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모양관찰] 달의 위치와 모양 변화
- 최초 등록일
- 2005.07.03
- 최종 저작일
- 2004.1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달모양을 실제로 관측하고 천문관련 사이트의 자료를 참고해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음력 9월3일~9월 11일에 맞춰진 자료입니다. 마지막, 지평좌표에 표시하는 부분은 워드 작업이 어려워서 손으로 그렸습니다. 위의 관찰지 표를 기준으로 그리면 됩니다.
좋은 참고 자료 되었음 좋겠습니다~ *^^*
목차
1. 목표
2. 달의 모양 관찰
<관찰지 표>
3. 위 자료를 통하여 새롭게 알아낸 것(항목별로 설명)
본문내용
2. 방위각의 일정한 변화(달의 공전)
1, 2, 3, 4차의 관찰 결과 하루에 약 14°정도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차의 240° - 2차의 190° = 50° ∴ 50 ÷ 4일 ≒ 12°
2차의 190° - 3차의 160° = 30° ∴ 30 ÷ 2일 ≒ 15°
3차의 160° - 4차의 130° = 30° ∴ 30 ÷ 2일 ≒ 15°
즉, 달은 매일 평균 14°씩 동쪽으로 움직인다.(이로 인해 매일 약 50분씩 늦게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달이 보이는 실제 모양
달은 공전주기와 같은 주기로 자전을 한다. 그래서, 달은 항상 같은 면을 지구 쪽으로 향하게 된다. 밤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달의 모습 차이는 태양 빛에 의해 밝게 보이는 면의 변화일 뿐, 뒷면이 항상 어두운게 아니다. 달이 자전하기 때문에 햇빛은 달의 어느쪽에나 닿는다. 그리고 달의 공전 때문에 우리 눈에는 뒷면이 밝을지라도 볼 수 없는 것이다.
7. 달의 밝기(달의 공전으로 인해)
보름달로 가까워질수록 밝아지며 보름일 때 가장 밝다. 그것은 보름달은 태양의 빛을 정면으로 반사하지만 상현달이나 하현달과 비교해 보면 이 달은 90˚가 꺽여서 반사하기 때문에 빛의 양 자체가 틀려져서 그 밝기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