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원임용고사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유아,초등,중,고등) (A+ Report)
- 최초 등록일
- 2006.04.21
- 최종 저작일
- 2005.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A+ Report)
열심히 한만큼 좋은 성적 받은 발표문입니다.
참고하시어 레포트 작성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여러분의 견해를 덧붙이시어 좋은 성적 받으시기 바래요.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
목차
Ⅰ. 각 분야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유아
2. 초등학교
3. 중, 고등학교
4. 기타
Ⅱ. 교원 임용제도에 관한 신문자료
Ⅲ. 정리
본문내용
2) 선발에서의 문제점
가. 1차 필기시험
-교육과정과 논술을 채점을 해 본 경험으로 미루어 보면 암기 위주식 문제의 출제 경향으로 지적 능력이나, 암기력이 우수한 교사가 절대적으로 유리.
-논술 주제 또한 초등학교 측면에서 출제된다. ( ex)교실붕괴와 생활지도에 관하여 )
-임용고시 학원에서 공부한 응시자 98%정도가 유사한 형태의 천편일률적으로 유사.
나. 2차 면접, 실기시험
-교수-학습안 작성 : 교수-학습 지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나, 임용 고시 학원 에 다닌 응사자의 패턴 98%정도가 유사한 형태로 유사답안이 적성.
다. 1차 필기시험에서 110%선발되므로 암기력이 우수한 교사가 1차에서 결정.
라. 현장에서 높은 경쟁률을 거쳐 임용고시 통과한 신규교사를 받아 지도 해 본 평가 : 임용고시에 해당하는 과목과 내용에 초점을 맞춰 공부를 하여 선발되 었기 때문에 현장감이 떨어지는 교사 있음.
3) 대안 제안
-유아교육은 지식전달자로서의 교사역할이 아니라 인성을 바탕으로 한, 통합교육 이며 생활중심 교육으로 기본생활 지도를 핵심에 두고 교육활동을 전개해야 하므로 지식 측정의 고시 형태 교사 선발보다 교사의 인성을 충분히 체크할 수 있는 임용 고시 형태로 전환 하여 교사를 선발해야 함
-공립 유치원의 학급 구성은 주로 1~3학급 형태로 1학급이 90%이상을 차지하므로 교수-학습 능력을 상호 연구하거나, 수업연구, 동료장학을 거의 할 수 없을 뿐더러 초등학교 교장, 교감선생님이 겸직하므로 행정적 지도는 가능하나 유아교육에 관한 질적인 지도는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어느 정도 교수-학습 능력을 구비한 교사가 임용되어야 함. 따라서 선발 시 교수-학습안 작성의 규격적인 형태 선발보다는 실제로 작성한 교수-학습안을 시연하여 교수-학습 지도 능력을 검증한 교사를 선발하여야 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