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학의 정의
- 최초 등록일
- 2007.04.22
- 최종 저작일
- 2007.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mkkim**** (본인인증회원)
24회 판매

소개글
기말고사 레포트
목차
Ⅰ. 기능학의 정의
A. 신체운동의 분석과 규명지식
B. 바이오 메케닉스 등장
C. 바이오메케닉스 와 키네지얼러지의 논쟁
Ⅱ. 기능학의 역사
A. 그리스 시대
B. 르네상스 시대
C. 19세기
D. 20세기
Ⅲ. 신체운동의 목적
A. 신체는 항상변화 되어간다.
B. 신체는 손상되기 쉬운 일면을 가지고 있다.
Ⅳ. 신체운동의 구성
A. 의지적행동
B. 무의식운동
C. 충동운동
V. 운동성과
본문내용
Ⅰ.기능학의 정의
기능학 이라는 것은 그리스어의 운동을 뜻하는 kinesis와 학문을 뜻하는 logia 에서 성립된 것으로 처음에는 운동학(운동학은 역학의 한 부분이고,역학다루는 바이오메카닉스는 기계학적측면만다룬다)으로 정의 되었지만 인체동작을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신체운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수 있다.
학문적으로 볼때는 동작에 대한 학문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모든 생체에 움직임에 관한 연구지만 동물에 움직임을 분석하는 분야에서는 키네지얼러지란 말을 쓰지 않는다.
A.)신체운동을 분석하고 규명하는데는 몇가지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첫째 : 인간은 중력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역학에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역학의 지식이 필요하다.
둘째 : 인체는 많은 분절로 성립되 있으며 각 분절은 관절로 연결되고 관절을 연
결하고 있는 부분의 골구조와 그것을 둘러싸는 인대나 건의 짜임새에 의해
움직임의 방향이 결정되므로 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셋째 : 신체 운동은 근의 수축으로 일어나므로 근 수축은 신경에 자극에 의하며
근에 영양을 보급할때에 다른 여러 가지 기관과의 움직임등 생리학적 지식
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1. 기능학- 대한미디어 임용규 1993
2. 체력운동의학-공응대 1993
3. 스포츠와 건강의 과학-금광 황보연,강성식 1995
4. 운동과 건강 대한미디어 김시적외 공저 1995
5. 스포츠 바이오메케닉스 연세대학교 황인승 1987
6. 육상월드 대한육상경기연맹 1997년 7/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