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762)
  • 리포트(601)
  • 논문(110)
  • 시험자료(30)
  • 방송통신대(12)
  • 자기소개서(8)
  • 서식(1)

바로가기

방송통신대 - 2025 방송통신대 리포트 및 과제물 업데이트, 중간고사/기말고사자료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장자(莊子)" 검색결과 301-320 / 762건

  • [교양]중국 도가·도교의 신명문화
    한다고 했다.) 이처럼 노자는 장생(長生)의 철학을 말했다.제2장 장자장자(莊子)의 이름은 주(周)이며 송(宋)나라 땅에서 맹자보다 조금 늦은 기원전 369년에 태어나서 기원전 ... 286년까지 살았다. 장자가 태어난 송나라는 주(周)나라에 정복당한 은(殷)나라의 유민으로 나라 망한 운명부터 비참했으며, 특히 여러 차례 전쟁의 중심 터가 되었다. 장자는 젊 ... 는 거북이가 될지언정 신성한 사당(祠堂)에 비단 보자기에 싸서 신주로 모셔지는 죽은 거북이는 되고 싶지 않다고 하면서 거절했다고 한다.장자장자와 그 후학들이 저술한 책이다. 한서
    Non-Ai HUMAN
    |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9.28
  • 경상대 고사와성어 본문내용정리
    , 이부재사. 선생장하처?”오늘 주인의 거위(기러기)는 쓸모가 없어서 죽으니 선생님께서는 어느 쪽에 몸을 두시고자 하십니까?”莊子笑曰 “周將處夫材與不材之間.장자소왈 “주장처부재여부재지간 ... 드 “此木以不材 得終其天年.”장자왈 “차목이부재 득종기천년.”[내용]장자가 말하기를 “이 나무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하늘이준 명을 다 살 수가 있구나.”夫子出於山, 舍於故人之 ... 家.부자출어산, 사어고인지가.[내용]장자는 산을 나와서 친구의 집에서 묵었다.故人喜, 命?子殺雁而烹之.고인희, 명수자살안이팽지.[내용]친구는 매우 기뻐하며 심부름하는 종에게 일러 거위
    Non-Ai HUMAN
    | 리포트 | 1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4.23
  • 왜 동양철학인가_서평
    해서 나도, 그리고 모두가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2. 장자장자(莊子)는 우화나 은유를 통해 자신의 사고방식과 이론을 설명하기로 유명한 인물이다. 장자의 글에는 주로 세 ... 잘 부합하고 있는 불교와 장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1. 불교나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롭다. 이 책의 저자는 이 말 ... 는 깊이 있는 철학자이자, 뛰어난 산문작가로 기억된다.장자는 고통 속에서 괴로워하는 사람들과 손을 잡지도 않았으며, 그렇다고 자신이 나서서 그 고통을 해소해 주려 하지도 않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1.20
  • 하나의 사상, 다른 표현방식 - 도가의 자연, 욕망 그리고 소요
    여 욕망을 버리라고 하였으나, 무조건적으로 눌러야 한다는 뜻은 아니었던 것이다.장자는 욕망에 대해 노자보다 더욱 유연한 자세를 취한다. 『장자(莊子)』에 지락(至樂)편이 있듯이 장자 ... 에서 중요한 인물을 꼽으라면 장자일 것이다. 장자는 비교적 그 존재가 명확한 인물이며, 노자가 남긴 저작은 얼마 되지 않았던 반면 장자는 우화를 중심으로 10여만 자에 달하는 방대 ... 한 저술을 남겼다. 노자와 장자는 자신들을 도가라고 지칭한 적도 없으며 계승관계를 밝힌 적도 없다. 그러나 그들은 후에 도가라고 정리될 수 있을 만한 같은 계통의 철학을 폈고, 유사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1.21
  • 장자를 읽고
    장자(莊子)를 읽고장자는 혼란이 극에 달했던 전국시대 때 태어났다. 그 당시에는 수많은 사상가들이 자기의 학설을 내놓아 어지러이 논쟁하고 있었는데 그런 논쟁은 오히려 혼란을 부채 ... 에 가리워졌을 뿐 여전히 깊은 곳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진리의 삶을 따른다면 자연 그 자체로 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진리의 삶은 모든 사람이 목표로 삼아야 할 궁극적 진리일 것이다.출전 : 「장자莊子 (內篇)」, 이기동, 동인서원, 2001. ... 질하고 있었다. 따라서 모든 사상가들이 차라리 침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나타났는데 그 대표자가 바로 장자이다. 장자는 ‘이것’도 ‘저것’이고 ‘저것’도 ‘이것’이
    Non-Ai HUMAN
    | 리포트 | 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5.25
