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26)
  • 리포트(22)
  • 논문(2)
  • 시험자료(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몽어노걸대" 검색결과 1-20 / 26건

  • [국어사개설] 7. 근대 국어 - 요약 정리
    대전고금석림』의 일편임.11) 『첩해몽어』(정조 14년, 1790년)① 몽골어 학습서(4권)② 영조 13년(1737년)에도 간행된 바 있었음.12) 『몽어노걸대』(정조 14년 ... , 1790년)①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를 몽골어 학습서로 개편한 책② 영조 17년(1741년), 영조 42년(1766년)에도 간행된 바 있었으나 전하지 않음.(4) 19세기 역학서1 ... 에 들어서는 완전히 폐용되었음.② 17세기에 나타나는 ‘ ㅿ’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중간두시언해』, 『노걸대언해』③ 그 결과 17세기의 문자 체계는 사실상 25자 체계가 되
    리포트 | 2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12.20
  • 조선시대의 교육 용어정리
    . 사학의 훈도는 성균관의 관원들이 겸임하였다.2. 노걸대(老乞大): 조선시대에 역관(譯官)들의 외국어 학습 및 역과시(譯科試)용으로 사역원에서 간행한 중국어 학습서.3. 박통사(朴 ... 通事): 조선 시대에 『노걸대』와 더불어 대표적인 외국어 학습서로 꼽혔던 책이다.4. 직해소학(直解小學): 고려 말과 조선 시대에 널리 보급되었던 한어(漢語) 학습서 가운데 하나.5 ... )에서 사용한 일본어 교과서의 하나.7. 첩해신어(捷解新語): 조선 중기의 사역원(司譯院) 역관(譯官) 강우성(康遇聖)이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편찬한 책.8. 첩해몽어(捷解蒙語
    리포트 | 18페이지 | 2,900원 | 등록일 2020.11.23
  • 근대국어의 특징과 음운사 (음운의 변천)
    ), 중간삼강총 해(1774), 소아론, 팔세아(1777), 동문류해(1748), 한청문감, 몽어노걸대(1741), 첩해몽어 (1737), 몽어류해(1768), 방언집석(1778), 고금 ... 행실(1617), 가례언해(1632), 화포식언해(1635)- 17세기 후반 자료: 벽온신방(1653), 경민편언해(1656), 어록해(중국의 속어 주해)- 역학서: 노걸대언해 ... ), 무예도보통지언해(1790), 증수무원록언 해(1792), 동몽선습언해(1797) 등- 18세기 역학서: 역어류해보(1775), 개수첩해신어(1748), 청어노걸대신역(1765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8.03.07
  • 한국어어휘교육론-한국의 전통적 어휘교육 교수법에서 수정·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된 서간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첩해신어』나 『몽어노걸대』와 비슷한 체제로 한글 발음 표기가 병기되어 있다.유해류는 사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미 분야별로 어휘를 나누어 분류사전 ... 』나 『몽어노걸대』가 지니고 있는 번역식 수업의 한계를 보충해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역어유해』의 경우는 조금 앞서 된 『노걸대언해』와 『박통사언해』의 예를 따라 발음을 정음과 속음 두 ...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몽고어, 만주어, 왜어, 한어 등 주변의 네 언어를 교육하기 위한 교재가 개발되었다. 교재는 ‘첩해, 노걸대’의 독본류(회화책), ‘유해’의 사전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6.02.16
  • 근대국어 자료 (a+발표자료)
    : 팔세아, 소아론 개간본ⓒ 영~정조: 한청문감(15권) - 한어? 청어? 국어사전, 제증청문감을 대본으로 함㉱ 몽학서(몽고어학)ⓐ 몽어노걸대: 영조 17년(1741), 영조 42 ... : 당시의 北京官語)사전*몽어노걸대: 몽고어 회화책. 조선 후기 사역원에서 역관들의 학습 및 역과시용으로 간행*첩해몽어: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몽학서(蒙學書)의 하나*몽어유해: 조선시대의 몽골어 어학서, 훈장(訓長) 이억성이 1768년(영조 44)에 간행 ... )② 현종: 남이성의 수정 주관 및 정양의 발문이 붙은 책(1669)③ 숙종㉠ 노걸대 언해(2권,1670), 박통사언해(3권, 1677) : 개역본. 역사서.㉡ 첩해신어(10권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3.03.29
