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육의 현실
- 최초 등록일
- 2007.03.05
- 최종 저작일
- 2007.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대안교육의 정의를 통해 광범위할 수 있는 내용을
윤곽을 잡아 정리하고, 대안교육의 현실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면서 대안교육이 어떻게 전개해나가야 할지를
탐구한 레포트입니다. 저의 의견으로 작성한거구요,
유용한 내용으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목차
Ⅰ 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
Ⅱ 대안교육의 필요성
- 대안교육의 찬반
- 대안교육과 일반교육의 비교
Ⅲ 대안교육은 세계적 현상인가 한국적 현상인가
Ⅳ 대안교육의 쟁점과 나아갈 방향
- 교사자격증의 필요성 찬반
- 대안교육의 대학입시문제 해결방향
- 대안교육 시행 시 교사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들
본문내용
1. 대안 교육이란 무엇인가?
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질문이다. 그래서 4부분으로 나누어 대략적인 내용을 전달할 것이다.
1)대안 교육의 정의
쿠퍼는 대안학교를 “표준적인 공립학교들이 제공하는 전통적인 것과는 다른 경험을 추구하는 아이들과 학부모들을 위해 특별한 교수법과 프로그램, 활동, 여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학교” 라고 정의 했다. 대안학교는 기존의 학교 교육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반작용으로 90년대 이후에 나타난 교육현상이다. 야학이나 공부방 같이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들을 위한 비형식적 교육을 포함하여 제도교육이 포괄하지 못한 부분을 감당할 수 있게 위한 교육이다. 전일제 형태의 대안 교육 기관,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 교육기관, 가정 학교 또는 홈스쿨링으로 대안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대안교육을 바탕으로 나타난 제도들이다. 대안 교육에는 기존의 학교 교육의 변형된 형태로 대안적인 것을 찾으려는 것과 기존 학교 교육의 형식과 내용 자체를 뛰어 넘으려는 것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대안적 학교 교육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영국의 섬머힐이나 열린 교육, 원격 교육, 홈스쿨링 등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후자는 다양한 개인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자유로운 형식의 학교를 추구하는데, 제도보다는 인간을, 집단보다는 개인을, 교사보다는 학습자를 우선하여 기존의 학교 교육과는 다른 세계관과 가치관을 지향한다.
2)대안 교육의 등장배경
최근에 ‘학교 붕괴’의 이슈가 커지고 있는데, 기존 학교 체제의 근본적인 전환, 대안적인 교육체제에 대한 모색이 필요했기 때문에 등장했다. 기존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에 의해 등장하였는데,
① 사회적 적합성의 차원에서 위기를 맞았다. 대량 생산체제와 획일적인 방식의 교육으로 다양한 개성이 발휘되는 사회의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없다.
참고 자료
<참고도서>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이종태. 2000. 민들레.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 강대중. 2002. 박영률출판사.
간디학교의 행복찾기 -여태전. 2004. 우리교육
<참고자료>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3&article_id=0000004879§ion_id=102&menu_id=102 [주간조선 2006-03-02 09:41]
• 죽음의 삼각형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