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숙(2005). 조직내 신뢰: 개념화와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69-83.
· 구정대(2003). 관광호텔경영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집단응집력, 자긍심,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경화(2006).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계수(2006). 성공적인 논문작성을 위한 Amos/Lisrel 이용 인과분석 연구방법론. 서울: 청람.
· 김명언(2000). 한국 기업조직에서 부하가 갖는 상사에 대한 신뢰와 불신의 기반. 한국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10월), 91-107.
· 김이경 외(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5-8.
· 김왕배⋅이경용(2002).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36(3), 1-23.
· 김우택⋅김지희(2002). 신뢰의 개념과 신뢰 연구의 맥락. 한국 사회 신뢰와 불신의 구조: 미시적 접근, 11-52, 서울: 도서출판 소화.
· 김재덕(2006). 학교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란(2003). 교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정한(2004). 조직자본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도내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지은(2006). 교직몰입과 교사의 효과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창걸(1983). 교장의 지도성 행위⋅상황 및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행중(2006). 지방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호정(1999).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행정학보, 33(2), 19-35.
· 노종희(2004). 초⋅중등교사의 교직헌신의 개념화 및 측정도구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22(2), 215-232.
· 마상진(2004). 실업게 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교육 가치성향과 조직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상언⋅이영면(2004). 고용조정을 경험한 조직에서 사원들이 느끼는 고용불안과 신뢰 그리고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 연구, 33(2). 503-529.
· 박영숙 외(1999a). 능력중심의 교사 직무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9-21.
· _________(1999b). 학교급별, 직급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 수행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9-48.
· 박인학(1988).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천오⋅김상묵(2001). 지방자치단체의 생산성 결정 요인: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0(1), 182-208.
· 박통희(1999). 신뢰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행정학보, 33(2), 9-17.
· 박통희⋅원숙연(2000). 정부조직내에서 상관에 대한 부하의 신뢰: 상관의 개인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9(4), 137-163.
· 배병렬(2005). LISREL구조방정식모델-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서울: 청람
· 서정화(1989). 교육인사행정. 서울: 배영사.
· 서철현(1998). 신뢰가 종사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2(1), 54-73.
· 설현수(2003).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검증의 문제점 및 대안탐색. 교육평가연구, 16(1), 105-123.
· 안우환(2003).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신뢰와 교사의 학교조직몰입과의 관계. 교육학 논총, 24(2), 189-207.
· 양국진(2002).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우정남(1992). 학교 조직상황 유형에 따른 교장의 권위 및 학교 조직효과성의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원숙연(2001). 지역주의가 상관의 부하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정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육종수⋅정우진(1998). 조직 헌신도와 직무성과에 관한 분석.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지, 1(1), 107-125.
· 이기엽(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최신 기법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28, 251-270.
· 이동섭(1997). 조직구성원간 신뢰형성의 영향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성은(2005). 초등학교의 교육헌신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교육연구, 13(1), 25-44.
· 이숙정(2005a). 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모형 검증. 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______(2005b). 교사가 지각한 신뢰 척도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8(3), 117-134.
· 이인석⋅전무경(2005). 조직내 신뢰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강경영논총, 16(2). 227-250.
· 이인제(1993). 사회복지 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완정(1982). 중학교 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재연(2002). 조직내 리더에 대한 신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성만(2004). 조직 신뢰와 구성원 신뢰의 기반 요인 및 관계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조국행(2000). 공정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조현철(2003). 구조방정식 모델: SIMPLIS & AMOS. 서울: 석정.
· 전찬렬(2000). 신뢰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 13(2), 209-223.
· 전태준(2006).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와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정범모(20002). 정신과 신뢰. 한국 사회 신뢰와 불신의 구조: 미시적 접근. 김우택⋅김지희 편. 53-110. 서울: 소화
· 진동섭 외(2005). 한국 학교조직 탐구. 서울: 학지사.
· 진동섭(1989). 학교장과 교사의 결합(linkage): 결합의 개념적 모델 탐색. 교육이론, 4(1), 45-72.
· ______(2003). 학교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 서울: 학지사.
· 최이규(2005).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무역경영사.
· 홍경옥⋅강도용(2005). 여행업의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행상품개발자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9(2), 507-522.
· 홍창남(2005). 학교 특성과 교사 헌신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8.
