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220)
  • 리포트(196)
  • 논문(13)
  • 방송통신대(6)
  • 시험자료(3)
  • 서식(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훈차" 검색결과 21-40 / 220건

  • 『만요슈』의 마히토계 가나 (A study of Manyeopgana of Mahito in “Manyosyu”)
    동아시아일본학회 이지수
    논문 | 2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18 | 수정일 2025.03.28
  • '海東諸國紀' 지명에 반영된 한일 중세어 표기법 (A Study on Middle Korean-Japanese Notation in Haedongjegukgi)
    한일관계사학회 심보경
    논문 | 1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2 | 수정일 2025.06.27
  • 『高麗史』 속의 한자어 (A Sino-Korean in Koryeo-sa(『the history of Koryeo』))
    국어사학회 김양진
    논문 | 47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20 | 수정일 2025.03.28
  • [ A+ 자료 ] 향찰 표기 실습 - 처용가 및 향찰 문장 작성
    향찰 표기 실습***1. 처용가 앞 두 행의 음과 훈을 표시하며 풀이하라.1행 해석에 적용되는 음과 훈 표시東京明期月良뜻동녘서울밝을기약할달좋을음동경명기월량▶ 훈차 : 東, 京 ... 되었으며 같은 뜻으로 서라벌, 서벌 등이 있습니다. (훈차)明 - ‘밝은’에서 어간인 ‘밝-’에 해당하므로 실질형태소입니다. (훈차)期 - ‘밝은’에서 어미인 ‘-은’에 해당하므로 형식 ... 형태소입니다. (음차)月 - 명사 ‘달’을 의미하는 실질형태소입니다. (훈차)良 - ‘애’로 사용된 처소 부사격 조사입니다. (음차)2행 해석에 적용되는 음과 훈 표시夜入伊遊行如可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07.16
  • 헌화가의 해독 변천사
    Ⅲ. 결론Ⅰ. 서론향가(鄕歌)작품을 연구함에 있어 많은 연구자들은 해당 작품의 ‘정확한 해독’ 단계부터 발목을 붙잡히곤 한다. 이는 차용된 한자를 훈차·음차의 두 가지 방법 ... 는 경우가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如’자는 훈차하여 ‘다·ㄷㆍㅅ’으로 읽는 견해가 있는 한편, 음차한 ‘여·요’의 해석을 더해 읽는 견해도 있음이 특징적이다. 또한 ‘다’라 읽
    논문 | 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3.26
  • 향가 해독의 원리와 향가 해석 - 서동요, 혜성가, 모죽지랑가
    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전통적인 훈차훈차: 어형의 상사를 바탕으로 훈을 빌어쓰는 차용 방식 (=가차)- 말음첨기: 어형의 시사를 위하여 훈독자 밑에 받쳐 적는 글자. 양주동? 무첨 ... - 훈차에 의한 말음첨기: 作乎下是, 有叱下是, 月羅理- 舊理, 星利 등의 명사 표기에 의해, 이들 명사가 중세어에서와는 달리 두 음절의 단어로서 ‘리’로 끝나고 있었던 것을 말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8.03.07
  • 서동요의 해독 및 차자 표기 정리
    대로 ‘嫁良’을 ‘얼어(어러)’로 번역함이 가능하다.3) 置古① 置‘置’는 훈독으로 ‘두’이며 훈차로는 조사 ‘두’에도 사용된다. ‘置’의 훈인 ‘두’의 유래가 극히 오래인 것 ... 은 ‘北沃沮’를 ‘置溝?’(뒤ㅅ골)로 훈차한 예로 알 수 있다.② 古‘古’는 접속조사 ‘고’로 置古는 두고로 번역할 수 있다.3. 薯童房乙 (맛둥바?)1) 薯童‘薯’는 훈독으로 마 ... 로 ‘고’로 번역되며 접속조사이다.4) 去如‘去 ’는 훈독으로 ‘가’로 번역되며 ‘如’는 훈차로서 ‘다’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去如’는 ‘가다’로 번역할 수 있다.헌화가(獻花歌)紫布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01.18
  • 고대국어 차자표기의 원리
    다, 물리치다'란 뜻 지님- 염촉(물릴 염/ 해골 촉) ? 훈독자- '이차'를 훈차하여 '싫을 염'자를 씀- ‘돈, 독, 촉’ 등은 음차하여 조사의 역할을 하므로 중요한 말은 아니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8.07.31
  • 한국어 표기법의 변천
    어다 쓰는 ‘훈차’방식이다. ‘도라지’의 고형(古形) ‘도랒’을 ‘道羅次’라고 표기한 것과 ‘다리보리’(인두)라는 우리말을 ‘多里甫里’라고 표기한 것은 음차에 의한 표기방식의 예이 ... 은 것은 훈차에 의한 표기방식의 예이다. 훈자 표기도 마찬가지로 한자의 음은 고려하지 않고 의미만 빌려 표기한 것을 알 수 있다.앞 예들은 한 단어가 음차와 훈차 중 어느 한 가지 ... , 인삼 삼), ‘저’는 훈차(돼지 저)를 사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귀플’이란 풀이름을 ‘?耳草(라이초)’로 표기하였는데, ‘라’는 음차(노새 라), ‘이초’는 훈차(귀 이, 풀
    리포트 | 2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09.29
  • 향가 정리 (정의, 작자층, 국문학적 가치, 특징, 형식적 분류, 내용적 분류)
