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춘향전의 문학사적 의의
춘향전은 고전소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목판본(경판본, 안성판본, 완판본), 활자본, 필사본(만화본 춘향가), 판소리 사설, 극본, 시나리오 대본 등 이본만도 100여종이 넘는다. 이 작품의 근원 설화로는 열녀설화, 암행어사 설화, 신면 설화, 염정 설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어느 개인에 의해 창작된 것이라기보다는 적층문학적 성격이 강하다. 등장인물인 성춘향, 이몽룡, 변학도, 월매 등도 실존 인물이라기보다는 누대에 걸친 당대의 전형적인 인물 유형에서 빌려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생의 신분으로 정절을 지킨 춘향이 양반집 자제인 이도령과 사랑을 하다가 결혼을 하여 신분 상승을 이루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이야기도 실학사상이 대두된 18세기의 서민들의 꿈을 충족시키기 위해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판본에 따른 차이는 경판본과 완판본의 경우에 심하게 나타난다. 경판본은 기생인 춘향과 난봉꾼인 이도령의 연애담을 산문체의 문장으로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인물의 성격 구현에 무리가 없고 소설 구성상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에 완판본은 성 참판과 퇴기 월매의 딸인 양반도 아니고 기녀도 아닌 춘향과 수줍어하는 도령이면서 난봉꾼인 이도령의 연애담을 율문체로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인물의 성격이 일관성을 상실하고 작품 구성상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작품은 문학사적으로 볼 때 몇 가지 주목 할 만한 점이 있다. 먼저 다른 소설과 달리 소재를 현실 세계에서 취했으며, 배경을 전라도 남원 고을이라는 현실적 공간으로 설정하여 리얼리티를 획득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는 지방 수령에게 반항하는 서민의 모습을 그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중의 승리를 추구 하여 당대에 시대정신을 잘 반영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춘향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춘향전은 소설은 물론 드라마, 영화로까지 제작되어질 만큼 유명한 작품이다. 판소리 <춘향가>에 원류를 둔 춘향전은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이라는 애정 문제를 다루었기에 대중적이었다고 할 수 있으나 우리는 이 소설에서 남녀의 애정문제만이 아닌 다른 면모도 발견할 수 있다.
· 1. 단행본
· 권순긍, 『우리소설 토론해 봅시다 : 고전소설편』, 새날, 2001.
·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 김동욱, 『춘향전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1985.
· 김수환, 『십육춘향전』, 명문당, 1992.
·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 김중식, 『불멸의 춘향전 : 소설 춘향전으로 여는 새로운 세상』, 청동거울, 1999.
·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조선문고, 1939.
·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서종문, 『판소리사설연구』, 형설출판사, 1984.
· 설성경, 『춘향전의 형성과 계통』, 정음사, 1986.
·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 설성경, 『춘향전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 소재영, 『춘향전의 형성과 계통』, 정음사, 1986.
· 송현호, 『고전문학의 해설』, 관동출판사, 1995.
· 이창세,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 정병욱, 『한국 고전의 재인식』, 기린원, 1988.
· 정하영, 『춘향전의 탐구』, 집문당, 2003.
· 조경남, 『춘향전』, 책세상, 2005.
· 진봉규, 『판소리의 이론과 실제』, 수서원, 1984.
· 2. 논문
· 설성경, “판소리극의 얼개 연구”, 『매지논총』 7권, 연세대학교 매지학술연구소, 1990.
· 설성경, “춘향전에 나타난 여인상”, 『인문과학연구논총』12권,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4.
· 유정상,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 비교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90).
· 이가원, “도산별곡췌론”, 『현대문학』 2권, 1956.
· 이상택, “춘향전 연구 : 춘향의 성격분석을 중심으로”, 공군사관학교, 1966.
· 임성래, “춘향전의 구성과 주제”, 『열상고전연구』 제4집, 열상고전연구회, 1991.
· 조동일, “갈등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계명논총』 6집, 계명대학교, 1970.
· 3. 인터넷
· http://hanlover.new21.org/chunhyang_haksim.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