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의미 있는 몇 가지만 추려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應製詩註》 〈始古開闢東夷主〉조선 태조 때 권근(權近)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홍무제의 어제시(御製詩) 3수를 받고 이 ... 에 응제시(應製詩) 24수를 지어 바쳤던 것을 모아, 세조 때의 문신이자 권근의 손자인 권람(權擥)이 자세히 주석을 붙여 엮은 책이 바로 《응제시주》이다. 시에는 권근이 스스로 붙인 ... ‘자주(自註)’가 있고, 손자인 권람이 추가로 주석을 단 ‘증주(增註)’가 존재한다.권람의 주석에는 자구에 대한 해석 외에도 조선전기의 역사, 지리, 문화적 인식을 녹여낸 주석
(世宗實錄地理志)1454(단종 2)춘추관당시의 경제·사회·군사·산업·지방제도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제왕운기(帝王韻紀)고려 충렬왕이승휴응제시주(應製詩註)조선 세조권람권람의 응제시 ... 에 손자 권람이 자세히 주석을 붙여 엮은 책.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1432(세종 14)맹사성, 신색전하지 않음신증동국여지승람조선 중종이행동국통감 (東國通鑑)1485년(성종 16 ... 선악)。곡식,수명,질병,형벌,선악들을 주관하고,凡主人間三百六十餘事(범주인간삼백육십여사)。在世理化(재세이화)。무릇 인간사 삼백육십여가지를 주관하여, 인간 세계를 다스려 교화 시켰다.時
중심설은 1993년까지의 북한학계의 주장이었고, 남한에서는 윤내현을 비롯한 재야사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다. 요동 중심설을 맨 처음 주장한 이는 權擥이었다. 권람은 『應製詩註 ...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다음은 『史記』朝鮮列傳에 나오는 내용이다.『史記』朝鮮列傳自始全燕時 嘗略屬眞番朝鮮 爲置吏 築障塞 秦濊燕 屬遼東外 漢興 爲其遠難守 復修遼東故塞 之浿水爲界 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