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성근, 1991, 274 ; 이형국, 1984, 293 ; 최우찬, 1991, 25 참조
· 2) 曾根, 1980, 3
· 3) (Vgl. Berner, 1886, 102)
· 4) (Vgl. Schmidhauser, 1982, 132) (Vgl. Mezger, 1957,198ff.)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박광민, 1989, 38 이하 참조.
· 5) 曾根, 1980, 97 참조
· 6) 本 , Ⅱ 2 (2) 2) 참조
· 7) 박광민, 1989, 82 이하 참조
· 8) (정성근, 1991, 258 등 참조)
· 9) 정성근, 1991, 260; 이형국, 984, 296; 이재상, 1986, 212; Baumann, 1985, 311;Sch/Sch/Lenckper, 1991, 531
· 10) Vgl. Roxin, 1981, 70; Jescheck, 1988, 302.
· 13) Jescheck, 1988, 307f; Sch/Sch/Lenckner, 1991, 534.
· 14) 이형국, 1984, 300.
· 15) 이형국,1984,300; 정성근, 1991, 263; 한편 이재상 교수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이재상, 1986,217).
· 16)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5, 287면.
· 17) 김일수, 한국형법Ⅰ(개정판), 박영사, 1996, 540면; 김일수/서보학, 형법총론(제11판), 박영사, 2006, 298면; 이재상, 형법총론(제5판), 박영사, 2005, 17/21; 신동운, 형법총론(제2판), 법문사, 2006, 275면; 이영란, 한국법학(총론강의),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231면;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1999, 220면; 김성돈, 형법총론, 현암사, 2006, 295면 등. 반대견해는 박상기, 형법총론(제6판), 박영사, 2004, 179면;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5, 333면.
· 18)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1999, 180면.
· 19) 이재상, 형법총론(제5판), 박영사, 2005, 17/19.
· 20) 박은정, 생명공학시대의 법과 윤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31면.
· 21) 배종대, 형법총론(초판), 1992, 52면 이하 참조.
· 22) 배종대, 형법총론(제8전정판), 홍문사, 2005, 64/6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