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해,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탐출판사, 1989.
· 장흥권, 《조선어, 한어, 일본어 현대어휘와 그 변이에 대한 대비연구》, 민족출판사, 1999.
· 정 유 진,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어휘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 2002
· 인민교육출판사중학어문실,《현대한어지식》, 인민교육출판사, 1999.
· 정재윤,《우리말 색채어의 낱말밭》, 국어교육, 1988.
· 이용주,《한국 한자어에 대한 연구》, 삼영사, 1974.
· 이상억,《국어 어휘 목록의 형태, 음운론적 구조 연구 - 계량 언어학적 표준조사》, 어학연구 , 1989.
· 김종훈, 《한국고유한자연구》, 집문당, 1983.
· 침재기, 《국어어휘론》, 최문당, 1983.
· 이숭녕,《한국어발규사》,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67.
· 정숭의,〈한, 중 한자어의 변천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학 석사학위, 1987.
· 문선규, 《중국언어학》, 민음사, 1990.
· 박련화, 〈중국 조선어 의미변화의 원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왕력, 《한어사고》, 중화서국, 1980.
· 향판순일, 《중국언어학입문》, 정헌철(역), 고려원, 1986.
· 《중한사전》, 고대 민족문화 연구소 중국어대사전편집실, 1992.
· 황자인, 《한중일 동형의 한자어 의미대조》, 전북대어학, 1993.
· 성원경, 《한, 중량국에서 현용하는 한자어 비교고》, 성곡논총 8(10), 1977.
· 류진탁(편),《현대한어실용사전》,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6.
· 《중한대사전》, 진명출판사, 1993.
· 침재기,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 국어생활-4, 1987.
· 향판순일, 《중국언어학입문》, 정헌철(역), 고려원, 1986.
· 하구영, 장소우, 《고한어사휘강화》, 북경출판사, 1980.
· 곽석량 외(편), 《고대한어》, 북경출판사, 1981.
· 《현대한어사전》, 상무인서관, 2000.
· 고갱생,《현대한어지식대사전》, 산동교육출판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