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인용 및 재인용 국내 자료]
· 강명구, “정보제국주의인가 전자 민주주의인가”, 제4회 서울대 민교협 공개강좌 발표문, 1996
· 강정인, “민주주의이론과 전자민주주의의 미래상”, 전자민주주의연구원 제1회 세미나 논문집, 1997
· 강준만, “TV와 이미지 정치”, 공간미디어, 1995
· 고종석, “텔레크라시, 서유럽 강타”, <한겨레21>, 1994
· 김민남, “공공저널리즘과 한국 언론 : 언론과 공동체의 새로운 관계 모색”,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 사회과학>, 문학과 지성사, 1991
· 김영래․이현출, “매니페스토와 지방선거”, 논형출판사, 2006
· 김유정,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에 의한 생활문화변화, 커뮤니케이션 상황변화를 중심으로”, 언론 사회 문화 제 4호, 1994
· 김종길, “사이버 세계의 확산과 전자민주주의의 가능성”, 사회과학연구 제27집, 2005
· 노규형, “정보화사회에서의 정치참여”, 국회보 제262호, 1988
· 박선희, “전자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적 검토와 컴퓨터 매개 정치의 패러독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1994
· 양승찬, “16대 대선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로 본 언론<16대 대선 미디어 영향력 변화와 매체별 발전전략>”, 한국언론재단/한국기자협회/PD연합회/한국언론법학회/인터넷신문협회, 2003
· 윤영철, “대안적 매체로서의 PC통신: `한총련`에 관한 토론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3-1호, 1998
· 원성묵, “2010년 전자민주주의”, 정보화저널 4권 2호, 1997
· 이건혁, “미디어 프레임이 부정감정, 정치 냉소, 그리고 정치 효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 언론학보, 2002
· 장호순,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 분석”, 사회과학연구 논문집 제9권 2호, 2003
· 조기숙,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나남, 2000
· 조현걸, “전자민주주의의 몇 가지 쟁점과 새로운 환경설정”, 대한정치학회보, 2000
· 크리스토퍼 아터튼, “텔레데모크라시: 21세기 정보화시대의 정치혁명”, 한백연구재단 편역, 1994
· 조현욱, “정보화사회의 정치과정의 변화와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텔레데모크라시와 모뎀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석사 학위논문, 1995
· 조희연, “비정상에 대한 정상에서 정상에 대한 저항으로”, 도서출판 아르케, 2004
· 최문휴, “e시대 선거전략”, 예응출판사, 2004
· 한국언론재단, “온라인 저널리즘의 공공이슈보도”, 2002
· 황종성, “전자민주주의의 이상과 전자정부의 발전방향”, 논단 제 3권 2호, 1995
· Mills, C. W. (1956). The power elit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진덕규 역 (1979), “파워엘리트”, 서울: 한길사
· [재인용 영문 자료]
· Abramson, J. B., Arterton, F. C., & Orren, G. R. (1988). The electronic commonwealth: The impact of new media technologies on democratic politics. New York: Basic Books, Inc
· Beniger, J. R. (1987). Personalization of mass media and the growth of pseudo-community. Communication Research, 14(3), 352-371
· Dubrovsky, Kiesler, & Sethna, equalization of communication, 1991; Hiltz, Johnson, & Turoff, 1986; Kiesler & Sproull, 1992
· Friedland, L. A. (1996). Electronic democracy and the new citizenship. Media, Culture & Society, 18, 185-212
· Jean Baudrillard, “The implosion of meaning in the media and the implosion of the social in the messes”, Kathleen Woodward, ed. The Myth of information : Technology and Postindustrial Culture ( Madison, WI. : Coda Press, 1980), p. 148
· Jakubowicz, K. (1993). Stuck in a groove: Why the 1960s approach to communication democratization will no longer do. In S. Splichal & J. Wasko (Eds.), Communication and democracy (pp. 33-54).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O`Sullivan, P. B. (1995). Computer network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Santa Monica`s teledemocracy project.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23, 93-107
· Rheingold, H. (1993).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 Sproull, L., & S. Kiesler, (1986). Reducing Social Context Cues: Electronic Mail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cience, 32. 1492-1512
· [웹사이트 및 기사 자료]
· http://blog.naver.com/nobopark.do
· http://www.posdaq.co.kr/announce/column2_view.html?flag=column&no=479
· 김소연, “MBC(명박씨)를 보면 특정 후보가 연상되지 않나요?”, 한겨레 2007.10.30
· 이재웅, “대선후보 등록 ‘D-3’, 각 진영 선거비용 마련 ‘비상’”, CBS노컷뉴스, 2007.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