형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이런 표기법이 만들어진 것은, 예컨대 남부 방언의 ‘열븐’과 중부 방언의 ‘열운’을 《동국정운》의 ‘이영보래(以影補來)’ 식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5.25
  • [중세국어강독]석보상절 해석
    ’ 은 음가가 없음)→이영보래(以影補來) : 현실음이 ‘ㄹ'로 끝나는 한자의 경우 ‘ㆆ’을 보충하여 ‘ ’로 적어 입성임을 표시함예: 月?, 日?? 성조(聲調)­ 성조란 소리의 높낮이 ... )) ?야미 가칠[가치-ㄹ] 므러 즘겟가재 연? 니 (용비어천가 7)八?(이영보래)?이영보래: 현실음이 ‘ㄹ’로 끝나는 한자의 경우 ‘ㆆ’을 보충하여 ‘ㄹㆆ’로 적어 입성임을 표시함?어 ... 시니이다→‘샤’는 모음 어미 앞에서 실현된다. 예) 定?샨說?(이영보래)?그?: 그(지시대명사) + 때?文문殊쓩師?利링문수사리 + zero주격世?솅尊존??:???샤??부텻일?훔?과本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02.2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