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220)
  • 리포트(196)
  • 논문(13)
  • 방송통신대(6)
  • 시험자료(3)
  • 서식(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훈차" 검색결과 101-120 / 220건

  • 향가의 이해
    하게 수 있다.그렇다면 여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서동요를 통해 향찰의 훈차와 음차 방식을 살펴보도록 하자.서동요(薯童謠)善化公主主隱他密只嫁良置古薯童房乙夜矣卯乙抱遣去如(양주독
    리포트 | 1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1.14 | 수정일 2016.07.22
  • [국어학]한글의 구조와 특성
    훈차음차- 한자의 음을 빌어다 씀, 한자의 음만을 취하여 일종의 표음문자로 이용예) 다리보리(인두) 多里甫里, 도랒(도라지의 古形) 道羅次훈차(釋借)- 한자의 뜻(훈,석)을 비 ... 어다 씀예) 밤재 栗峴, 한밭 大田, 버들옷 柳漆음차+훈차(일반적)예) 고싶돝(고슴도치의 고형) 古參 猪, 나귀플 , 耳 草, 길동 永 同음차 훈차 음차 훈차 훈차 음차(1) 향찰 ... 식 표기: 신라향가 표기 수단, 우리말을 그대로 두고 그 전부를 차자표기하는 방식- 향가는 명사나 어간등의 실사부분은 훈차에 의한 방식을 쓰고 조사나 어미 등의 허사부분은 음차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12.27
  • 제망매가
    훈차) + 그(음차) + 리(음차) +고(약음차)3행 吾隱去內如辭叱都[양] 나? 가?다 말ㅅ도 = ‘나는 간다’ 말도[김] 나? 가?다 말ㅅ도 = 나는 간다는 말도[양] 吾隱 ... : 나(훈독) + ?(음차) / 去內如 : 가(훈독) + ?(음차) + 다(훈차)辭叱都 : 말(훈독) + ㅅ(음차) + 도(음독)4행 毛如云遺去內尼叱古[양] 몯다 니르고 가?닛고 ... = 못 다 이르고 가느닛고[김] 몯다 니르고 가?닛고 = 몯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양] 毛如 : 몯(음차) +다(훈차)/ 云遺 : 닏(훈독) + 고(음차)去內尼叱古 : 가(훈독)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11.10
  • [국어국문]고대국어 차자표기법
    표기법을 사용할 때는 한 대상을 음이 같거나 비슷한 다른 글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었다.② 훈차 표기(訓借 表記, 뜻 옮김법)한자의 음만 빌려서 고유명사를 나타내는 음차 표기 ... 로는 우리말을 원만하게 표기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한자의 뜻을 이용하여 그 뜻음을 읽는 훈차 표기법이다. 고대의 우리말에 맞는 한자가 없거나 혹은 특정 대상 ... 을 표기하려고 할 때 한자의 뜻음으로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경우에 훈차 표기법을 썼다. 이러한 훈차 표기가 시도되면서 음차 표기법만으로 우리말을 표기하기 곤란했던 어려움이 제거
    리포트 | 4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6.04.08
  • 국어 한자음 동음의 특징
    명, 이것들이 모두 한자의 음 ? 훈차 표기로 반영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고대국어를 알기 위해서는 알타이 제어와의 비교연구도 물론 중요한 몫이겠지만 당시 한자음 실상이 밝혀지
    리포트 | 1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6.21 | 수정일 2016.08.08
  • 사이시옷
    에서 사용된 차자 중에서 ‘叱’은 무려 90회라는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叱’의 표기에 대해서는 훈차의 가능성이 엿보이지 안흥므로 별다른 이견 없이 음차 표기로 받아들여지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12.10
  • 현대국어문법
    훈차를 하고 조사나 어미 등의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은 음차를 하였다. 향찰은 향가와 같은 순수 창작물에서 세밀한 표현이 가능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편의적으로 쓰이
    리포트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0.12.08 | 수정일 2014.10.25
  • [국문학]신라향가 안민가(安民歌) 분석
    . 尸(약음차, 연체조사)-ㄹ. 知(음차)-디제4구 民是愛尸知古如(민시/애시/지고여) -- 백성들이 사랑을 알리라民是 : 民(음독)-민. 是(훈차, 주격조사)-이愛尸 : 愛(훈독) ... -??. 尸(약음차)-ㄹ홍) ??리(尸, 리. 사랑하는 이)知古如 : 知(훈독)-알. 古(음차)-고. 如(의훈차)-다제5구 窟理叱大?生以支所音物生(굴리질/대힐/생이지/소음/물생) ... 에서 말하는 윤회의 차축(차축))大? : 大(통음차)-다. ?(약음차)-히生以支 : 生(훈독)-살. 以(의훈차‘로’의훈약차, 말음첨기-ㄹ). 支(동사 기본형하의 허자)홍) 生, 낳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9.06
  • 《삼국유사》에 나타나 있는 삼국시대의 언어적 상황에 대한 조사
    ’은 ‘토吐’와 동음이며 ‘치’는 ‘이’, ‘니’의 훈차자로서 치질금은 이사금, 이질금과 같은 뜻이다.권 제1, 기이 제1, “알지는 향언鄕言으로 어린아이라는 뜻이다.”권 제1, 기이 제 ... , 슬’과 새해 첫날을 뜻하는 ‘설’의 음이 상통하는 데서 온 훈차라고 한다.권 제1, 기이 제1, “이때부터 시호가 쓰이기 시작했고, 또 우리말에서 왕을 마립간麻立干이라고 부른 것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6.11
