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하여 오 로지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본성을 주시하는 일행삼매(一行三昧)와 하나를 응시하면 서 마음을 가다듬어 움직이지 않는 수일불이(守一不移)로 요약될 수 있음.12 ... 伽宗)을 성립했다. 혜가는 그의 법을 3조인 승찬(僧璨)에게, 승찬은 4조 도신(道信)에게 도신은 5조인 홍인(弘忍)에게 그의 법을 전하였다. 도신과 홍인의 선법을 동산법문(東山 ... )과는 대조적인 불교의 한 종파이다. 선종의 교리는 불립문자(不立文字)·견성오도(見性悟道)로 경전에 의하지 않고 자기 내부에 존재하는 불성을 깨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밖
道信禪師의 禪思想에 대한 考察-東山法門과 一行三昧를 중심으로Ⅰ. 緖言Ⅱ. 東山法門의 意義Ⅲ. 東山法門의 內容1. 一行三昧와 五門禪要2. 守一不移Ⅳ. 一行三昧의 意義Ⅴ. 結語Ⅰ ... 으로 하여 자력(自力)에 의지하여 수행으로써 타력신앙과는 반대인 것이다.2. 守一不移‘수일불이(守一不移)’는 ‘오문선요(五門禪要)’의 다섯 번째의 내용이며, ‘오문선요’의 결론 ... 살펴본다.1. 일행삼매(一行三昧)와 오문선요(五門禪要)‘일행삼매(一行三昧)’라는 말은 양나라(梁)시대에 만다라선(曼陀羅仙)이 번역한 『문수설반야경(文殊說般若經)』에 그와 관련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