  • 동화에 대하여/국어학개론/동화의 범주, 정의/구개음화,움라우트,비음화(자음동화),설측음화,모음조화
    - 『번역노걸대』,『노걸대언해』,『몽어노걸대』,『청어노걸대』를 비교하여『번역노걸대』에서의 음절말 ‘ㅅ’은 17세기 『노걸대언해』와 18세기 『몽어노걸대』와 『청어노걸대』에서 뒤 ... 에 따라오는 자음의 조음 위치에 따라 조음위치(調音位置)의 동화(同化)현상을 보이기도 한다.(1) 설음 ‘ㄷ’이 연구개음 ‘ㄱ’으로 동화 변화는 『번역노걸대』의 음절말 ‘ㅅ’이 17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0.31
  • 근대국어의 특징
    되었고, 청학서들은 숙종 연간에 정리되어 숙종 30년(1704)에 간행을 보았다. 몽학서인 몽어노걸대는 영조 17년(1741), 영조 42년(1776), 정조14년(1790)에 세 ... 한 것으로는 효종 8년(1657)의 것과 현종 10년(1669)의 것이 있다. 숙종 때는 역학서들이 많이 전하고 있다. 노걸대언해(1670), 박통사언해(1677)는 새로운 개역본이 ... 다. 동국신속삼강행실, 중간두시언해, 노걸대언해 등 중세국어 문헌의 영향을 받은 책들에는 ‘ㅿ’이 간혹 나타난다.근대 정서법상의 혼란 중 주목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어두 합용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0.02
  • (우리말의역사)한국어의 계통에 관한 한편의 논문을 찾아읽고 그 내용을 요약
    있는 『몽골비사』, 『몽어노걸대』, 『몽어유해』, 『첩해몽어』 등에도 귀중한 비교 어휘 자료가 많이 있어서 앞으로 연구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몽골어와 한국어의 명사의 준
    리포트 | 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1.03.23
  • 15세기 국어의 시제법
    ? 諂(첨)?다 ??다(논어언해 1:25)17세기ex) 이 ?은 믈 잘 먹고 이 ?은 믈 머기 쟉게 ?다 (노걸대언해 상31)18세기ex) 네 아지 못?다(몽어노걸대 3:17)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6.24
  • [어학]고영근의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근대국어 요약
    , 정조 초년 무렵으로 추정되며, 이조 청학의 최후 최대의업적. (파리 동양어학교, 일본 동경대학 소장)⑩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8권), 첩해몽어(捷解蒙語)(4권), 몽어유해(蒙語類 ... (譯語類解補)(1775) : 한학서(漢學書)⑥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1748) : 왜학서(倭學書), 그 중간본(1781)이 간행.⑦ 청어노걸대신석(淸語老乞大新釋)(1765 ... (小兒論)(1권), 삼역총해(三譯總解)(10권), 청어노걸대(淸語老乞大)(8권) 등은 현재 전하지 않고, 그 개간본으로 이들이 전한다. (대영 박물관 소장)⑧ 동문유해(同文類解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23
  • [국어학]노걸대류 및 박통사류의 해제
    언해》, 《중간노걸대언해》, 《신석노걸대언해》가 있다. 또한 한어(漢語) 이외에 《몽어노걸대》, 《청어노걸대》도 있으며, 이는 모두 역대 역관들의 교본이었다.‘걸대(乞大)’는 중국 ... 는데, 《노걸대신석》의 저자 김창조와 변헌이 자신들의 저서를 번역한 것이다.한어 이외로 몽어노걸대는 조선시대의 몽골어 학습서이다. 이최대가 엮어 간행한 것으로, 몽골어를 국문으로 대역 ... 1, 노걸대류 에 대한 해제를 쓰시오.조선 전기의 중국어 학습서이다. 저자·연대는 미상이나, 최초의 저작연대를 명(明)나라 초기로 보고 있다.고려의 상인이 인삼 등 한국 특산물
    시험자료 | 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2.12
  • [국어음운론] 국어음운변화
    범위하게 나타나게 된다.6. ㅂ 자음군석보상절 의 ㅂ 자음군은 번역노걸대 에 잘 보존되어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노걸대언해 와 18세기 몽어노걸대 와 청어노걸대 에서 ㅂ 자음군 ... 어미 -긔 가 -게 와 합류하기 시작하였다.번역노걸대 의 -ㅢ 가 노걸대언해 , 몽어노걸대 , 처어노걸대 에서 -에 로 표기되었는데, 이것은 17세기에 처격 어미 -ㅢ 는 -ㅔ 와 ... 된다.예) 그리어 그려두어라 둬라트이다 틔다보아라 봐라◎자음체계의 변천번역노걸대 는 15세기에 쓰이던 네 자 음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석보상절 의 자음체계를 대체로 유지하고 있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6.14