  •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7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였는데, 이런 것을 두고 하는 말인가? 이이(李耳)는 무위(無爲)로써 저절로 교화되게 하고 청정(淸靜)으로 스스로 올바르게 되도록 하였다.장자(莊子)는 몽(蒙) 지방 사람으로 이름은 주 ... 제7강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 노자와 장자*사기 -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에 일대기 간략히 소개하나의 전설일뿐 확실한 사실은X노자(老子)는 초(楚)나라의 고현(苦縣) 여향 ... ?)?, ?거협(??)? 편 등을 지어 공자(孔子)의 무리들을 비방하고 노자의 학설을 천명하였다. ?외루허(畏累虛)?, ?항상자(亢桑子)? 편 등은 모두 사실이 아닌 허구이지만, 장자는 문장
    Non-Ai HUMAN
    | 리포트 | 1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8.31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7강
    을 두고 하는 말인가? 이이(李耳)는 무위(無爲)로써 저절로 교화되게 하고 청정(淸靜)으로 스스로 올바르게 되도록 하였다.장자(莊子)는 몽(蒙) 지방 사람으로 이름은 주(周)이 ... 제7강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 노자와 장자-사기의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에 일대기, 전설일 뿐 확실한 사실은 아니다.노자(老子)는 초(楚)나라의 고현(苦縣) 여향(?鄕 ... (??)? 편 등을 지어 공자(孔子)의 무리들을 비방하고 노자의 학설을 천명하였다. ?외루허(畏累虛)?, ?항상자(亢桑子)? 편 등은 모두 사실이 아닌 허구이지만, 장자는 문장력
    Non-Ai HUMAN
    | 리포트 | 1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9.19
  • 금산사 미륵조상기
    (莊子)와 노자(老子)의 소요[逍遙; 자연 속을 거님. ‘장자(莊子) ’ 첫 편의 제목이 소요유(逍遙遊)다]를 좋아하고 뜻이 진종(眞宗, 참된 종교 즉 불교)을 중히 여겨 무착[無着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1.04
  • 사이버사회는 현실사회 모순을 타파할 수 있는 대안인가
    사이버사회는 현실사회의 모순을 타파할 대안인가중국 제자백가 시대의 사상가인 장자(莊子)는 어느 날 꿈을 꾼다. 그리고 그는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세상을 날아다니고 노닐다가 꿈 ... 에서 깨어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장자 자신이 꿈에서 깨어난 것인지 나비가 인간의 꿈을 꾸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바로 ‘호접지몽’의 유래이다.현 세상도 이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8.04
  •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 이론][동양윤리사상 특징][동양윤리사상 연원][동양윤리사상 전개]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
    - 상선약수(上善若水)5. 장자(莊子) - 제물론, 물아일체1) 도(道) 사상2) 「제물론」의 만물제동(萬物齊同) 사상3) 좌망(坐忘)과 심재(心齋)4)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6 ... 적 삶 : ‘상선약수(上善若水)’·소국 과민(小國寡民)의 정치사상5. 장자(莊子) - 제물론, 물아일체1) 도(道) 사상“이것과 저것의 대립이 사라져 버린 것.”천지 생성의 원인이
    Non-Ai HUMAN
    | 리포트 | 13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도교란 어떤 종교인가? (발표용 ppt)
    가 있지만 , 도교는 어디까지나 종교이므로 근본적으로는 도가사상과 뚜렷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 → 도가사상 :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 莊子 ) 」 ㆍ 「열자 ( 列子 ) 」등
    Non-Ai HUMAN
    | 리포트 | 16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3.05.19
  • 도가와 법가
    (莊子)기원전 약355~275년 재상자리를 사양하고 일생 동안 초야에서 산수를 벗삼아 자유인으로 살았다.도가1.장자의 시대비판 인간의 의식이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제한 ... 니 놀랍게도 자기 자신이었다. 장주가 꿈꾸어 나비가 되었는지 나비가 꿈꾸어 장주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장주와 나비는 반드시 구분이 있을 것이니 이를 일러 물화(物化)라고 한다.도가장자 ... 지 못하고 땅에 떨어져 버리기도 하는데 무엇 때문에 구만 리 높이 올라 남녘으로 가고자 하는가?도가2.초연(超然)정신 그러나 장자는 대붕도 절대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보지 않
    Non-Ai HUMAN
    | 리포트 | 1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3.25
  • 한국의 사마귀목.
