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보*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0.09.13
최종 저작일
2010.09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목차

Ⅰ. 들어가며 … 1

Ⅱ.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1. 음운론적 관점 … 2
2. 형태론 ․ 통사론적 관점 …3

Ⅲ. 마치며 … 5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1443년에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시켰다. 그 이후 세대부터는 한글로 자유롭게 표기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남의 나라 글자를 빌려서 다른 형식과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차자를 표기한 다음 네 가지 방법을 알아보자.
① 고유명사 표기
고대 국어에서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사용하였는데, 이를 ‘한자차용’이라고 한다. 음을 빌려서 표기하면 ‘음차표기’, 뜻(훈)을 빌려서 표기하면 ‘훈차표기’라고 한다. 주로, 한자를 이용하여 어휘를 표현하였고, 특히 국어의 고유명사를 표기하였다. 주로, 인명이나 지명에 국한하여 쓰였고, 관직명은 이미 한문 식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면, 삼국사기 권 제47에 나와 있는 부분을 살펴보자.
素那(或云金川) 白城郡蛇山人也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로 해석해 볼 수 있다.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만 빌리는 경우에서는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서 ‘素那’로 적고 그 음을 빌려왔다. 반면, 한자의 음을 버리고 의미만 빌리는 경우는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서 ‘金川’으로 적고 그 뜻을 빌렸다.
② 구결
15세기에 ‘세종실록’이나 언해본 문헌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것은 한문 원문을 읽을 때에 우리말과 한자가 어순이 다르고 조사나 어미의 존재여부를 고려한 문법이다. 즉, 곧바로 우리말로 풀어서 이해하기 힘들 때, 구절과 구절 사이에 들어가서 문맥의 정확한 뜻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에도 쓰인다.
寧爲小人所忌毁毋爲小人所媚悅(영위소인소기훼무위소인소미열)
위와 같은 문장은 어떻게 끊어 읽어야 할까? 위의 문장에 구결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寧爲小人所忌毁언정 毋爲小人所媚悅하라.(영위소인소기훼무위소인소미열)
즉, ‘언정’이나 ‘-하라’와 같은 조사나 어미를 문장 중간에 삽입하여 어려운 한문 원문의 이해를 돕는다.

참고 자료

1) 허웅(1993), ‘국어학-우리말의 오늘 ․ 어제’, 샘문화사
2) 김용경 외(2008), ‘한국어학의 이해’, 소통
*보*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국어사개설] 2~3. 국어의 형성 ~ 문자 - 요약 정리 11페이지
    :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1446년), 세종실록 (4) 표기 방식: 국어화된 ... 008. 현대 국어 < 해당 목차 > 002. 국어의 형성 003. 문자 ... ~16세기 말) ① 중세 전기 국어(10세기 초~15세기 중엽): 고려~조선
  • 한글파일 국어과 - 교수습지도안(습지도안) - 중세국어 19페이지
    ] ? 국어의 역사를 안다. ? 국어의 음운?문법?의미?표기법의 시대별 변화상을 ... 안다. ? 국어의 변화 과정을 현대 국어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 국어 ... 문헌을 매개로 국어의 음운?문법?의미?표기법의 특성을 이해하여 습자로
  • 한글파일 [국어국문] 향찰, 이두, 구결 5페이지
    부터 토라고도 지칭되었다. 에 나타나는 한문을 읽을 때 국어로 句讀를 ... . -이익섭, 『국어개설』, 연사, 1995. -최창열외 6인, 『국어개론』, 교연구사, 1986. ... 지성사, 1992. -유창균, 『신고국어사』, 형설출판사, 1973
  • 한글파일 우리말 표현을 위한 차자표기 발달과정에 대하여 4페이지
    규칙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는 현대 국어의 로마자 표기도 포함될 수 ... 것으로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1. 차자표기한글 이외의 문자를 ... 국어의 의미소를 표기하고, 음차자로는 형태소(문법토)를 기록하는 것이다
  • 한글파일 [국어국문사] 이두 5페이지
    ♠ 이두 1. 이두의 의미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표기한 차자 ... 고유명사표기 등을 총칭하는 말로 쓰이나, 좁은 뜻으로는 한자를 한국어 ... 꼽을 수 있음. 4. 이두의 활용 이두문은 한문의 문법국어문법
  • 한글파일 [국어사] 훈민정음 반포 이전의 우리말 7페이지
    보듯이 표기체계가 수립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국어표기하려는 노력의 집 ... . 한자가 외래어로서 국어로 차용되기 시작했지만, 지명, 인명, 관직명 등의 ... 고유명사에만 제한적으로 차용되었다. 그 후 한자를 이용한 국어의 전면적
  • 한글파일 우리 나라 말의 변천사 4페이지
    우리 나라 말의 변천사 국어개론 REPORT 최재희교수님 조선 ... 시대 후기 (조선 왕조의 성립 15세기-16세기 말엽) : 한글 표기 시대 ... 경장까지) 현대 국어 (20세기 초반-현재) 2. 고대(Old)국어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