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국어]사성통해 연구

교육대학원에서 중국어 교육사 수업중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여러 논문들과 문헌들을 참고해서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6.17 최종저작일 2006.05
10P 미리보기
[중국어]사성통해 연구
  • 미리보기

    소개

    교육대학원에서 중국어 교육사 수업중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여러 논문들과 문헌들을 참고해서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조선(朝鮮)의 역학(譯學)정책과 최세진(崔世珍)
    1. 조선의 역학정책과 『사성통해(四聲通解)』
    2. 최세진에 대하여
    Ⅱ. 『통해』의 편찬
    1. 『통해』의 편찬 동기
    2. 『역훈』․『통고』와 『통해』
    3. 『통해』의 체제와 형식적 특징
    1) 체제
    2) 수록자
    3) 자순
    4. 『통해』의 자음(字音) 표기
    1) 표기 방법
    2) 표기음의 종류
    5. 『통해』의 특징
    6. 『통해』의 판본
    Ⅲ. 『통해』의 의의와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조선의 역학정책과 『사성통해(四聲通解)』
    조선왕조는 사대교린(事大交隣)을 위하여 太祖 2년 9월에 사역원(司譯院)을 설치하고 역학자의 양성과 외국어교육의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크나큰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사역원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주력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중국어학습이었다.
    이러한 노력은 세종(世宗) 때에 이르러서야 역학정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세종이 언어문제에 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세종이 주력한 것은 역학의 장려였다. 세종 14년에 중국에 유학생을 파견하고자 하는 기획을 하였고 , 세종 20년에는 金何로 하여금 세자에게 사흘에 한 번씩 중국어를 가르치도록 하며, 사역원 내에서 우리말 사용을 금하는 등등 중국어에 대한 세종의 이러한 열의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게 하였고, 세종 25년에는 여러 음운학자들과 함께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이하 『역훈』) 을 편찬하게 되었다. 세종 이후 세조(世祖) 4년 戊寅 正月 19日에 역학의 진흥을 위하여 『노걸대(老乞大)․박통사(朴通事)』를 출판하였으며, 성종(成宗)에 들어와서도 군신(君臣)들의 역학에 대한 관심은 대단하였으며, 그 주요관심사는 말할 것도 없이 중국어에 관한 것이었고, 그 목적도 사대를 위한 것이었다.

    (중략)

    5. 『통해』의 특징
    첫째, 체재는 『통고』와 같으나, 『통해』를 편찬하면서 글자를 수록할 때에는, 『정운』 곧『역훈』의 수록자를 거의 그대로 옮겨 싣고서, 늘 쓰이는 글자 가운데 빠진 글자가 많다고 하여 상당히 많은 글자를 보충하였다. 그 대신 별로 잘 쓰이지 않는 글자는 『정운』에 수록되어 있더라도 빼어 버린 것이 있다. 이러한 내용을 〈범례〉를 통해 살펴보면,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용하는 글자인데도 『홍무정운』에서 누락된 것이 많다. 그러므로 지금 더 증가하거나 다른 운서를 참조하여 보태었다. …… 但以俗所常用之字 而正韻遺闕者多矣 故今並增添 或以他韻參補之…… (『사성통해』범례 2 )
    『홍무정운』에는 실리지 않았으나 지금 첨가한 글자에는 동그라미를 그려 구별하였다. 洪武韻不載 而今所添入之字 作圈別之. (『사성통해』범례 3 )
    둘째, 『통해』의 가장 큰 편찬 특징으로 우선 반절(反切)로 표기된 『정운』을 훈민정음으로 주음하고, 『통해』가 수록된 글자의 선택이나 음의 정속을 따질 때에 『정운』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당시에 음의 정속을 밝힌다는 것은 곧 중국음을 바르게 표기하려는 목적이었다. 그리고 최세진이 관찰한 16세기의 중국 북방음을 금속음이라고 해서 적었다. 『정운』과 『통고』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당시 실제로 상용되던 자를 동그라미로 표시하여 더 보충하였다. 따라서 『역훈』과 『통해』는 정음과 속음의 음계가 같아서 정음과 속음이 31 성모이며, 76운목(韻目, 통해는 80 운목)의 중성도 서로 같다.

    (후략)

    참고자료

    · 한국고전총서간행회 篇, 《(原本影印)韓國古典叢書》冊2, (서울 : 大提閣 , 1973-1976)
    · 강신항 著, 《四聲通解 硏究》, (서울 : 신아사, 1973)
    · 이강로 著, 《사성통해의 연구(上)》, (서울: 박이정, 2000)
    · 정경일 지음, 《한국 운서의 이해》, (서울 : 아카넷, 2003)
    · 이강로 著, 《사성통해의 음운학적 연구》, (서울 : 박이정, 2004)
    · 방종현(1963), 「사성통해 연구」, 蓑國語學論文集.
    · 박태권(1974), 「최세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 강호천(1992), 「朝鮮韻學의 成立」, 《牛岩論叢》 8(`92.2) pp.1-37, 청주대학교 대학원
    · 권혁준(1995), 「《古今韻會擧要》의 음운 체계 연구 : 《사성통해》의 운회음을 중심으로/ 權赫埈」,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상도(1995), 「최세진의 한어교학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하혜정(1997), 「朝鮮朝 韻書의 獨自性 硏究」,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강신항(1999), 「최세진 음운 연구」, 《새국어생활》9,3(‘99.9) pp.55-68, 국립국어연구원
    · 정 광(1999), 「최세진의 생애와 업적」, 《새국어생활》9,3(‘99.9) pp.5-18, 국립국어연구원
    · 남현길(1999), 「鷄林類事와 朝鮮館譯語의 共通 寫音字 比較 硏究」,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효민(2002), 「《動靜字音》연구」, 《東洋漢文學硏究》 제16집 2002.10. pp.213-224, 東洋漢文學會.
    · 장효민(2004), 「《사성통해》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 이영월(2004), 「『사성통해』를 통한 조기 궁화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