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근형, “미국의 대한반도정책”,『제주대東아시아硏究論叢』11 (2000.12)
· 길버트 로즈만, “동북아시아 4강의 양국관계”,『極東問題』263 (2001.1)
· 김기정, “21세기 동북아 안보환경의 전략적 조망 : 냉전구조의 해체인가, 신냉전의 시작인가?”, ꡔ국방부 군비통제관리실 1999년도 군비통제세미나 자료집ꡕ(99.10.19)
· 김성한,『美․中․日 三角關係와 韓半島』(外交安保硏究院, 2000)
· 김승채, “중국과 남북한, 그리고 한반도 통일”,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 김영진,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제주대東아시아硏究論叢』11 (2000.12)
· 김용대, “轉換期 中國의 對韓半島政策과 北韓改革의 變化 推移”,『中國學硏究』 19(2000.12)
· 로스 H. 먼로, “미․일․중 3국간의 전략적 관계 변화”,『極東問題』267 (2001.5)
· 박두복,『중국의 對한반도 정책의 新추세와 한․중관계 발전 방향』(外交安保硏究院, 2001)
· 박인휘, “중국와 동북아 국제관계: 중국의 대외정책분석과 지정학적 특성”, ꡔ중소연구ꡕ, 통권 89호, (한양대중소문제연구소, 2001)
· 서만경, “한반도 주변 4국의 대한반도정책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 통일안보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서진영, “새로운 동북아 국제질서와 중국: 강택민시대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반도문제를 중심으로” 서진영 외, 『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 서진영, “부강한 신중국의 등장과 한반도”, 서진영․이내영 공편, ꡔ변혁기의 세계질서와 동아시아ꡕ, (서울: 오름, 2001)
· 신상진, "미국의 NMD체제 구축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대응," ꡔ국제문제ꡕ, 통권363호, (2000. 11월)
· 신상진, “21세기 중국의 동북아정책: 환경, 목표, 수행능력 분석과 전망”, ꡔ중소연구ꡕ 통권 89호, (한양대 중소연구소, 2001)
· 신정화, “21세기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北韓』350 (2001.2)
· 沈志華, “중국의 한국전쟁 참정결정에 대한 평가: 50년 후 한국전쟁 역사에 대한 고착과 회고”, ꡔ신아세아ꡕ, 제7권 제2호, (2000년 가을),
· 양길현, “21세기 한중관계의 기회요인과 제약요인 분석”, ꡔ中蘇硏究ꡕ제24권 4호(2001.2)
· 오심백,『미국 신행정부의 중국정책과 미중관계』 동아일보 창간81주년기념/한ㆍ중ㆍ일 국제학술회의(발표문) (2001)
· 용재식, “1980~90년대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연구”, 한남대 행정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12
· 이근․한동훈, 『중국의 기업과 경제』(서울: 20세기북스, 2000)
· 이남주, “중국 외교전략의 변화와 한반도 외교”,『통일로』150 (2001.2)
· 이내영, “탈냉전시대의 미국의 세계전략”, 서진영․이내영 공편, ꡔ변혁기의 세계질서와 동아시아ꡕ, (서울: 오름, 2001)
· 이동률, “탈냉전기 중국의 동남아외교 : 전략과 목표“, ꡔ中蘇硏究ꡕ24권 3호(2000.11)
· 이동휘,『21세기 주변 4강의 전략적 이해와 우리의 대응』(外交安保硏究院, 2000)
· 이상우, “21세기 신아세아질서와 일본의 역할”, ꡔ신아세아ꡕ제3권제1호, (1996, 봄),
· 이상우․ 하영선 편 , 『현대 국제정치학』, (나남출판, 2001).
· 이태환, “중국의 대북정책”, 정은숙 편, ꡔ미․중․일․러의 대북정책: 주변 4강 2000ꡕ, (성남: 세종연구소, 2001)
· 임계순, “中國의 對韓半島 政策, 1949-1992”,『中國史硏究』13 (2001.5)
· 정상용, “미․일관계 강화와 한반도 기상도”,『국방저널』332 (2001.8)
· 정은숙, ꡔ미․중․일․러의 대북정책 : 주변4강 2000ꡕ, (세종연구소, 2001)
· 정재호 편, ꡔ중국정치연구론ꡕ, (나남출판, 2000).
· 조용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北韓』350 (2001.2)
· 趙全勝, 중국의 외교정책 “미시․거시연계접근분석” 김태완역 (오름 2001, 1996초판)
· 조정남, “아시아의 패권질서와 중일관계”,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 최춘흠,『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전망 : 외교․안보 분야 중심으로』(통일연구원, 2000)
· 황병무, “중-러 화해의 진전과 한계”,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 황병무,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반도”,『지성의 현장』10권 2호 (2000.7)
· 謝益顯 主編, ꡔ中國: 當代外交史 1949-1995ꡕ, (北京: 中國靑年出版社, 2000)
· 謝益顯 主編, ꡔ中國外交史: 中華人民共和國時期(1949-1979)ꡕ, (河南: 河南人民出版社, 1998)
· 宋成有․姜芹․王蕾,『中韓關係史 : 現代卷』(社會科學文獻出版社, 1995)
· 夏 海, ꡔ中國政府架構ꡕ, (北京: 淸華大學出版社, 2001),
· 許志嘉, “鄧小平主政下參與中共外交政策之黨 政組織探討”, ꡔ中國大陸硏究ꡕ], 第41券 5期(1998.5)
· 小島朋之, ꡔ現代中國の政治: その理論と實踐ꡕ, (東京: 慶應義塾大學出版會, 1999)
· A. Doak Barnett, The Making of Foreign Polcy in China: Structure and Process, (Boulder: Westview, 1985)
· Alastair I. Johnston, "China`s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Behavior 1949-1992: A First Cut at the Data," in China Quarterly 153 (March 1998)
· Avery Goldstein, "The Diplomatic Face of China`s Grand Strategy: A Rising Power`s Emerging Choice." CQ 168 (December 2001), 835-864
· David Shambaugh, "Facing Reality in China Policy," FOREIGN AFFAIRS January/February 2001,pp. 50-64.
·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New York: Alfred A. Knopf, 1948), 이호재 역, ꡔ현대국제정치론ꡕ, (법문사, 1989)
· Samual S. Kim, "The Future of China and Sino-ROK Relations," The Future of China Northeast Asia(Seoul :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of Kyungnam University, 1997)
· Samuel S. Kim, ed, China and the World: Chinese Foreign Policy Faces the New Millennium: Fourth Edition (Westview Press, 1998)
· Yong Deng, 「The China Concenption of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hian Quarterley, Number 154, June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