    사마귀의 생활螳螂拒轍(당랑거철): 약한 자가 상대할 수 없는 강자에게 대항하려 드는 일을 말합니다.'제 분수도 모르고 강한 적에 반항하여 덤벼듦'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莊子 ... (장자)의 人間世篇(인간세편)에 나오는 말로, 중국 제나라 莊公(장공)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어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하였습니다.과목명 :이 름 :제출일
    Non-Ai HUMAN
    |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10.29
  • 중국 동주문학
    (孟子), 장자(莊子), 순자(荀子)묵자(墨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사상을 기록한 글..PAGE:41. 좌전(左傳)춘추좌씨전 해설서.보물 1159호. 국립
    Non-Ai HUMAN
    | 리포트 | 1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7.06
  • 후한통속연의 第十七回
    군 여요현 사람이다.漢史避明帝名諱, 改莊爲嚴。한사피명제명휘 개장위엄한나라 역사에서는 명제의 이름을 피휘하여 장을 엄으로 바꾸었다.因此後人只稱他爲嚴子陵先生, 不叫他做莊子陵。인차후인지 ... 칭타위엄자릉선생 불규타주장자릉이로 기인하여 후대 사람은 단지 그를 엄자릉선생이라고 부르며 그를 장자릉이라고 부르지 않는다.(特別提出, 復特別辨明。)특별제출 부특별변명辨明
    Non-Ai HUMAN
    | 리포트 | 25페이지 | 5,500원 | 등록일 2015.05.27
  • 경상대 교양수업 고사성어의 이해 정리본+중간,기말 족보
    )1)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은 잊는다. 도구에 얽매이지 않고 본질을 중시한다.2)장자(莊子)의 외물편(外物篇)에서 나옴.3)토사구팽(兎死狗烹)과 비슷해 보이지만, 득어망전은 목적
    Non-Ai HUMAN
    | 시험자료 | 2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5.11.11 | 수정일 2016.04.06
  • 노자와 장자의 사상
    . 도가라고 할 때, 넓은 뜻으로는 노자를 교조(敎祖)로 하여 뒤에 성립하는 종교형태인 도교(道敎: Taoism)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도교와 구별하여 노자 ·장자(莊子) ·열자 ... (1) 노자(老子) 도가의 창시자 주(周)의 쇠퇴를 슬퍼하며 서방세계로 떠남 도덕경(道德經) 집필 (2) 장자(莊子) 도가의 발전에 기여 대부분의 시간을 책 집필 장자(莊子) 집필 ... (列子)·관윤(關尹) 등이 중심이 되는 철학파를 가리키며, 좁은 뜻으로는 노장철학(老莊哲學)을 가리키기도 한다. 시대적으로 보면 노자와 장자, 양주(楊朱) ·열자를 중심으로 한
    Non-Ai HUMAN
    |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6.14
  • [예술관][캇시러의 예술관][칼 크라우스의 예술관][아도르노의 예술관][장자의 예술관][오지호의 예술관]캇시러의 예술관, 칼 크라우스의 예술관, 아도르노의 예술관, 장자의 예술관, 오지호의 예술관 분석
    캇시러의 예술관, 칼 크라우스의 예술관, 아도르노의 예술관, 장자의 예술관, 오지호의 예술관 분석Ⅰ. 캇시러의 예술관Ⅱ. 칼 크라우스의 예술관Ⅲ. 아도르노의 예술관Ⅳ. 장자 ... 라 할 것이다.《莊子》는《天下편》에서천하가 크게 어지러워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이 분명치 않고 도덕은 한결같지 않아, 천하 사람들은 모두 한끝만 배우고 있어 그것으로 만족하고 있 ... )과 같은 개념은 모두 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른바 도란 아름다운 것이요 천지가 아름다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장자는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성인이란 천지여진다.
    Non-Ai HUMAN
    | 리포트 | 1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5
  • [동양화][동양화 사상][한국화][동양화 작품][동양화 의문점][동양화와 서양화 비교]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와 한국화, 동양화의 작품들, 동양화의 의문점,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분석
    的)?영적(靈的)인 형태를 말하고 문채는 美 자체를 말한다.다음은 도교 철학으로 노(老)?장자(莊子)의 학설을 들 수 있다. 장자는 미의 본질이 우주의 근원인 無에 있다고 하 ... 다. 무위란 인간의 힘을 가해서는 안 되며 자연히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진리가 포함된 노?장자의 자연주의 철학은 확실히 동양화, 특히 산수화(山水畵)와 도석 ... 에서 노?장자의 예술정신은 동양의 일반회화 중 특히 산수화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선가(禪家)의 회화 사상이란 전체적인 불교 사상(佛敎思想)을 의미하는 것이다. 선(禪)의 예술이란
    Non-Ai HUMAN
    | 리포트 | 1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1
  • 현대사회에서 선종과 도교의 역할
    하늘이 지구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저것이고 저것은 이것이다. 같지만 또 다르다.도교란 무엇인가?(莊子를 중심으로)장자는 도(道)를 천지만물의 근본원리라고 본다. 도는 일(一)이 ... 나를 찾아가는 길소속 :학번 :성명 :≪목차≫1. 들어가는 마당위기의 인류옛길(古道)2. 선종 ? 도교 한마당선종이란 무엇인가?선종의 수양방법도교란 무엇인가?(莊子를 중심 ... 사물들의 본성이다. 인간의 본성도 덕이다. 이러한 덕을 회복하려면 습성에 의하여 물들은 심성(心性)을 닦아야 한다. 이를 성수반덕(性脩反德)이라고 한다. 장자는 그 방법으로 심재(心
    Non-Ai HUMAN
    |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11.25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