  • 음운론 정리
    고, 몽어 노걸대 (1741-1790)에서 양순음 다음 /ㅡ/는 완전히 /ㅜ/로 바뀐다.노걸대17C 중기하나 머무러두언 중간머물리오역어유해(1690)므지게, 믈, 븟?믈위, 믈러나다,믄허 ... 노라, 곧미틔셔, 엇고져원간에는 15C 표기법이 그대로 지켜지나, 중간에는 혼란을 보이고 있어, 원간, 중간 사이 종성의 /ㄷ,ㅅ/의 차이가 없어진 것으로 본다.노걸대 중간 : 곳 功
    시험자료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5.18
  • [문법]문법범주의 변화
    ?을 알외리잇-고 (한듕록 290)나. 네 므? 아? 곳이 잇?-뇨 (몽어노걸대 1:6)⑬ 가. 누고 모?옵노니잇-가 (한듕록 292)나. ?음이 엇더?게?노잇-가 (한듕록 406)다 ... 은 엇디 ?리 날을 주기디 아니 ??-뇨 (동국신속삼상행실도 -열녀 4:87)나. 우리 오?밤의 어듸 자고 가-료 (노걸대언해 상 9)이러한 변화는 18세기 국어에서도 계속된다. 다음 ... . 누고 왓?-냐 (첩해몽어 2:15)이러한 동요는 더 확산되어 결국 19세기에 이르러〔의문어〕여부에 의한 의문법 체계도 소멸하였다. 의문조사에 의한 실현방법이 소멸하고, 오직 의문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06.27
  • [국어사]근대국어
    으로 한 것. 간행 연대는 영조 말년, 정조 초년 무렵으로 추정되며, 이 조 청학의 최후 최대의 업적. (파리 동양어학교, 일본 동경대학 소장)⑩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8권 ... 노걸대신석(淸語老乞大新釋)(1765),중간삼역총해(重刊三譯總解)(1774),팔세아(八歲 兒)(1777), 소아론(小兒論)(1777) : 청학서(淸學書). 숙종 30년(1704 ... )에 간행된 팔세아(八歲 兒)(1권), 소아론(小兒論)(1권), 삼역총해(三譯總解)(10권), 청어노걸대(淸語老乞大)(8권) 등은 현재 전하지 않고, 그 개간본으로 이들이 전한다. (대영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2.22
  • [국어사] 원순모음화
    고, ‘몽어노걸대’(1741~1790)에도무서슬(1:4), 부터(1:20), 불(1:25),물(2:6), 우물(2:17), 고푸고(3:20)따위 양순음 다음의 ‘ㅡ’는 거의 완전히 ‘ㅜ ... , 17세기 중기에 나온, 중간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세는 대체로 「므, 브, 프」는 옛 모습을 지니고 뒤섞임이 없으나, 노걸대에는나 머무러= - (상:30) < 머므러와
    리포트 | 2페이지 | 3,600원 | 등록일 2004.05.27
  • 15세기 국어의 움운학
    - 계이 자리의 /ㅡ/는 /ㅜ/로 바뀌었기 때문에, 지금말에서는 이 자리에서 /ㅡ/와 /ㅜ/는 중화된다.17세기에 나온, 중간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에는 대체로 「므, 브 ... 가 많이 나타나고, '몽어노절대'(1741-1790)에도 양순음의 다음 /ㅡ/는 거의 완전히 /ㅜ/로 바뀌었다. 또한 '어제 상훈언해'(17445), '계주윤음'(1757)등에 ... 화/ㄷ, ㅌ/이 /i, j/ 앞에서 구개음화 된 흔적은 17세기 초기 문헌인 '언해두창집요'(1608)에는 보이지 않고, 중기 문헌인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는 「진딧
    리포트 | 4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3.25
  • [국어사]근대국어의 국어사
    되었다. 몽학서에 있어서도 많은 개간이 이루어졌다. 몽어로걸대에 대해서 보면 영조17년,영조42년,정조14년에 세차례나 개간되었다. 첩해몽어도 1737년과 1790년에 개간이 있 ... 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무릅피(언해두창집요 상 35), 곧?(동 下 49),븍녁킈(노걸대언해 上15) 등요컨대 근대에 있어서의 정서법은 중세로부터의 전통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1.17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