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춘향전
- 최초 등록일
- 2005.01.13
- 최종 저작일
- 2004.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들어가기
Ⅱ.풀어놓기
1. 춘향전 자세히 읽기
1) 춘향 서사의 낭만성
2)『춘향전』에 나타난 가치관의 이중성
2.『춘향전』재미있게 읽기
1) 억척 어미 혹은 아줌마의 전형, 월매
2) 모든 사랑 이야기는『춘향전』이다?
3. 춘향전으로 여는 새로운 세상
1) '사랑'과 '그리움'의 시적 변용(춘향에 관한 두 가지 시적 해석)
2) 북한『춘향전』과의 만남
3) 영화『춘향전』으로『춘향전』읽기
Ⅲ. 모으기
본문내용
『춘향전』이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춘향이 가혹한 시련을 견뎌내고 사랑을 완성한 데 있다. 잘 알고 있듯이,『춘향전』은 '만남-사랑의 약속-이별-시련-재회(사랑의 결실)'라는 고대 소설의 전형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춘향에게 닥친 시련은 다름 아닌 정절을 지키기 위해 겪어야 했던 고난이었다. 정절이 여성이 지켜야 할 최고의 덕목이던 시절에 그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춘향과 몽룡이 요즘말로 하자면 연애를 통해 결혼에 골인한 커플이라는 사실이다. 각자의 자유 의사로 상대를 선택했다는 점이야말로 두 사람의 결합을 빛나게 하는 조건이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춘향전』은 거듭 새롭게 윤색되어 왔다. 달리 보자면 후대의 작품들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간에『춘향전』의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다. 신분의 벽을 뛰어넘은 사랑 이야기는 더 말할 나위 없겠지만, 그렇지 않고 비극으로 끝났다 하더라도 그리 크게 다르지 않다. 적어도 사랑이란 주제를 다룬 소설이라면 세려된 '현대판'『춘향전』이나 고전을 '변용'시킨『춘향전』의 범주에 포괄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