· Adams, K. S. & Christenson, S. L. (2000). Trust and the family-school relationship examination of parent-teacher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5), 477-497
· Balfour, D. & Wechsler, B. (1990). Organizational Commitment: A Re- 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test of public-private differenc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 10, 23-40.
· Bryk, A. & Schneider, B. (2002). Trust in schools. Russell Sage Foundation.
· Boss, R. W. (1978).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 revisited, Group and Organizational studies, 3(3), 331-342.
· Carnevale, D. G & Wechsler, B. (1992). Trust in public Sector. Administration & Society, 23(4), 471-494.
· Celep, C. (2000).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National Forum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10(3).
·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95-120.
· Costigan, R. D. Ilter, S. S. & Berman, J. J. (1998). "A Multi-dimensional Study of Trust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0, 303-317.
· Cook, J. & wall, T. (1980).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 39-52.
· Deutsch, M. (1960). The effect of motivational orientation upon trust and suspicion. Human Relations, 13, 123-139.
· Firestone, W. A. & Rosenblum, S. (1988). Building commitment in urban high school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0(4), 285-299.
·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creation of prosperity. 구승회 역(2002).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 Gambetta, D. (1998). Can we trust?, In D. Gambetta(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on relations, 213-237. New York: Basil Blackwell.
· Gilbert, J. A. & Tang. T. L. (1998).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tecedent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27(3). 321-336.
· Gould-Williams(2003). The importance of HR Practices and Workplace Trust in Achieving Superior Performance: A Study of Public-sector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4(1), 28-54.
·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New Jersey.
· Hoy, W. K., & Tschannen-Moran(1999). Five faces of trust: an empirical confirma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9, 184-208.
· Jose L. da Costa(1995). Teacher collaboration: The roles of trust and respect. The Americ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pril 18-22, San Francisco, CA.
· Lane, C. (1998). Theories and Issues in the Study of Trust, In Lane, C. and Bachmann, R. (eds.)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Lewis J.,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 Lewicki, R. J. & Bunker, B. B.(1996).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s. In Kramer, R. M., & T. R.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n theory and research(p.115-139).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Lortie, D. C.(1975).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진동섭 역(1993).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 Luhmann, N. (1988). 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D. G. Gambetta(Eds.),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p.94-107), New York: Basil Blackwell.
· Matthai, J. M. (1989). Employee Perception of Trus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in a Mental Health Setting.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
· Mayer, R. C., Davis, I.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709-734.
· McAllister, D.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 McFall, L.(1992). Integrity. In J. Deigh(Ed.), Ethics and personality: Essays on moral psychology(p. 79-94).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ellinger, G. D.(1956). Interpersonal trust as a factor in communic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2, 101-105.
· Meyer, J. P. & Allen, N. J.(1984). Testing the side-bets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372-378.
· Meyer, J. P., & Allen, N. J.(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 61-89.
· Meyer, J. P., & Allen, N. J.(1997).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 Meyer, J. P. & Herscovitch, L. (2001).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oward a general model.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299-326.
· Mishra, A. K.(1996). Organizational response to crisis: the centrality of trust, In R. M. Kramer & T. R.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p261-287,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Moran, M. T., & Hoy, W.(1998). Trust in schools: 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4), 342-352.
·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4, 40-56.
· Noddings(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of moral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Noe, R. A., Hollenbeck, J.R., Gerhart, B.G., & Wright, P.M. (1997). Human Resource Management (2nd ed.). U.S.A. :IRWIN Inc.
· O`Reilly, C. A., & Chatman, J. (1986).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492-499.
· Pincus, J. D. (1986).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 405-412.
· Putman, R.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ction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안청시 외 6인 공역(2004).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서울 : 박영사.
·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393-404.
· Rotter, J. B.(1980). Interpersonal trust, trustworthiness, gullibility. America Psychologist, vol. 35(1), 1-7.
· Rowan, J. B. (1990). Commitment and Control: Alternative Strategies for the Organizational Design of Schoo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6, 353-389.
· Shaw, R. B.(1997). Trust in the balance,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Smith, P. A.(2001). The organizational heath of high schools and dimensions of faculty tru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11, 135-151.
· Tarter, C. J., Sabo, D. J., & Hoy, W. K. (1995). Middle School Climate, Faculty Trust, and Effectiveness: A Path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29(1), 41-49.
· Tschannen-Moran, M. (2001). Collaboration and the need for trust.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9(4), 308-331.
· Uline, C. L. et al.(1998). School Effectiveness: The Underlying Dimens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4(4), 462-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