  • 서동요 연구
    김완진善化公主니리믄선화공주님은11류창균善化公主님은선화공주님은첫째, ‘善化’에 대한 견해이다. ‘善化’가 한자어냐 고유어의 훈차냐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을 한자어로 본 점에 있 ... 어서는 예외가 없겠지만, 다만 양주동은 훈독 ‘善化’일 경우 [읻희]나 [셋희]의 차자에 불과하다고 했는데), 그의 생각으로는 고유어의 훈차표기라고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리포트 | 26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9.11.20
  • 서정시 발생론, 황조가의 작가 창작시기 주제, 구지가와 해가 및 관련 설화의 공통점과 차이점등등
    이상 지적하여 설명하시오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용된 향찰 표기의 원리로는 ‘향찰 표기가 음차 표기와 훈차 표기를 혼용한다.’‘문법 요소는 음차 표기하고 의미 요소는 훈차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6.22
  • [국어학]한자 차용표기 (향찰, 구결, 이두) 고찰하기
    을 빌리는 것을 '음차'(音借)라고 하고 한자의 훈을 빌리는 것을 '훈차'(訓借)라 한다. 반면 기록된 자료를 읽을 경우를 생각하면, 음차된 한자를 읽는 것을 '음독'(音讀)이라 하 ... 고 훈차 된 한자를 읽는 것을 '훈독'(訓讀 또는 釋讀)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형성된 한자 사용 방법을 한자차용표기법(漢字借用表記法)이라 한다.한자 차용
    리포트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1.02
  • 구결,향찰,이두 비교
    였던 것으로 추정된다.이두의 표기 원칙은 훈차자로 의미소를 표기하고, 음차자로 형태소를 표기한다. 초기에는 이른바 '속한문'이라 하여 한문에 약간의 한국어 요소를 가미한 형식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1.07.09
  • 모죽지랑가 해독
    : 향찰로는 ‘나토샤온’으로 읽고 현대어로는 ‘나타내신’으로 해석한다.?史 : ?(훈차자 : 즈시) + 史(음차자 : 시)史는 차용표기에서 ?(시)로 자주 읽히므로 ‘즈시
    리포트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2.04
  • 한자와 차자표기 (이두,구결,향찰)
    기보다도 음성 형태에 중점을 두는 고유명사의 표기는 어려운 일이였겠는데, 우리 옛 조상들은 한자의 음·훈차표기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한자는 표의문자이며 복잡한 음절구조를 가지고 있고, 반면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4.29
  • 원왕생가
    ), 刀(음차), 花乎(반절-둘이 합쳐 ‘호’로 읽힘), 白良(음차)② 集刀/花乎白良김완진: 모도 고조살봐(곧추 모아), 花(훈차), 乎(음차)황패강: 모도 花乎白良곶호삷아( 모아 꽃 ... 良(음차)6) 제 10행의 ‘成遣賜去’① 양주동: 일고샬가(이루실까), 成(훈독), 遣(약음차), 賜(존칭 조동사), 去(훈차)② 정렬모: 이뤄겨샤셔(이루십시오), 遣賜去-4행
    리포트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5.12
  • 서동요 분석
    ? 몰 안고가다3.3 양주동 현대역선화공주님은남 그으기 얼어두고맛둥방을밤에 몰래 안고가다첫 구절: ‘善花公主’는 한자의 본래적인 용법으로 된 단어이며, 그 아래 ‘-主’은 훈차 ... 다, 혼인하다, 정을 통하다’의 뜻을 가진다. ‘置’는 훈차요, ‘古’는 음차이다. 따라서 현대어로 해독한다면 ‘남 모르게 정을 통해 두고’로 할 수 있다.셋째 구절: ‘薯童房乙 ... ’에서 ‘薯童’을 맛둥으로 읽었다. ‘서(薯)’란 마를 말하는 것으로 서동을 마 파는 소년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房’은 훈차요, 거처하는 집 ‘乙’은 대격 조사 ‘-을’의 차음
    리포트 | 1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3.12
  • 국어과 - 교수학습지도안(학습지도안) - 중세국어
    를 설명할 때는 교과서에 나온 지명 외에 학생들이 친숙할만한 지명을 예로 들어가며 설명한다.10'교과서17~23쪽본문▶ 향찰 표기- 학습지를 통해 내용학습. 음차와 훈차에 대해 중점
    리포트 | 19페이지 | 3,900원 | 등록일 2011.11.27 | 수정일 2018.02.13
  • 보현십원가 해독
    -’의 말음첨기이다.4. 法界毛叱所只至去良 : ‘法界’는 음독된 글자이다. 그리고 ‘至去良’는 ‘니르거라’로 읽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양주동은 ‘去’를 훈차자로 보고 김완진은 음차
    리포트 | 22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2.06.21 | 수정일 2016.08.08
  • 원왕생가의 해독에 대하여
    로 정리 할 수 있다.제2구 : 西方 念丁 去賜里遣① 西方(서방) : 西方(한자표기)② 念丁(념정) : 念(걱정→까장/훈차, 외오/훈독), 丁(장/음차, 뎡/古음독)③ 去賜里遣(거사리견
    리포트 | 1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2.04.17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