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한자어 유형 비교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7.08.12
- 최종 저작일
- 2007.08
- 9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000원

판매자dior****
40회 판매

소개글
한중 한자어 유형에 관한 비교 연구
HSK 동사 어휘를 중심으로
목차
제 1 장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2
3. 선행연구 검토 7
제 2 장 동형어의 비교 10
1. 동형 동의어 AB / AB식 10
2. 동형 이의어 AB / AB식 15
3. 동형 부분이의어 AB / AB식 26
제 3 장 부분이형어의 비교 41
1. 부분이형 동의어 AB / AC식 42
2. 부분이형 동의어 AB / CB식 46
3. 부분이형 동의어 AB / BC식 50
4. 부분이형 동의어 AB / CA식 54
제 4 장 역순어 AB / BA식 59
1. 역순 동의어 AB / BA식 59
2. 역순어 AB / BA → AB식 62
제 5 장 결론 68
본문내용
중국으로부터 유입한 어휘를 중국문자로 적으면서 실제로 한국의 어휘 속에는 한자로 적을 수 있는 한자어가 대량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하지만 중국어 속의 어휘들은 중국어의 지배하에 변화하게 되고, 한국으로 유입된 한자어는 한국어의 지배하에 놓이게 됨으로써 유입될 당시에는 비록 한국과 중국이 형태나 의미가 서로 같았다하더라도 일부의 어휘는 두 나라의 언어 내외적인 원인에 의해 결국 형태나 의미에서 서로 다르게 발전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이 중국의 한자를 차용한 이래 시대적 조류에 부응한 언어의 역사적 변화 발전으로 말미암아 중국 어휘와 한국 한자어 사용상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은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부분이 있는 반면 반대되는 상황도 초래하게 되었으므로, 본고에서는 중국 어휘와 한국 한자어를 기준으로 대응될 수 있는 어휘를 대조 비교하여 그들 사이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사이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면을 고찰하며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게다가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기초나 기본적인 실용 어휘를 중심으로 한 비교 분석에 치중하였기에 중국어 학습자에게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HSK 어휘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것이 드물었다. 그리하여 한어교학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HSK 어휘를 비교 분석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이를 두었고, 《水平詞典》의 HSK 대표 어휘 중 이음절 동사와 한국 한자어 [-하다]를 《現代漢語詞典》과 《에센스 국어사전》을 함께 참조하여 비교 연구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