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8.06.25
- 최종 저작일
- 2015.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국문 고전소설론 춘향전 관련 레포트입니다.
춘향전에 관한 새로운 고찰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1)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요약
2) 이에 대한 나의 생각
3. 맺음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논자는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라는 책을 배우며 한국 고전 소설의 주제와 한국 고전 소설의 세계관 파트에 등장하는 ‘춘향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춘향전’은 예전부터 고전으로 익히 잘 알고 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에 대학생이 되어서도 수업시간에 배우면서 그대로 수용하기만 하고 구조적으로나 주제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 적이 별로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 조동일 선생이 쓴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이라는 논문을 요약해보고 이에 대한 내 생각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편의상 나 자신은 논자, 조동일 선생은 필자로 칭하도록 하겠다.
2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➀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요약
위 논문의 저자인 조동일 선생은 『‘춘향전’ 연구의 새로운 고찰』이라는 논문을 아래와 같은 차례로 구성하였다.
1. 머리말
2. 춘향은 「기생이면서 기생이 아니다」
3. 「기생 춘향」과 「기생 아닌 춘향」의 갈등
4. 판소리계 소설과 갈등의 반영
5. 갈등의 발전과 해결
6.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
7. ‘춘향전’ 작품군 전체의 문제
8. 마무리
논자도 위의 순서에 따라서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도록 하겠다.
1. 머리말
‘춘향전’ 연구는 국문학 연구의 초창기부터 깊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높은 수준으로 진척되어 왔으며, 김동욱 ‘춘향전연구(春香傳硏究)’를 위시한 많은 탁월한 업적이 나와서 국문학의 다른 어느 부문보다도 큰 성과에 이르렀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춘향전’의 주제이다. 이에 관해서는 가능한 모든 학설이 다 제기되어 있는 듯하지만, 그럴수록 다시 한 번 방법을 달리해서 근본적인 재검토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작품의 본문에서 출발해서,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적인 갈등 구조를 사회적 현실과의 대응에서 분석하면서 주제를 정확하게 판단하자는 것이 논의의 방향이다.
주 자료는 완판본(完板本) ‘열여춘향슈졀가’이다. 지금까지 가장 많이 거론된 자료이므로, 필자의 견해를 기존 설들과 대조해 보이는데 다른 어느 이본보다도 유리할 것 같아서 완판본을 선택했다.
참고 자료
조동일,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1978.
김석배, 「춘향전 이본의 생성과 변모 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pp.111
서유석, 「‘십장가’연구 – 춘향 항거 의미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 20권, 2009, pp.249-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