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발해의 건국과 발해사 인식
- 최초 등록일
- 2004.12.23
- 최종 저작일
- 2004.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1.발해의 성립과정
1)고구려의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1) 고구려유민
(2) 말갈부족
2)676년 이후 동북아 국제정세
3) 대조영집단의 동주와 건국
(1) 대조영집단의 동주
(2) 발해의 건국
2. 발해사 인식
Ⅲ. 結論
*參考文獻*
본문내용
Ⅰ. 序論
발해의 땅은 중국의 동북부 만주와 소련의 연해주, 한반도 북구에 걸쳐있어 관련국가들 사이에 발해사 연구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비교적 오랫동안 연구되었고 상당수의 연구자가 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발해국의 멸망에 따른 사료인멸과 신라, 고려의 무관심으로 우리나라에는 발해사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중국과 일본의 기록이 발해사 연구의 1차 사료가 되고 있다. 698∼926년의 2백 28년 동안에 한반도에는 통일신라와 발해가 공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신라중심의 역사만을 생각한다. 이는 발해민족의 피지배층 다수가 말갈족이고, 사료 역시 매우 소량이므로 발해의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발해사의 연구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발해국의 실체가 고구려와 직접적인 관련이 가지고 있으므로 발해사는 통일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로서 마땅히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럼 여기에서는 발해의 건국과정과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가 어떻게 맞물려서 진행되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탐구당문화사, 1996
서병국,『발해·발해인』일념출판사, 1990
샤부꾸노프,『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민음사, 1996
박재영, 『발해사 연구를 위하여』천지출판, 2000
임상선 편역, 『발해사의 이해』신서원, 1990
박시형, 『渤海史』. 이론과 실천. 1989.