    을 향이라는 글자로 자주 표현⇒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많이 쓰였을 것으로 짐작- 표기구조· 어절을 단위로 하여 환벽한 국어 어순으로 표기· 독자(讀字) + 가자(假字)의 구조· 훈차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9.12
  • 향가와 고려가요의 형식적 특징 비교
    ’를 보면 첫 번째 주는 음차이기에 ‘주’로 발음하고 두 번째 주는 훈차이기에 ‘님’으로 발음한다. 이것이 향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善花公主主隱他密只嫁良置古薯童房乙夜矣卯乙抱遣去如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7.03.13
  • 제망매가 분석자료
    을 위한 훈차표기이며, 그 다음에 오는 힐(?)은 운음의 음과 같은 말음첨기에 해당한다는 것이다.반면에 양희철은 ‘힐’을 ‘글’의 장음인 ‘그흘’의 ‘흘’을 위한 표기로 보고 ‘차힐 ... 이견’을 ‘버그흘이고’로 푼다. 그러나 역시 ‘힐’은 ‘버글’의 훈차 ‘차’를 보조하기 위한 말음첨기로 보는 것이 옳다. 이렇게 볼 경우 ‘차힐이견’의 가장 적당한 해독은 ‘버글이고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7.05.15 | 수정일 2017.07.10
  • 향가 처용가 음독 음차 하기
    처용가 해독,음독/음차 및 훈독/훈차 표기 구별해보기.< 처용가 해독 해석하기 >☞ 원문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二?隱吾下於叱古 二?隱誰支下焉古本矣吾下 ... 질량을하여위리고 → 본? 내해다마? 아?? 엇디 ?릿고☞ 사용된 음독/음차, 훈독/훈차.①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 ?? ?긔 ?래 밤 드리 노니다가東京 → ?? : 훈독明期 ... → ?긔 : 훈독(?), 음차(긔)月良 → ?래 : 훈독(?), 음차(애)夜 → 밤 : 훈독入伊 → 드리 :훈독(들), 음차(이)遊行如可 → 노니다가 : 훈독 (놀니), 훈차(다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09.22
  • 문재인 정부의 신(新)북방정책과 한.러 관계의 이해
    현안다. 러시아어로 “바다와 접해 있다.”를 뜻하는데 우리는 한자로 훈차해서 연해주라고 부른다. 서남쪽으로는 한반도와 접한다. 연해주 우수리스크에는 고려인 약 5만 명이 거주하고 있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9.06.26
  • 정렬모의 향가 해독에 대한 평가
    . 정렬모는 ‘?’를 훈차하여 ‘山’의 의미로 보고, ‘童’은 훈독하여 ‘아이’라고 보면서, ‘?童’은 결국 ‘머섬’(머슴)이란 의미라고 밝히고 있다. ‘房’은 음독하여 ‘방 ... ’는 훈독하여 ‘안’으로, ‘遣’은 음독하여 ‘고’로, ‘去’는 훈독하여 ‘가’로, ‘如’는 훈독하여 ‘다’로 본다. 정렬모는 ‘?’가 ‘山’의 훈차임을 훈몽자회에서 ‘丁’이 ‘산뎡 ... 에 나타낸다고는 볼 수가 없다. ‘是’는 훈차 하여 ‘서리’의 끝소리 ‘이’를, ‘毛’는 음차하고, ‘冬’는 음차하여 본음 ‘동’에서 ‘도’를 표기한다고 한다. 그러나 ‘毛’는 고대
    리포트 | 1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6.22
  • 사이시옷의 미래
    은 빈도를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훈차의 가능성이 엿보이지 않으므로 별다른 이견 없이 음차 표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동사, 명사 등 어휘에서 사용된 ‘꾸짖을 질’은 중세국어 문헌
    리포트 | 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9.04.07
  • 국어사의 시대별 구분과 시대별 특징을 서술하시오
    해”와 같은 식의 대화를 위한 사용법과, " 素 + 奈 → 소나"와 같은 고유명사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사용한 것이다.둘째는 훈차이다. 훈차란 한자의 음을 버리고 뜻만 빌려온 방법인데 ... , 예를 들면 “石 金 → 돌쇠”와 같은 방식이나 혹은 “金 + 川 → 쇠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 되었다.셋째는 음차와 훈차를 전부 사용한 경우이다. “金天 → 김하늘”이 되 ... 는 식으로 이용 하였다.이처럼 고대국어는 음차와 훈차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주로 있었는데, 이렇게 사용을 하다가 보면 해석에 따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덕왕때 부터는 모조리
    리포트 | 1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4.29
  •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PPT 레포트
    유가증권시장 및 KOSDAQ 시장 정보통계학과 장세진 , 정보통계학과 추재훈차 례 유가증권시장 및 KOSDAQ 시장제도 유가증권시장 및 KOSDAQ 시장현황 유가증권
    리포트 | 19페이지 | 23,500원 | 등록일 2014.12.01 | 수정일 2017.02.15
  •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이라고 한다. 음을 빌려서 표기하면 ‘음차표기’, 뜻(훈)을 빌려서 표기하면 ‘훈차표기’라고 한다. 주로, 한자를 이용하여 어휘를 표현하였고, 특히 국어의 고유명사를 표기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9.13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